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항 문학
제목 | 위항 문학 |
---|---|
한자명 | 委巷文學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
유의어 | 여항 문학(閭巷文學) |
별칭•이칭 |
[정의]
조선 후기 서울 지역의 중인 이하 계층이 이끌어간 한문학 활동.
[내용]
위항(委巷)은 여항(閭巷)이라고도 하는데, 서울의 뒷골목을 가리킨다. 조선 시대 청계천 주변과 인왕산 부근에 살았던 중인들을 중심으로 양반의 한문학과는 다른 한문학 경향을 보였다는 뜻에서 ‘뒷골목 문학’, 곧 ‘위항 문학’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위항 문학은 이후 서얼과 노비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나타났고, 양반이 아니면서 문학을 주도했던 이들을 묶어 ‘위항인’이라고 하기도 했다.
16세기 중반 이후 활동했던 유희경(劉希慶)을 비롯한 초기 위항 시인들은 부당한 사회 제도에 대한 비판보다는 천민이지만 시인이라는 사실에 자족했다. 그러나 점차 그들은 시인들의 시 창작 모임인 시사(詩社)를 조직하고 시집을 간행하면서 문학을 하나의 세력을 이루는 계기로 만들어갔다. 18세기가 되면서 위항 문학은 신분 상승 운동의 한 방편이 되었으며 18세기 말에 인왕산을 근거지로 한 옥계시사(玉溪詩社)에서 위항 문학은 절정을 맞이하여 많은 사람들이 활발히 참여하였다. 19세기 중반 소규모로 전승된 위항 문학은 19세기 말 청계천을 중심으로 한 육교시사(六橋詩社) 동인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거듭났다. 이들은 시대 의식을 담은 시를 선보이면서 개화파와 어울리며 당대 양반들보다 적극적으로 시대를 이끌어 나가고자 했다.
위항 문학은 지배 계층인 양반의 전유물이었던 시사 조직과 시집 간행의 문화를 흡수하였다는 점에서 중인 이하 계층의 양반 지향성, 신분 상승 의지를 보여 준다. 그리고 신분제가 해체되어갈 무렵인 개항기부터 위항인들은 스스로 변화의 주체로서 문화의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 관련자료
- ㆍ위항 문학(委巷文學)
- 주제로 보는 한국사: 2) 행정 전문가 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