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삼군부

제목 삼군부
한자명 三軍府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승추부(承樞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의흥부(義興府), 의용위(義勇衛)
별칭•이칭

[정의]

조선 초기 군사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담당하던 관서.

[내용]

1391년(공양왕 3) 고려는 그동안 유지해 왔던 5군 체제를 3군 체제로 바꾸면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설치했다. 조선은 건국 후 삼군도총제부의 명칭과 기능을 유지하다가 1393년(태조 2) 9월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로 개칭했다. 동시에 중방(重房)을 폐지했다. 이 조치를 통해 의흥삼군부가 군사 업무에 관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무엇보다 건국 세력 중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었던 정도전(鄭道傳)을 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로 임명하면서 삼군부의 역할은 더욱 확대되었다. 하지만 조선 초기의 상황에서 삼군부는 실제적 군사력을 갖추고 있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삼군부가 군령과 군정을 통괄하는 기관이라고는 하지만 중앙군에 소속되어 있는 일부 군사들을 지휘할 수 있을 뿐이었다.

하지만 참모 기관의 역할을 수행했던 진무소(鎭撫所)와 사인소(舍人所)가 소속 기관으로 설치되고, 사병 제도가 혁파되고 군사 기능을 담당했던 중추원(中樞院)의 역할까지 삼군부에 흡수되면서 군령⋅군정 기관으로서의 위상이 점차 확립되었다.

태종(太宗, 재위 1400~1418) 대에는 명칭이 여러 차례 개칭되어 승추부(承樞府),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 의흥부(義興府), 의용위(義勇衛) 등으로 불렸다. 태종 대를 지나면서 삼군부라는 명칭 자체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하지만 삼군도총제부, 삼군진무소 등으로 개칭되면서 기능이 유지되었다. 이후 세종(世宗, 재위 1418~1450)의 재위기에 5위 체제(五衛體制)가 확립되면서 삼군이라는 군대 편성 방식이 변경되었다. 최종적으로는 1466년(세조 12) 5위도총부(五衛都摠府)로 개편되었다.

삼군부는 고종(高宗, 재위 1863~1907) 대에 흥선대원군의 개혁으로 다시 설치되었다. 1864년(고종 1) 비대화된 비변사를 축소하고 의결 및 행정 기능을 의정부에 이관하였다. 1865년에는 비변사를 폐지하여 의정부에 통합하고, 대신 삼군부를 부활시켜 군무와 궁궐 숙위를 맡도록 하였다. 1880년(고종 17)에 폐지되어 통리기무아문에 합쳐졌다가, 1882년 6월 임오군란 직후 다시 설치되었으나 그해 12월에 통리군국사무아문에 합쳐졌다.

▶ 관련자료

ㆍ삼군부(三軍府)
ㆍ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ㆍ판의흥삼군부사(判義興三軍府事)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