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목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자명 한글맞춤法統一案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1933년 조선어 학회가 제정⋅공표한 정서법(正書法) 통일안.

[내용]

“조선어의 정확한 법리를 연구”할 목적으로 설립된 조선어 연구회는 1930년 12월 13일 총회를 열어 대한제국기의 한글 연구를 기초로 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사전 편찬 작업을 위해 1931년 1월 조선어 연구회를 “조선어문의 연구와 통일”을 위한 기관인 조선어 학회로 개편하였다. 조선어 학회는 1932년 12월에 맞춤법 통일안의 원안(原案)을 발표하였다. 원안 작성에는 권덕규(權悳奎)⋅김윤경(金允經)⋅박현식(朴顯植)⋅신명균(申明均)⋅이극로(李克魯)⋅이병기(李秉岐)⋅이윤재(李允宰)⋅이희승(李熙昇)⋅장지영(張志暎)⋅정열모(鄭烈模)⋅정인섭(鄭寅燮)⋅최현배(崔鉉培) 등 12명이 참여하였다. 그 후 김선기(金善琪)⋅이갑(李鉀)⋅이만규(李萬珪)⋅이상춘(李常春)⋅이세정(李世禎)⋅이탁(李鐸) 등 6명이 증원되어 원안을 심의하였다. 원안에 대한 2차례의 수정을 거쳐 1933년 10월 29일 한글 맞춤법에 대한 최종안이 발표되었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총론 3항, 각론 7장 63항, 부록 1⋅2로 구성되었다. 총론에서는 표준어를 “현재 서울의 중류 사회에서 쓰는 말”이며, 맞춤법의 원칙은 표음주의(表音主義)로 하고, 단어는 띄어 쓴다는 원칙을 규정하였다. 문자 체계에서 실질적으로 변화한 것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당시까지 써 오던 “⋅(아래아)”를 폐기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된소리 표기인 “ㅺ, ㅼ, ㅽ, ㅾ”과 “ㅄ”을 각각 “ㄲ, ㄸ, ㅃ, ㅆ, ㅉ”로 바꾸어 표기한 것이었다. 한글 맞춤법은 이후에도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수정을 거쳤지만, 1933년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오늘날 사용되는 한글 맞춤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점은 변하지 않았다.

▶ 관련자료

ㆍ한글 맞춤법 통일안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