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두레

제목 두레
한자명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갹사(醵社), 길쌈, 농계(農契), 농기(農旗), 농사(農社), 농청(農廳), 돌개기음, 동네논매기, 만두레, 목청(牧廳)
별칭•이칭

[정의]

농사일을 위해 만들어진 농촌의 상호 협력 조직.

[내용]

두레의 기원이나 발생 과정 등에 대해서는 현재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 다만 20세기 초반까지 유지되었던 두레의 모습을 통해 살펴보면, 두레는 모내기나 김매기처럼 일시적으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농사일을 서로 돕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으로 생각된다. 단순한 노동 조직일 뿐만 아니라 농사일을 마치고 난 이후나 추수를 한 이후 음주가무를 동반한 다양한 놀이 문화를 공유하는 집단이기도 하였다.

두레의 조직 양상은 전국적으로 다양하다. 성별에 따라 남자 두레, 여자 두레가 조직되기도 하고 또 여러 개의 두레가 있어 형님 두레, 아우 두레로 나뉘기도 하고 세대별로 두레를 조직하여 청년 두레, 장년 두레, 노인 두레로 나누어지기도 하였다. 두레의 내부 조직은 보통 두레의 지휘자 1명과 몇 명의 실무자로 구성되었는데 이들에 대한 명칭은 지방별로 모두 달랐다. 이들 지휘자와 실무자들은 두레의 운영에 관여하였고, 특히 공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때 작업 일정과 계획을 세우고 작업 과정을 인솔하는 역할을 하였다.

두레와 비슷한 농촌의 상호 협력 기구로는 ‘품앗이’, '계'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품앗이는 개인과 개인이 상호 협력한다는 점에서 두레와 형태가 다소 달랐다. 또 '계'는 농사일 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걸친 조직이고 각각의 계도 성격이 모두 다른 것이었다. 조직적인 상호 협력이란 점에선 두레와 계가 비슷하였으나 세부적인 내용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두레는 조선 후기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행해졌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점차 사라졌다.

▶ 관련자료

ㆍ두레
ㆍ두레법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