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조선 시대

백정

제목 백정
한자명 白丁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도한(屠漢), 백장(白丁), 신백정(新白丁), 포정(庖丁), 포한(庖漢)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유기(鍮器) 제조나 소의 도살을 직업으로 삼아 생활하던 천인 계층.

[내용]

백정이란 고려 시대에는 특정한 역(役)을 담당한 정호(丁戶)와 대비되어 특정한 역을 담당하지 않고 농업에 종사하던 사람을 지칭하던 용어였다. 그러나 조선 시대에는 도살업이나 유기 제조업 등 특정 업에 종사하는 부류를 지칭하는 말로 의미가 바뀌었다. 1423년(세종 5) 병조에서는 재인(才人)화척(禾尺)이 하는 일이 천하고 호칭이 특수하여 백성들로부터 다른 부류로 취급받고 있으므로, 이들을 ‘백정’이란 용어로 부르고 토지를 주어 농민으로 정착시킬 것을 요청하여 왕의 허락을 받았다. 처음에는 이러한 백정을 고려 시대의 백정과 구분하기 위하여 ‘신백정(新白丁)’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이처럼 재인, 화척을 백정으로 명칭을 바꾸어 부르기 시작한 것은 이들을 교화시켜 일반 백성들과 함께 어울려 살도록 하겠다는 국가의 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이러한 재인, 화척 중 상당수가 유기를 비롯한 수공업 제품 생산, 우마(牛馬) 도살 및 육류 판매 등에 종사하였기 때문에 후대에는 도살업, 유기 제조업에 종사하는 이들을 백정이라 지칭하게 된 것이다. 이들은 신분상 천인이었는데, 같은 천인 중에서도 가장 낮은 대접을 받았으며, 의복 착용이나 촌락 행사 참여 등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차별을 받았다.

1894년 갑오개혁의 실시로 신분제가 철폐되면서 백정 신분은 법제상으로는 사라졌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 이들에 대한 차별 의식은 이후에도 쉽게 사라지지 않고 일제 강점기까지 이어져 형평 운동(衡平運動)이라 불리는 백정들의 신분 해방 운동이 전개되었다.

▶ 관련자료

ㆍ고리백정(古里白丁)
ㆍ도한(屠漢)
ㆍ백정(白丁)
ㆍ소를 잡는 백정(白丁)
ㆍ신백정(新白丁)
ㆍ짐승을 잡는 사람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