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잡색군

제목 잡색군
한자명 雜色軍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국가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동원하기 위해 정식 군역(軍役) 대상자 외에 편제해 두었던 예비 병력.

[내용]

잡색군은 조선 건국 직후에는 주력군을 제외한 나머지 병종(兵種)의 군사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국가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정규군 외에 동원할 수 있는 예비 병력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조선 시대는 진관 체제(鎭管體制)가 완성되기 이전에는 외적을 방어하기 위해 변경 지역을 중심으로 군진(軍鎭)을 설치하고 병력을 배치했다. 따라서 대부분의 내륙 지역에는 유사시에 동원할 수 있는 군대가 조직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내륙 지역의 군사 방어 체제를 완비하기 위해 보다 큰 규모의 인원 동원이 필요했다. 결국 잡색군은 조선 건국 초기에 가지고 있었던 군사 방어 체제와 병력 동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되었던 것이다.

잡색군은 1410년(태종 10) 처음 조직되었다. 이후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대에는 잡색군이 하나의 병종으로 파악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잡색군의 동원 체계나 운용 체계가 완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1439년(세종 21)과 1441년(세종 23)에 편성 방식과 징병 대상에 대한 법규를 완성했다.

하지만 잡색군은 기본적으로 동원되는 병력도 아니었고 면제된 훈련이 많았기 때문에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했다. 더욱이 변경 지역보다는 후방 지역에 편제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제로 활용하기 어려운 병력이었다. 특히 진관 체제가 완성되어 전국 단위의 군사 조직이 갖추어지면서 잡색군의 역할은 더욱 축소되었다.

▶ 관련자료

ㆍ잡색군(雜色軍)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