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주
제목 | 객주 |
---|---|
한자명 | 客主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
유의어 | 객주집(客主집), 선주인(船主人), 저가(邸家) |
별칭•이칭 |
[정의]
숙식을 제공하고 상인 간의 거래를 주선하는 시설을 갖춘 중간 상인.
[내용]
객주를 이용하던 계층은 지방에서 소규모의 상품을 육상을 통해 운반하고 장시를 거점으로 상업 활동을 하던 이들이었다. 객주는 이들을 수용할 시설을 갖춘 후 숙박을 제공하고 매매의 위탁을 받고 물건을 모아 상인에게 유통시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객주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거간(居間)이 있었지만 거간과 달리 객주는 숙박 시설을 기반으로 매매 위탁한 물건을 일정한 장소에서 보관하고 거래를 주선해 주는 측면에서 차이가 난다.
객주에서 위탁 판매하는 물건은 직물, 약재 등 가볍고 부피가 크지 않은 것들로 주로 육지에서 생산된 각 지방의 특산물이었다. 이 점에서 포구에 설치되어 부피나 무게가 많이 나가는 상품을 다루었던 선상(船商)들을 유치했던 여각과 구별된다. 이들은 위탁자를 대신하여 위탁 매매를 해 주고 그 대가로 구문(口文)과 같은 수수료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후 객주를 통한 상품 유통이 일반화되면서 상인은 점차 객주에게 예속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객주는 권력과 유착하여 독점 권한을 더욱 확장하였다. 이런 변화를 통해 상업 규모가 확대되자 객주는 조선 후기에 자본을 축적할 수 있었고 개항 이후에는 외국과 무역을 담당하여 독점권을 강화할 수 있었다.
▶ 관련자료
- ㆍ객주(客主)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장시의 발달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한성 쌀 폭동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외국 상인의 진출에 대한 서울 상인들의 대응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포구에서의 상업 활동
- ㆍ선주인(船主人)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도고의 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