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국문 연구소

제목 국문 연구소
한자명 國文硏究所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대한제국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1907년 학부(學部) 안에 설치한 한글 연구 기관.

[내용]

1905년 7월 의학교 초대 교장이었던 지석영(池錫永)은 자신의 국문 개혁안을 「신정국문(新訂國文)」이라는 이름으로 정부에 올렸다. 정부에서는 이 상소를 재가하여 공식 법령으로 공포하였지만 논란이 일어나 제대로 시행되지는 못했다. 1906년 5월 이능화(李能和) 역시 학부에 「국문일정의견(國文一定意見)」을 제출하여 우리나라 문자 체계를 통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이 한글 문자 체계를 통일할 필요성이 계속해서 제기되자, 정부는 1907년 7월 학부 안에 국문 연구소를 설치했다. 국문 연구소의 목적은 「국문 연구소 규칙」 제1조에 “국문의 원리 및 연혁과 현재의 행용(行用) 및 장래 발전 등의 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연구소 조직은 위원장에는 학부 학무국장 윤치오, 위원에는 학부 편집국장 장헌식, 관립 한성 법어 학교(漢城法語學校) 교장 이능화, 내부 서기관 권보상, 현은, 주시경 및 학부 사무관이었던 일본인 우에무라(上村正己)가 임명되었다. 한 달 뒤인 8월 19일 장헌식을 대신해 어윤적이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9월 23일 이종일, 이억, 윤돈구, 송기용, 유필근 등 5명이 위원으로 새로 임명되었다. 1908년 1월 지석영, 6월에 이민응이 위원으로 추가 임명되었고, 8월과 10월에는 이억, 현은, 이종일, 유필근이 해임되었다.

연구소는 1907년 9월 16일에 제1회 회의를 시작하여 1909년 12월 27일 제23회 회의를 마지막으로 2년 반 동안 활동하였다. 이 기간 동안 연구소의 위원장은 10회에 걸쳐 모두 14개항의 문제를 제출하였고, 이에 대한 토론과 의결을 거친 최종 「보고서」를 1909년 12월 28일자로 학부대신에게 제출하였다. 또 「보고서」와 함께 그동안 연구하고 토의하여 결정한 사안들을 「국문연구의정안」으로 정리했다.

국문 연구소 「보고서」는 일본 도쿄대학 도서관 오구라문고(小倉文庫)에, 연구소의 연구안과 의안들을 묶은 「국문 연구안」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의 육당문고(六堂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 관련자료

ㆍ국문 연구소(國文硏究所)
ㆍ국문 연구회(國文硏究會)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