자경단
제목 | 자경단 |
---|---|
한자명 | 自警團 |
유형 | |
시대 | 근대 |
관련국가 | 일본 |
유의어 | |
별칭•이칭 |
[정의]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한인 학살을 주도한 일본인 민간단체.
[내용]
자경단이란 본래 특정 지역의 주민들이 범죄와 재난에 대비해 자기 지역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스스로 조직한 단체를 뜻하는 것으로, 경찰을 보조하는 일을 맡는다. 한국사나 일본사에서 자경단은 1923년 9월 1일 일본 간토(關東) 지방에서 발생한 관동 대지진(일본식 표현으로는 간토 대지진) 때 조직된 일본인 단체를 지칭한다.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으면서 민심이 극도로 악화되자, 일본 정부는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 과정에서 일본 정부는 ‘방화하려는 무뢰한이 있다는 소문’이 있으며, 각자 경계를 엄중히 하고 검거를 위해 적극 보조해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간토 지방 곳곳에 보냈다. ‘무뢰한’은 일본 내 사회주의자들과 한인을 지칭한 것이었다. 민간의 유언비어를 일본 정부가 조직적으로 전파하면서 각지에 자경단이 결성되었다. 자경단은 여러 경로로 형성되었다. 군경의 개입으로 조직된 경우도 있었고, 당초 지진을 틈탄 도둑의 절도와 방화에 대비하기 위해 조직된 야경단(夜警團)이 조선인 폭동 소문을 듣고 구성된 경우도 있었다. 또한 지진 발생 전부터 경찰의 하청 조직으로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마을 단위로 결성된 안전조합 등의 단체가 자경단을 구성하기도 했다. 자경단 결성을 주도한 세력에는 대체로 각 마을에서 의사결정권을 지녔거나 부유한 계층의 유력자가 다수 포함되었다. 단원은 주로 동네 단위로 결성되어 있던 재향군인회원과 청년회원이 모태가 되었다. 여기에 일본 관헌이 유언비어를 전파하면서 일반 시민까지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1923년 10월 당시 자경단 수는 도쿄의 1,593개를 포함, 간토 지방 전체에 3,689개에 달했다.
자경단은 유언비어를 확대하고 조선인 학살에 앞장섰다. 이들은 ‘불령선인(不逞鮮人)이 우물에 독을 풀어 넣었다’, ‘베에 석유를 적셔서 방화했다’, ‘수백 명이 무리를 지어 흉기를 가지고 습격했다’ 등의 악선전을 하며 민중을 선동했다. 또 각지의 조선인을 색출해 죽창과 몽둥이로 집단 처형하고, 심지어는 철사로 묶어 갈고리로 죽이거나 살아 있는 이를 불로 태워서 죽이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 당시 일본 군경과 자경단 등에 의해 학살된 한인 수는 불명확하나, 학계는 6천 명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수많은 자경단이 형성되어 학살을 벌인 이유는 사망자와 행방불명된 자의 수가 총 40만여 명에 달할 정도로 엄청난 대지진의 피해와 그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 일본 정부의 무능함이 그 원인이었다. 일본인 대중의 불만이 높아지면서 사회의 혼란이 더욱 심해져 가자, 일본 정부는 한국인과 사회주의자들을 희생양으로 삼아 국민의 불만을 다른 데로 돌리기 위하여 사실상 유언비어를 이용하였다. 일본 관헌으로 하여금 유언비어를 퍼뜨려 일반 시민을 분노하게 만들고, 정부로 향할 대중의 분노를 한인에게 향하도록 유도했다고 볼 수 있다.
자경단의 학살 양상이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 심각해지자 그때서야 일본 계엄사령부는 포고령을 내려 자경단의 행위를 억제했다. 또 관헌의 의도에서 벗어난 자경단에 대해 일본 관헌은 단속과 검거를 시작했다. 그러나 검거된 사람들에 대하여 일본 사법부는 거의 전원을 무죄 또는 집행유예로 처분했고, 경찰관 사법권 침해 죄가 가중된 자 일부에게만 실형을 선고했다. 이로써 관동대지진 당시의 학살은 일본 사회에서 은폐되어 갔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사실들이 해명되지 못한 상태로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