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경세유표

제목 경세유표
한자명 經世遺表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조선 후기 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담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책.

[내용]

『경세유표』는 정약용이 조선 후기의 혼란한 상황을 바로잡고 부국강병을 이룩하기 위해 『서경(書經)』과 『주례(周禮)』의 이념을 근간으로 하여 조선 사회의 개혁안을 저술한 책이다. 경세유표는 죽어서나 임금께 올리게 될 개혁안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경세유표』는 『주례』와 『경국대전(經國大典)』의 체제와 같이 육전 체제(六典體制)로 구성되어 있다. 이(吏), 호(戶), 예(禮), 병(兵), 형(刑), 공(工) 체제에 맞추어서 먼저 천관이조(天官吏曹), 지관호조(地官戶曹), 춘관예조(春官禮曹), 하관병조(夏官兵曹), 추관형조(秋官刑曹), 동관공조(冬官工曹)까지 6조의 조직 구성, 담당 업무와 개혁 방향을 저술하였다. 다음으로 천관수제(天春官修制)를 두어 이조 각 기구의 운용에 대한 개혁안을 서술하고, 지관수제(地官修制)를 추가하여 전제 및 호적 제도 등의 개혁안을 저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춘관수제(春官修制)와 하관수제(夏官修制)를 써서 과거제의 개혁안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형조 및 공조에 대한 추관수제와 동관수제는 완성되지 못했다.

『경세유표』의 내용 가운데 정약용의 생각이 가장 집약적으로 들어가 있는 부분은 농업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토지의 배분과 관련한 정약용의 생각을 표현한 지관수제(地官修制)에서는 고대 중국의 정전제(井田制)를 이상적인 제도로 상정하고 있다. 그는 이를 통해 자영농을 육성하고 토지의 편중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고대의 토지 제도를 현실적으로 조선 후기 사회에 실현시키기 위해 사전(私田)과 공전(公田)의 적절한 비율을 설정하는 등 구체적인 실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조선 후기의 신분제 해체와 관련하여 과거제 개혁안을 논하였고, 삼정(三政)으로 대표되는 부세 문제에 대해서도 개혁안을 제시하였다. 정약용이 제시한 개혁안은 당대에 직접 실현되지는 못했지만 조선 사회를 면밀하게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측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 관련자료

ㆍ경세유표(經世遺表)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