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관부 연락선

제목 관부 연락선
한자명 關釜連絡船
유형
시대 근대
관련국가 대한제국, 일본
유의어 부관 연락선(釜關連絡船)
별칭•이칭

[정의]

부산(釜山)과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 사이를 운항하던 정기 연락선.

[내용]

1905년 1월 1일 서울에서 부산까지 경부선 철도가 개통되었다. 이를 계기로 일본의 산요 기선 주식회사(山陽汽船株式會社)는 일본의 산요 철도와 한국의 경부선을 연결시키는 연락선 항로를 만들었다. 9월 첫 여객선이 취항하면서 이것이 관부 연락선의 시초가 되었다. 최초로 취항한 선박은 1,680톤 급의 이키마루(壹岐丸)로 승객 정원은 317명, 화물 적재량은 300톤이었다. 선실은 1등실부터 3등실까지 나눠져 있었는데, 객실의 모습이 상당히 대조적이었다. 1등석은 호화로운 휴게실과 레스토랑까지 완비된 공간이었지만, 3등석은 좁고 빼곡한 공간에 많은 승객과 물건들이 뒤섞인 혼란스런 공간이었다. 배의 운항 시간은 11시간 30분 정도였다. 이키마루 이후에 쓰시마마루(對馬丸), 에게야마마루(會下山丸), 사쓰마마루(薩摩丸), 우메가카마루(梅ヶ香丸), 사쿠라마루(櫻丸), 곤고마루(金剛丸), 고안마루(興安丸) 등이 잇따라 취항하며 관부 연락선의 수송력 또한 증대되었다. 1905년부터 1945년까지 대략 3천만 명의 승객이 관부 연락선을 이용하였다.

이 항로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에 미국의 공습으로 항로가 차단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운영되었다. 그리고 종전 이후 다시 복구된 이 항로를 통해 많은 한국인과 일본인 귀향자들이 자신들의 고향으로 돌아갔다. 관부 연락선은 일제 강점기 한반도와 일본 사이의 인적⋅물적 자원의 독점적 수송 수단이었다는 역사적 의미를 가진다. 관부 연락선이 다니던 항로에는 현재 부관페리가 취항하여 한일 간 해상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