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개념용어

이모작

제목 이모작
한자명 二毛作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2모작(二毛作)
별칭•이칭

[정의]

한 해에 같은 경작지에서 생육 시기가 다른 두 종류의 작물을 교대로 심어 재배하는 농법.

[내용]

우리나라는 많은 인구에 비해 경작지가 협소하여 일찍부터 토지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농법(農法)을 발전시켜왔다. 이모작은 이러한 농업 발전의 연속선상에 있는 것으로 대략 16~17세기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모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초 허균(許筠, 1569~1618)이 편찬한 『한정록(閑情錄)』에 수록된 벼와 보리를 이모작하였다는 기록이다.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남부 지역에 비해 기후가 농사에 불리한 경기도의 일부 지역에서 시행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모작은 주로 논에서 행해졌는데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었다. 여름과 가을에 벼를 재배하여 수확한 후 그 자리에 보리를 심는 것이 가장 흔한 방법이었다. 보리 외에도 유채를 심는 경우도 많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마(麻)나 아마(亞麻)를 심기도 했다.

이모작의 도입은 조선의 농업 생산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였으며, 아울러 시비법이나 제초법 등 관련 기술들의 발전을 견인하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 관련자료

ㆍ이모작(二毛作)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