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요즘 고궁은 물론, 거리 곳곳에서 한복 입은 분들 많이 보셨죠?
이제 한복은 특별한 추억을 만드는 ‘패션 아이템’으로 새롭게 유행하고 있는데요.
그 시대의 패션을 주도했던 왕과 왕비!
과연 조선 시대 왕실에서는 어떤 복식들을 착용했을까요?

조선 시대 왕실 복식

성리학을 중심으로 사회 전반에 걸쳐 제도를 정비한 조선은 각종 제례와 주요 행사, 장소, 신분제도에 따라 의복도 엄격하게 구분하여 갖춰 입었습니다.

조선 시대 왕은 평소 집무를 볼 때 익선관을 쓰고, 곤룡포를 입고, 허리에는 옥대를 두르고 흑화를 신었는데요.

익선관(翼善冠) 매미 날개 모양의 뿔이 달려있는 임금이 쓰던 관

익선관은 두 개의 뿔이 매미 날개 모양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곤룡포(袞龍袍) 용포(龍袍)라고도 불림 양어깨, 가슴, 등에 용문양 보(補)를 붙임

곤룡포는 용포라고도 불리는데요.
왕은 붉은색, 황제는 황색 비단으로 만들며, 양어깨와 가슴, 등에는 금실로 용 문양을 수놓은 보(補)를 붙입니다.

용문양은 왕실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는데요.
왕은 용의 발톱이 다섯 개인 오조룡을 사용하였고, 왕세자는 네 개인 사조룡을 사용하여 구분했습니다.

조선 시대 왕은 붉은 색 곤룡포를 입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태조 이성계는 청색 곤룡포를 입었네요 왜 다를까요?

“ 태조의 재위기간 동안에 곤룡포의 색상이 명확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오방색 중에 그래도 청색이 ‘동방’을 뜻하는 색으로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을 해서 그 색을 택하지 않았을까 하는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이은주 교수 /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면복(冕服) 왕실의 혼례나 즉위, 제사 등 중요한 의례 때 입는 대례복

또 혼례나 즉위식, 제사 등 왕실에서 중요한 의례가 있을 때는 왕이 지녀야 할 덕목을 표현한 문장을 새긴 면복을 입고 면류관을 썼습니다.

면류관의 구슬끈은 왕은 9줄, 세자는 8줄이었습니다. 귀 옆에는 ‘충이’라는 구슬이 닿도록 만들었는데요. 이는 다른 사람의 말을 가려서 들으라는 깊은 뜻이 담겨 있습니다.

당의(唐衣) 조선 시대 여성들의 예복 궁중에서는 평상복으로 입음

궁궐 여성들은 평소 소례복으로 치마, 저고리, 그 위에 당의를 덧입었고,

적의(翟衣) 혼례 등 주요행사 때 입었던 왕실 여성의 최고 예복

중요한 행사 때는 대례복인 ‘적의’를 입었습니다.
적의는 대비와 중전, 세자빈, 세손빈만 입을 수 있었는데요.
색깔로 신분 위계를 구분하였습니다.

원삼(圓衫) 궁중 소례복, 내외명부의 대례복, 서민층의 혼례복

적의를 입을 수 없었던 후궁들은 대신 홍장삼과 원삼을 입었는데요.
일반 여성들은 혼례 때만 입을 수 있는 귀한 예복이었습니다

숙종 이후에는 사치풍조가 심해지면서 남녀의 복식도 더욱 화려해졌는데요.

가체(加髢) 여자의 머리숱을 많아 보이게 하려고 덧 넣는 딴 머리

특히 여성들의 가채는 권위와 아름다움을 강조하기 위해 점점 화려해지고 커지면서 급기야는 무거운 가체 때문에 목을 다쳐 사망하는 사건까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국가에서 가체금지령이 내리자 가체 대신 족두리를 착용하게 되었고 이후에는 비녀를 꽂는 쪽머리로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가장 빠르게 해외 문물을 받아들이고 최고의 재료와 기술로 만들어진 왕실 복식은 당대 최고의 패션이었습니다.

누구나 쉽게 시간여행을 떠날 수 있는 박물관! 이곳에서도 특별한 유물을 만나게 되는데요.

여기 있는 미라가 조선 시대 6살 소년의 미라래요.

미라와 함께 출토된 의복은 그 시대의 복식문화를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가 됩니다.

2003년 충남 연기군에서 발굴된 무덤에서도 미라와 함께 조선 시대 남녀의 다양한 옷들이 발견됐는데요.
특히 여성의 솜옷들이 출토되어 당시의 누비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습니다.
과연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솜옷을 입게 되었을까요?

한국 복식의 대혁명, 목화씨

우리나라 신석기시대 유적지에서 삼실을 꿴 뼈바늘이 출토된 것을 통해 이 시기에 이미 옷을 제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삼한시기에는 누에를 키워 만든 명주나 삼베로 옷을 만들어 입고, 구슬과 금ㆍ은 등으로 장식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삼국시대부터는 저고리, 바지, 치마, 포 등 우리나라 복식의 기본 구조가 갖춰지기 시작했는데요.

고구려, 백제, 신라가 서로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삼국의 복식은 각각의 특징을 가지면서도 또 비슷한 형태를 보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당과의 활발한 교류로 복식에서도 당의 영향을 많이 받았습니다.

고려 시대에는 중국을 비롯해 주변 국가들의 정치적 영향으로 왕실과 귀족들 복식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 대표적으로 원나라의 영향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충렬왕이 세자 시절에 원나라에서 돌아올 때 이미 호복(몽골복식)을 하고 돌아왔습니다. 그래서 ‘고려사’에는 그 모습을 보고 사람들이 놀랐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그런데 충렬왕이 즉위를 한 후에 신하들에게 몽골풍의 복식을 착용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러한 모습은 약 80여 년간 지속이 되었습니다. ” 이은주 교수 / 안동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이러한 변화로 관복은 중국복식을, 일상복은 고유복식을 착용하는 이중적인 복식구조가 더욱 분명해지기 시작했는데요.

귀족들은 속옷까지 비단으로 입을 정도로 부유했지만, 서민들은 한 겨울에도 얇고 거친 삼베옷으로 살아야했습니다.

그러나! 고려 시대 문신이었던 문익점이 중국에서 목화씨를 가져오면서 우리나라 복식에도 큰 혁명이 일어납니다.

문익점은 백성들도 따뜻한 옷을 입을 수 있도록 목화를 재배하는 방법부터 면직물 생산기술까지 연구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조선 시대에는 무명천이 대중화되면서 백성들도 겨울에 따뜻한 옷을 입고 솜이불을 덮을 수 있게 됐고, 면으로 더욱 다양한 의복을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19세기 말, 고종 때부터는 한복과 양복이 혼용되기 시작했는데요.
개화기 이후 복식이 점점 서양식으로 간소화되고 여성들이 복식문화를 주도하기 시작했습니다.

[에필로그]
우리가 꼭 알아야할 한국사 속 문화예술 상식

1. 조선 시대 왕은 집무를 볼 때 익선관을 쓰고 곤룡포를 입었다.
2. 고려 시대 원 간섭기에는 개체변발 등 몽골풍 복식이 유행하였다.
3. 문익점이 목화 재배에 성공하면서 백성들도 따뜻한 옷을 입게 되었다.

해설

1. 우리민족의 기본복식

우리 민족이 언제부터 옷을 입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출토된 마사가 꿰어 있는 뼈바늘을 비롯한 각종 동물 뼈로 만든 뼈바늘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간단한 방직이 이루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고대국가 체제를 정비한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은 상호간에 전쟁을 벌이는 한편 타국과의 문물교류에 의해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형성된 삼국시대의 복식은 삼국시대에 이르러 원형이 정착되고 완성되었다기보다 농경과 청동기 문화에 바탕을 두고 성립된 최초의 고대국가였던 고조선 시대부터 우리 복식의 기본형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삼국시대 이전 복식에 관한 자료는 미비하지만 『동사강목(東史綱目)』 기자조선(箕子朝鮮)에 단군이 백성들에게 편발과 개수(蓋首)를 가르쳤으며, 군신, 남녀, 음식, 거처의 제도가 이때부터 비롯되었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삼국시대 이전부터 우리 민족은 복식의 기본구조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리적으로 인접한 삼국은 외부 문물의 유입경로와 자연환경이 유사하고 공유문화가 광범위하여 복식 또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인다. 즉, 유(襦: 저고리)와 고(袴: 바지), 상(裳: 치마), 포(袍: 겉옷)를 중심으로 관모(冠帽), 대(帶), 화(靴) 또는 이(履)가 첨가된 형태를 복식의 기본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2. 삼국시대 복식

일찍부터 주변 소국들을 정복하고 중앙정부의 권한을 강화하면서 가장 먼저 강성하였던 고구려는 국내성과 평양성 주변으로 많은 고분벽화를 남겼는데, 벽화 속에 나타나는 인물들을 통해 고구려인들의 복식 형태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백제는 지리적인 이점을 살려 바다 건너 중국의 여러 지역 및 일본과도 활발한 교류를 행하였다. 자연적인 이점을 바탕으로 화려하고 세련된 복식문화를 이루었을 것으로 짐작되는데, 이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신라는 동해안과 낙동강 유역의 소국들을 정복하여 발전하였는데 진흥왕대의 활발한 정복사업에 의해 국토를 확대하면서 삼국간의 각축에서도 주도권을 갖추게 되었다. 지리적인 위치로 인하여 가장 뒤늦게 시작된 신라였지만 고구려ㆍ백제 양국의 문화적 자극으로 인해 보다 찬란한 복식문화를 꽃피우게 되며, 무덤에서 출토되는 화려한 금제 장식과 토우들을 통해 당시 신라인의 복식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삼국을 통일한 통일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발달된 문화를 흡수하고 발전시켜 나가지만 당의 세력을 이용한 통합과정과 한반도의 남쪽을 차지하는데 그치면서 불완전한 통일을 이루었다. 하지만 당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당의 문물과 서역문화를 수용하면서 문화적으로 한층 더 성장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통일 전 신라에서 당에 청하여 착용하였던 관복뿐만 아니라 귀족계층을 중심으로 한 당의 복식이 우리의 복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통일신라는 사회전반의 제도 정비, 정치ㆍ경제적 안정, 문화적 번성, 그리고 외국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복식문화의 발전의 전성기를 구사함으로써 금관을 비롯한 다양한 장신구 발달과 복식양식의 새로운 지향점을 보여준 시대라 할 수 있다. 통일신라 전후의 복식 양식은 경주 황성동 고분과 경주 용강동 고분에서 출토된 인물토용을 비롯하여 원성왕릉의 문인석과 무인석을 통해서 당시 관리들의 복식뿐만 아니라 일반 서민복의 형태에 대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통일신라와 달리 발해는 고구려 복식의 바탕 위에 당의 복식제도를 받아들였으며, 이러한 발해의 복식은 정효공주 묘 벽화 인물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3. 고려 시대 복식

혼란스러웠던 후삼국을 수습하고 고려를 건국한 왕건은 불교의 힘으로 삼국통일을 이루었다고 여겨 개국 초부터 불교는 왕실ㆍ귀족 중심의 종교로 자리를 잡았으며, 일반 백성에 이르기까지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고려는 고구려의 전통성을 계승하였으나 신라의 문물위에 건국되어 복식에서 통일신라의 제도 및 중국의 제도가 많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원의 간섭기 동안에는 고려 사회전반에 원의 영향이 작용하여 복식에서도 원의 영향에 의한 상당한 변화가 초래되는데. 새로운 양식이 대두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래양식에 의한 고유의 복식에서의 변화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고려말에는 원의 멸망과 명의 건국으로 명의 복식제도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이는 주로 지배계층에서 주로 받아들이게 되어 고려사회는 명의 복식제도에 의한 지배계층의 중국양식과 서민계층의 고유복식 착용이라는 이중적인 구조를 지속하게 된다. 불교를 국교로 삼은 고려 시대에는 사회전반에 불교가 스며들었으므로 고려인들의 복식에 관해서는 고려불화나 복장품 등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4. 조선 시대 복식

조선 시대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을 계기로 신흥사대부와 무장세력이 규합하여 건국되었으며, 성리학을 국가이념으로 삼고 조선의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제도를 정비하였다. 『경국대전』, 『국조오례의서례』와 같은 법전과 예전을 완성하였으며 외교관계도 중요시하여 명나라를 사대의 예로서 대우하여 수시로 사신을 파견하였다. 이때 사신은 정치적 외교 업무 외에도 복식을 비롯한 문화교류의 한 부분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복식제도는 건국 초 고려말 명에서 사여(賜與)받은 복제를 그대로 계승하였으며, 사회전반에 걸친 친명사상에 기초하여 복제(服制)를 정립하였다. 이렇게 정비된 복식제도는 연산군대에 이르러 신분계층에 따라 정비되고 더욱 분화되면서 안정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조선은 선조대의 임진왜란(1592~1598)과 인조대의 정유호란, 병자호란(1636~1637)을 겪게 됨으로써 정치ㆍ경제ㆍ문화 등에 걸쳐 큰 변화를 거치게 된다. 복식에서는 전란에 의한 철릭과 같은 융복의 착용이 많아졌으며, 관복의 변화와 입제(笠制)의 확립, 경제적 궁핍에 의한 복식의 간소화 등이 생겨나게 되었다.

하지만 영조와 정조대에 이르러서는 문예의 부흥기라고 부를 만큼 수준 높은 문화가 자리를 잡게 되었으며, 특히 서민문화가 발달하여 김홍도ㆍ신윤복과 같은 풍속화의 대가들이 당시 서민들의 생활상을 잘 표현하였다. 특히 정조대 이후에는 서양의 문물과 청의 선진 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아지게 됨에 따라 복식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세습에 의한 신분제도가 경제적 능력에 의해 변동이 가능해지면서 상류계층의 전용이었던 표의(表衣)의 착용이 하류계층에서도 빈번해졌으며, 여성에게 가혹하게 적용되었던 유교적 도덕관이 약화되면서 여자복식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조선 말 고종의 등극으로 세도정치가 종식되고 『대전회통』과 같은 법전이 편찬되었으며 사치풍조를 바로잡기 위해 의복을 간소화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강압적인 위협으로 고종 13년 병자수호조약을 맺어 우리나라는 외국에 문호를 개방하기 시작하여 한복과 양복의 혼용이 시작되었다. 광무 9년 을사보호조약을 거쳐 1910년 한일합방으로 인하여 건국(1392) 이래 조선왕조 500년 역사는 막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변화 속에서 조선 시대 복식은 관복에서는 명의 복식을 따르고자 하였으나 편복(便服)에서는 남녀 모두 우리 고유의 양식을 고수하였으며 다만 시대에 따른 변화만이 감지되었을 뿐이다.

5. 개화기 이후 복식

개화기는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은 1876년부터 일제강점기까지를 말하는 것으로 이 시기에는 조선후기 봉건체제가 무너지고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넘어가는 시기일 뿐 아니라 개화사상 등 민중들의 의식수준이 향상되는 가운데 외국문물이 도입되어 우리의 전통적인 개념과 가치관에 획기적인 변화를 일으킨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 복식의 개혁도 시도하였으나 충분한 설득력이 없어 많은 유림들과 백성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1884년 고종의 갑신의제개혁 실시로 관복은 흑단령으로 통합이 되었으며, 광수(廣袖: 넓은 소매)포를 폐지하고 착수형태의 주의로 간소화시켜 신분에 관계없이 착용하도록 하였다.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전통 한복문화에서 한복과 양복의 혼용으로 넘어가는 변화를 겪게 되었으며, 신문이나 잡지 등의 광고를 통한 양장ㆍ양산 등 서양문물은 자연스럽게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켜 유행이 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편리함과 대량생산에 힘입어 급속도로 확산된 서양식 옷차림은 한복 대신 일상복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렇듯 전통복식은 격동의 시기를 겪으면서 양복과 혼용되는 문화적 변화를 보이는 데, 이러한 배경에는 사회개혁과 신교육에 따른 여성들의 의식변화, 언론의 영향이 있었다.

먼저, 동학의 인간 평등과 인간 존중 사상에 의해 신분의 구별이 사라짐에 따라 신분에 따른 복식제도가 간소화되고 주의의 착용이 보편화된 것이다. 그리고 신교육에 따른 의식변화를 겪은 여성들이 여자복식의 변화를 주도하게 되었으며, 1896년 독립신문의 발간 이후 여러 신문들이 발행됨으로써 복식의 유행을 빠르게 전파시키게 되는 것이다.

1945년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날 때까지 남자는 국민복, 여자는 몸빼의 착용을 강요하였으나, 일반 서민계층의 전통복식 착용은 크게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1950년 6ㆍ25전쟁으로 인한 폐허, 산업 구조의 변화는 서양복식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게 되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고문헌

  • 『[純祖純元王后]嘉禮都監儀軌』
  • 『[憲宗孝定王后]嘉禮都監儀軌』
  • 『高麗史』
  • 『舊唐書』
  • 『梁書』
  • 『北史』
  • 『沙溪全書』
  • 『四禮便覽』
  • 『三國史記』
  • 『三國志』
  • 『朝鮮王朝實錄』
  • 『朱子家禮』

도록

  • 경기도박물관, 2004, 『경기도박물관 명품선』
  • 국립경주박물관, 2015, 『신라의 황금문화와 불교미술』
  • 국립고궁박물관, 2007, 『국립고궁박물관 전시안내도록』
  • 국립고궁박물관, 2009, 『고려 시대를 가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0, 『영친왕 일가 복식』
  • 국립고궁박물관, 2012, 『왕실문화도감: 조선왕실복식』
  • 국립공주박물관, 2010, 『국립공주박물관』
  • 국립대구박물관, 2002, 『한국전통복식 2000년』
  • 국립민속박물관, 1994, 『한국인의 얼굴』
  • 국립부여박물관, 2012, 『백제인의 얼굴, 백제를 만나다』
  • 국립중앙박물관, 2010, 『조선 시대 궁중행사도Ⅰ』
  • 국립중앙박물관, 2011, 『초상화의 비밀』
  • 단국대학교 石宙善紀念博物館, 2006, 『搨影 名選 上』
  • 복천박물관, 2010, 『履 고대인의 신』
  • 부산근대역사관, 2010, 『부산의 근대 자본가 청운 윤상은의 일생』
  • 성보문화재연구원, 1999, 『해인사 금동비로자나불 복장유물의 연구』
  • 소수박물관, 2009, 『소수박물관』
  • 溫陽民俗博物館, 1991, 『1302년 阿彌陀佛腹藏物의 調査硏究』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Ⅰ』, 서울대학교 출판부
  •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Ⅱ』, 서울대학교 출판부
  •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89, 『조선유적유물도감 1』
  •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1989, 『조선유적유물도감 2』
  • 朝鮮總督府, 1929, 『朝鮮古蹟圖譜 9』
  •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 2012, 『조선의 공신』

단행본

  • _________, 1998, 韓國服飾史, 修學社
  • Andrei Alekseev, 2000, The Golden Deer of Eurasia: Scythian and Sarmatian Treasures from the Russian Steppes The State Hermi, 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 菊竹淳一·鄭禹澤 外, 1996, 『高麗時代의 佛畫』, 시공사
  • 金元龍, 1980, 『壁畵』, 同和出版社
  • 金元龍, 1980, 『壁畵』, 同和出版社
  • 김문자, 2015, 『한국복식사 개론』, 교문사
  • 김유경, 1994, 『옷과 그들』, 삼신각
  • 李民樹 譯註(1993), 『三國遺事』一然(1281), 乙酉文化社
  • 박성실·조효숙·이은주, 2005, 『조선 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출판부
  • 박영규, 2001, 『신라 왕조실록』, 웅진닷컴
  • 山西博物院, 2015, 『宝宁寺明代水陆畵』, 北京: 文物出版社
  • 石宙善, 1980, 『韓國服飾史』, 寶晉齋
  • 沈奉謹, 2002, 『密陽古法里壁畵墓』, 세종출판사
  • 王宇淸 勘定, 1984, 『中華服飾圖錄』, 臺北: 世界地理
  • 劉頌玉, 1991, 朝鮮王朝 宮中儀軌服飾, 修學社
  • 이난영, 1998, 『토우』, 대원사
  • 이여성, 1947, 『조선복식고』, 민속원(2008영인)
  • 이은주·조효숙·하명은, 2005, 『17세기의 무관 못 이야기』, 민속원
  • 전호태, 2016, 『고구려 고분벽화』, 돌베개
  • 朝鮮日報社, 1993, 『集安 고구려 고분벽화』
  • 조흥윤, 2004, 『민속에 대한 기산의 지극한 관심』, 민속원
  • 中國織繡服飾全集編輯委員會, 2004, 『中國織繡服飾全集』 第3卷,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 中華五千年文物集刊編輯委員會, 1986, 『中華五千年文物集刊 服飾篇上』, 臺北: 裕台公司
  • 陳正明, 1997, 『永樂宮壁畵全集』,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 崔仁辰, 1999, 『한국 사진사 1631-1945』, 눈빛

논문

  • 김문자, 2009, 「한국 고인돌 사회 복식 고증」, 『韓服文化』 12(3)
  • 김미도리·최지애, 2015, 「김해 대성동 88호분 출토 골제 빗 모양 장신구의 보존처리」, 『박물관보존과학』 16
  • 김미자, 1998, 「백제문화권 복식의 특징」, 『백제문화권 전통축제의 의미와 전망』
  • 김용문, 1982, 「우리나라 수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원룡, 1974, 「唐 李賢墓 壁畵의 新羅使(?)에 對하여」, 『考古美術』 123·124
  • 김희정, 1992, 「章懷太子墓 禮賓圖 中 : 우리나라 使臣 服飾」, 『服飾』 19
  • 朴現圭, 2007, 「唐昭陵과 乾陵 소재 韓人石像 관찰」, 『韓國古代史硏究』 47
  • 박현정, 2001 「부여(扶餘) 정림사지(定林寺地) 도용 복원을 위한 농관 복식 연구」, 『服飾』 51(6)
  • 서미영·박춘순, 2004, 「백제 금동대향로 주악상 복식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1)
  • 안소영, 1997, 「백제 복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양노, 2011, 「백제금동대향로 주악상 복식재현을 위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3
  • 이경희, 2007 「고구려와 중국의 무관(武冠) 비교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9
  • 이경희, 2010, 「평양지역 고구려 벽화의 ‘중국풍’ 복식 검토」, 『한국고대사연구』 60
  • 이은주, 2005, 「조선 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 제도 변천」, 『服飾』 55(6), 38-50
  • 이종수, 2010, 「고고자료를 통해 본 부여의 대외교류 관계 검토」, 『先史와 古代』 33
  • 이진민, 2001,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三國使臣의 服飾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영애, 2012, 「신라하대 왕릉 조각의 완성, 원성왕릉 조각의 제작시기 재검토」, 『불교미술사학』 14

기타

  • 나주 금동신발[2017년 4월 4일 검색], 동아일보, http://newsdongacom/
  • 도재기, 2017, 가야, 잊혀진 왕국을 만나다, 경향신문 4월 3일, http://newskhancokr/
  • 네이버캐스트 위대한 문화유산, 궁궐의 전통복식
  • 비늘갑옷[2017 4 11 검색], http://baekjemuseumseoulgokr/
  • 연합뉴스 2012 9월 10일
  •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2017 5 11 검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
  • 황남대총 [2017 4 20 검색],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