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삼례 집회

제목 삼례 집회
한자명 參禮集會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1892년(고종 29) 11월에 동학교도들이 삼례에서 교조 최제우(崔濟愚, 1824~1864)의 죄명을 벗기고 종교의 자유를 얻기 위해서 개최한 집회.

[내용]

삼례 집회는 1892년 10월 공주 집회와 연계하여 제2차 교조 신원 운동으로 불리기도 한다. 1892년 10월에 동학교단 지도 세력들이 충청도 공주에서 집회를 개최해서 교조 신원과 탐관오리의 수탈 금지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충청 감사 조병식(趙秉式)에게 제출했다. 조병식이 교조 신원은 조정의 일이므로 자신에게 권한이 없지만 탐관오리의 처벌과 수탈 금지는 약속한다는 답변을 얻었다. 이에 수탈이 심했던 전라도에서도 교조 신원 운동을 통해서 공주 집회와 같은 성과를 얻고자 했다.

동학교단은 1892년 11월에 전라도 삼례에서 집회를 개최하고 전라 감사 이경직(李耕稙)에게 교조 신원과 탐관오리의 수탈 금지를 요청하는 청원서를 제출했다. 이경직은 탐관오리의 수탈 금지는 약속할 수 있지만 국법으로 동학을 금지하고 있어 자신에게는 권한이 없다는 답변서를 동학교단에 보냈다. 이에 동학교도들은 반발했지만 손천민을 비롯한 지도부의 설득으로 해산하였다.

[의의]

삼례 집회는 동학교도들이 탐관오리의 처벌과 수탈 금지를 내세우면서 현실적인 정치의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울러 1893년 2월의 서울 복합 상소 운동을 추진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 관련자료

ㆍ전라도 삼례에서 집회
ㆍ동학 농민 운동(東學 農民 運動)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