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개념용어

사상

제목 사상
한자명 私商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난매자(亂賣者), 사상 도고(私商都賈)
별칭•이칭

[정의]

조선 후기 장시(場市)와 국경 지대에서 개인적인 영리를 위해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

[내용]

16세기 이전에 조선에서 활동하던 상인들은 서울의 시전(市廛)에서 활동하던 시전 상인이 대표적이었다. 관에 일정한 세금을 바치는 대신 상업 활동을 독점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어 시전 상인 외에 다른 상인들이 설 자리가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규모가 커진 서울에서 필요한 모든 물품을 시전 상인이 단독으로 공급할 수는 없었다. 더구나 서울의 외연이 도성 밖으로 확대되면서 관에서는 시전 상인이 독점을 유지하도록 관리하기도 힘들어졌다. 따라서 관의 허가를 받지 않고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들이 서울을 중심으로 늘어나 세력을 키워나가고 있었다.

이들은 종로의 시전과는 별도로 칠패(七牌)를 중심으로 시장권을 형성하였고 18세기에는 한양 동부의 어의동(於義洞)을 중심으로 이현(梨峴) 시장을 형성하여 3대 시장을 형성할 정도로 사상의 규모는 확대되었다. 또한 시안(市案)에 등록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인들이 크게 번성했는데 이들도 사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성장한 사상들 외에도 해외 무역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인들이 늘어나고 있었다. 연행 사절단(燕行使節團)이 주도했던 대청(對淸) 사행 무역에 사상들도 참여한 것이다. 이런 국제 무역을 통해 사상들은 부를 축적해 갔고 조선 후기 상업 질서에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처럼 국내외 상업으로 부를 축적한 사상들은 관의 허가를 받지 않아 독점적인 권리를 행사하지는 못했지만, 급변한 시장 환경을 이용하여 이윤을 극대화하였고 사상 도고(私商都賈)로 성장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것이 한양의 경강상인(京江商人), 개성의 송상(松商), 평양의 유상(柳商), 의주의 만상(灣商), 동래의 내상(萊商)이다. 이들은 자금력과 조직을 확보하여 자본을 축적해 갔고 조선 후기 새로운 사회 구조를 형성하는 데 한 역할을 담당했다.

▶ 관련자료

ㆍ사상(私商)
ㆍ사상 도고(私商都賈)
ㆍ사상인(私商人)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