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대간

제목 대간
한자명 臺諫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언관(言官), 이목관(耳目官)
별칭•이칭

[정의]

대관(臺官)과 간관(諫官)을 합쳐 부르던 명칭으로, 관료에 대한 감찰과 국왕에 대한 간쟁을 맡아 보던 언론 기관.

[내용]

대간 제도는 고려 시대 어사대(御史臺)와 낭사(郎舍) 제도를 이어받은 것이다. 대간에게는 언관으로서 간쟁과 탄핵⋅서경 등의 중요한 권한이 부여되었다. 따라서 대간의 중요성은 조선 시대 동안 계속 강조되었고 후보자 선정과 임명 과정에서 적격 심사를 엄격하게 실시하였으므로, 관리들도 대간직에 임명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했다.

대간은 국왕과 재상을 상대로 언론(言論)과 공론(公論)을 주장할 수 있는 학식을 갖추어야 했다. 아울러 국왕이나 재상 등의 권력자들이 잘못된 방향으로 국정을 운영할 때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강직함이 필요했다. 또한 다른 관리들을 감찰하고 탄핵하기 위해 고도의 공정성과 청렴성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대간의 임명은 개인의 능력은 물론 가문까지 고려해서 진행되었다. 만약 대간에 임명될 경우 이들은 언관의 이름에 어울리는 명예와 특권을 누릴 수 있었다.

조선의 대간 제도는 국왕과 의정부(議政府)⋅6조(六曹)가 상호 견제하도록 형성된 권력 구조 속에서 정치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하지만 성종(成宗, 재위 1469~1494) 대 이후 언론 기관의 영향력이 증대되면서 대간 제도가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나 권력 투쟁 등에 이용되어 많은 정치적 폐단을 불러오기도 했다.

▶ 관련자료

ㆍ간관(諫官)
ㆍ대간(臺諫)
ㆍ대관(臺官)
ㆍ대관(臺官)과 간관(諫官)
ㆍ언관(言官)
ㆍ언관직(言官職)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