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
제목 | 서원 |
---|---|
한자명 | 書院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
유의어 | |
별칭•이칭 |
[정의]
16세기 중엽 이후 강학과 선현들에 대한 제향(祭享)을 담당하던 사적 교육 기관.
[내용]
서원은 16세기 중엽에 등장했다. 풍기군수(豊基郡守) 주세붕(周世鵬, 1495~1554)이 1543년(중종 38)에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설립하고, 이황(李滉, 1501~1570)의 주선으로 ‘소수(紹修)’라는 사액을 받은 이후 여러 고을에 서원이 건립되었다. 초창기 서원은 향촌의 사림(士林)들이 자율적으로 설립하고 운영도 자율에 맡겨졌다. 이후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대에 이르러 사림들이 정권을 장악하자 사림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을 만들기 위해 서원을 건립하였다. 따라서 서원은 지방 사림들의 자치 활동을 보장하는 기능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성리학을 교육시키고 후학을 양성하는 교육 시설로 기능하였다. 최초로 서원이 등장한 지 반 세기도 지나지 않아서 서원이 없는 고을이 없다고 할 정도로 서원은 각 지방에 확산되었다.
서원은 정치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17세기에 접어들면서 붕당 정치가 명분과 의리 위주로 전개되면서 향촌 사회의 여론이 중앙 정치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었는데 자기 붕당의 정치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향촌에 서원을 경쟁적으로 건립하였다. 그러나 서원이 증가할수록 각종 폐단이 나타났다. 가장 큰 문제점은 국왕으로부터 사액을 받은 서원은 면세 혜택을 받았던 점이었다. 또한 서원에 등록된 인원은 면역(免役)이 되었기 때문에 서원에 경제적인 이유로 기생하는 부류가 늘어나기도 했다. 따라서 국가에서는 서원 소유의 토지에 면세 혜택을 줄여나갔다. 이후 영조(英祖, 재위 1724~1776)는 서원으로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741년(영조 17) 서원을 조사하여 사사로이 건립한 서원은 정리하라는 명을 내리기도 했다. 명이 내려진 이후 전국적으로 178개소의 서원이 철폐되었다. 이후 대원군이 1864년(고종 1) 서원의 폐단을 이유로 서원 철폐령을 내려 전국적으로 47개소의 서원만 남게 되었다.
▶ 관련자료
- ㆍ서원(書院)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무오사화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사액 서원의 출발-소수 서원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서원의 남설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서원 철폐
- 한국의 역사: 다. 지방의 유교 문화가 발달하다 - 서원과 향약(C. The Development of the Confucian Culture in the Countryside - Seowon and Hyangak)
-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사림의 성장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사림의 정치적 성장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교육 기관
- ㆍ백운동 서원 설립
- 한국사 연대기: 백운동 서원 설립(白雲洞書院 設立)
- ㆍ서원 철폐
- 한국사 연대기: 서원 철폐(書院撤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