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유형별 > 전체

철령위

제목 철령위
한자명 鐵嶺衛
유형
시대 고려 시대
관련국가 고려
유의어
별칭•이칭

[정의]

고려 말기 명(明)에서 철령 이북의 고려 동북방 변경 지역을 직접 다스리기 위해 설치하려 했던 군사적 행정 관부.

[내용]

명은 철령 이북의 고려 동북방 지역이 원래 원(元)의 영역이었다고 주장하면서, 철령 이북 지역에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하여 직접 다스리려고 하였다. 철령위를 설치해 명이 다스리고자 했던 영역은 원이 100여 년간 통치했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지역을 지칭한다. 명에서는 1387년(우왕 13) 12월에 철령위 설치를 결정하였으며, 당시 명에 사신으로 가 있던 설장수(偰長壽)가 그 사실을 이듬해 고려 조정에 전달하였다.

고려에서는 철령 북쪽으로 멀리 공험진(公嶮鎭)까지 모두 고려의 이전 영토였음을 주장하며 철령위 설치를 철회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그러나 명은 이를 받아들이기는커녕 오히려 철령위 설치를 정식으로 통보하며 고려를 압박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최영(崔瑩) 등 강경 세력이 철령위 설치에 반발하여 요동(遼東) 정벌을 단행하였다. 최영을 중심으로 조민수(曺敏修), 이성계(李成桂) 등을 각 군의 도통사(都統使)로 삼아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으나, 위화도(威化島)에서 이성계가 회군하면서 요동 정벌은 중단되었다. 이성계 등은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요동 정벌을 주도했던 우왕(禑王, 재위 1374∼1388)과 최영 등을 제거하고 고려의 내정을 장악하면서, 조선 건국 과정을 본격적으로 밟아 나갔다.

이후 명에서는 더 이상 철령위 설치를 고려에 거론하지 않았다. 당초 명은 철령위 설치를 적극적으로 시도했다기보다는, 철령위 설치 문제를 제기하여 고려의 만주 방면 진출을 사전에 저지하고 요동 일대를 확실히 장악하고자 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 관련자료

ㆍ철령위(鐵嶺衛)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