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족보

제목 족보
한자명 族譜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세보(世譜), 가보(家譜), 가첩(家牒), 보첩(譜牒), 성보(姓譜), 씨보(氏譜)
별칭•이칭

[정의]

같은 성씨(姓氏)의 씨족 구성원을 도표화하여 기록한 계보.

[내용]

족보는 중국 후한 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부터 제작되고 있었다고는 하나,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16세기를 넘어서면서부터였다. 본래 지배 계층 내에서도 유력 가계에서만 만들어지던 것이었는데, 이것이 일반 양반 가문에서도 보편화되어 가면서 17~18세기에 이르면 대부분의 양반 가문이 족보를 구비하고 있을 정도가 되었다. 족보는 수록 범위나 방식에 따라 종류가 매우 다양한데, 해당 성씨의 최초 시조부터 당대인들까지 모두 망라한 대동보(大同譜), 같은 성씨 중 중간에 갈라진 분파(分派)의 구성원만을 수록한 파보(派譜), 족보 편찬자의 직계 혈연만을 기록한 가승보(家乘普) 등이 대표적인 족보 형태였다.

족보에 수록되는 사람의 범위와 형태 또한 매우 다양하였는데, 대체로 해당 집안의 여성과 여성의 후손들을 어떻게 기재하느냐에서 기인하는 차이였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이 시집을 간 경우 남편은 여성의 성씨 족보에 기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그 여성의 후손들의 경우는 여성 집안의 족보에 수록되느냐, 또 몇 대 후손까지 수록되느냐는 집안마다 차이가 있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족보로서 조선 전기(1476년)에 편찬된 안동 권씨 성화보(成化譜)의 경우 여성의 자손들도 몇 대에 걸쳐 수록되어 있는 반면, 조선 후기에 편찬된 많은 족보에는 여성의 자손은 아예 수록되지 않았거나 친자식까지만 수록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차이는 부계 혈통 중심의 유교적 가족 윤리의 확산에서 말미암은 것이었다. 또 아들과 딸의 기재 순서도 차이가 있었는데, 조선 전기의 족보들은 연령순으로 기재한 반면, 조선 후기 족보들은 남자를 먼저 연령순으로 기재한 이후 여성들을 연령순으로 기재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또 몇몇 가문에서는 여성들의 이름 대신 사위의 이름을 기재하기도 했다.

이처럼 조선 사회 내 소수의 양반만 가지고 있던 족보에 일반인들이 수록된 것은 일제 강점기에 들어서였다. 물론 이 과정에서 족보를 사고팔거나 위조하는 일들이 광범위하게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양반 사회가 종식되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양반에 편입되고자 하는 열망을 보여 주는 흥미로운 것으로 볼 수 있다.

▶ 관련자료

ㆍ가보(家譜)
ㆍ가첩(家牒)
ㆍ보첩(譜牒)
ㆍ세보(世譜)
ㆍ족보(族譜)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