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 샬
  독일 예수회 신부로서 중국에서 활약한 선교사. 청나라에 볼모로 가 있던 소현세자와 친분을 맺어 천문서적 · 과학서적 · 천구의 등을 선물함(1591-1666)
 아리아 인
  인도 게르만 어족계의 한 지류로 중앙아시아에 살다가 인도와 이란에 정착한 민족
 아방강역고
  정약용이 편찬한 역사 지리서
 아스카 문화
  일본 아스카시대에 한반도로부터의 문화수입을 기반을 형성된 문화. 특히 쇼토쿠태자 등에 의해 발전된 불교와 불교미술이 크게 발달함
 아전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의 주 · 부 · 군 · 현의 관청에 속한 하급관리
 아직기
  근초고왕 때 왕명으로 일본에 건너가 일본 왕의 스승이 되어 한학을 전한 인물
 아테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악학궤범
  조선 시대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성현 등이 편찬한 음악책
 안견
  조선 전기의 대표적 화가로 몽유도원도를 그림
 안동 도호부
  668년 고구려 멸망 후에 당나라가 고구려의 옛 땅에 설치한 최고군정기관
 안승
  고구려 보장왕의 서자로 부흥 운동 때 검모잠에 의해 추대된 왕
 안시성
  고구려와 당나라의 경계에 있던 산성
 안용복
  조선후기에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땅임을 일본 막부가 인정하도록 한 민간 외교가
 안정복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역사책인 동사강목을 지음(1712-1791)
 안찰사
  고려시대 각 도에 정기적으로 파견한 지방관. 도내의 주, 현을 순찰하며 수령을 규찰하는 임무를 맡음
 안평대군
  조선 세종의 셋째 아들로 시문과 서화에 뛰어났으며 형인 세조와 대립하다 죽음
 안향
  주자학을 도입한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1243-1306 )
 알렉산드로스 대왕
  마케도니아왕국의 왕(BC 356∼BC 323)
 양계
  동계와 북계를 합친 말로, 5도와 함께 고려의 지방 행정구역의 하나. 북방의 외침을 막기 위한 군사 행정 구역
 양무 운동
  19세기 후반 군사와 무기 중심의 근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한 청나라 관료들의 운동
 양부
  고려 시대에는 도병마사와 중추부, 조선 시대에는 의정부와 중추부를 함께 부르는 말
 양성지
  조선전기에 ≪고려사≫ · ≪여지승람≫ · ≪팔도지리지≫ 등의 편찬에 참여한 학자 · 문신(1415-1482)
  양전
  고려 · 조선시대 세금 징수를 목적으로 토지의 실제 경작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토지 측량 제도
 양제
  중국 수나라의 제2대 황제. 재위 604-616년
 양쯔강
  티베트고원 북동쪽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흘러드는 중국에서 가장 긴 강
 어영청
  조선 후기에 설치된 5군영의 하나
 언로
  언론의 다른 말
 언문지
  조선 순조 때 유희가 지은 한글 및 한자음 관계 연구서
 에도 막부
  일본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1603년에 에도(江戶)에 수립한 무가(武家) 정권
 여민락
  조선 전기에 제작된 아악
 여전론
  조선 후기 정약용의 전제 개혁론
 여진족
  동부 만주에 살던 퉁구스 계통의 민족. 10세기 초 송나라 때 처음으로 여진이라고 함
 역박사
  백제시대 음양도를 담당한 관직
 역성 혁명
  성씨를 바꾸는 왕조의 교체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539년(안원왕 9)에 만들어져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발견된 고구려의 불상
 연개소문
  고구려 말기 재상 · 장군(?∼666). 642년에 천리장성을 축조하고 당나라 침입에 대비했으며 대막리지가 되어 정권을 장악함
 연등회
  고려 때에 성행한 불교 행사의 하나로 등불을 밝히고 음식을 베풀며 가무로 임금과 신하가 함께 즐기며 부처님을 즐겁게 하여 국가와 왕실의 태평을 빌었다고 함
 연려실기술
  조선 정조 때의 학자 이긍익이 엮은 야사 중심의 역사책
 연맹 왕국
  여러 성읍국가들이 하나의 맹주국을 중심으로 연맹체를 구성하고 있는 단계의 국가형태
 연산군
  조선 10대 왕. 재위 1494-1506년. 무오, 갑자 사화를 일으켜 사림에게 큰 피해를 주었음
 연호
  군주국가에서 군주가 자신이 다스리는 해의 차례에 붙이는 칭호
 열하일기
  박지원이 1780년(정조 5) 청나라 베이징에서 견문한 것을 분야별로 나누어 기록한 기행문집
 영.일 동맹
  영국과 일본이 러시아를 공동의 적으로 하여 동아시아의 이권을 함께 나누어 가지려고 체결한 조약
 영국 국교회
  로마 교회로부터 분리 독립한 영국 교회. 성공회라고 불림
 영조
  조선 제21대 왕. 제19대 숙종의 둘째 아들. 재위 1724-1776년. 당평파를 육성해 탕평 정치를 시행하였음
 영주
  중세 유럽과 일본의 봉건사회에서 농민을 보호 지배한 정치 권력자
 예부
  신라시대 교육과 외교 및 의례에 관한 사무를 맡던 관청
 예산 수덕사 대웅전
  충청남도 예산군 수덕사 경내에 있는 고려 충렬왕때 지은 목조 불전
 예성강도
  고려 시대 화가 이령이 그린 산수화
 예수회
  1540년 성 이그나티우스 데 로욜라가 프란시스코 사비에르 등과 함께 파리에서 창설한 가톨릭의 남자 수도회. 기도와 고행, 봉사활동 및 선교 사업이 주요 특징
 예작부
  신라시대 건축물 따위를 새로 짓거나 수리하는 영선의 사무를 관장한 관청
 예종
  고려 제16대 왕. 재위 1105-1122년. 관학 진흥을 위하여 양현고를 설치함
 오리엔트 문화
  BC 3200년 무렵부터 BC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대왕이 통일하기까지 약 3000년 동안 서아시아와 이집트 등 고대 오리엔트에서 번영했던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문명
 오스만 제국
  3세기 말 이후 셀주크 투르크에 대신하여 소아시아(아나톨리아)를 중심으로 형성된 투르크족의 이슬람 국가(1299∼1922)
 오주연문장전산고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규경이 백과사전식으로 찬술한 책
 온건개혁파
  고려 후기 신진사대부들 중 고려왕조의 틀을 유지하면서 점진적인 개혁을 추진하고자 주장하던 세력들을 말함. 이색 · 정몽주 등이 그 대표적인 인물임
 왕건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제 1대 왕. 재위 918-943년
 왕사
  고려 시대의 왕의 스승이 되었던 덕행이 높은 승려에게 내린 최고의 직위
 왕산악
  고구려 사람으로 거문고의 제작자이며 거문고 연주의 대가
 왕안석의 변법
  왕안석이 재정 확보와 국방력 강화를 목표로 실시한 정책
 왕인
  일본에 경사를 전해준 백제의 학자
 왜
  예로부터 한국과 중국에서 일본을 낮추어 부르던 이름
 왜관
  조선시대에 일본인이 와서 통상을 하던 무역처
 외사정
  신라시대 지방관의 비리를 감찰하던 관직
 요서
  중국 요하 서쪽 지방
 요세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백련결사를 제창함(1163-1245)
 요하
  중국 둥베이 지방 남부 평원을 관류하는 강
 용비어천가
  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6대의 행적을 노래한 악장
 우륵
  고구려 사람으로 거문고의 제작자이며 거문고 연주의 대가
 우민화 교육
  일제가 조선인을 무지몽매하게 만드는 교육 정책
 우산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었던 고대 소국가로 512년(지증왕 13) 신라에 복속되었음
 우서
  실학자 유수원이 1737년(영조 14)에 사회 개혁안을 제시한 책
 우왕
  고려 제32대 왕. 재위 1374-1388년. 신돈의 자식이라는 이성계의 주장에 따라 폐위됨
 운요호 사건
  1875년 9월 일본 군함 운요호의 불법 침입으로 발생한 조선군과 일본군의 충돌 사건
 웅진 도독부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백제의 옛 땅을 다스리기 위해 설치한 지방통치기구인 5도독부 중의 하나
 원광
  세속 5계를 지은 신라시대의 승려
 원산 학사
  1883(고종 22)년 민간에 의해서 함남 원산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근대 학교
 원효
  신라시대 화쟁사상을 펼친 승려로 ≪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를 저술하였음(617-686)
 월인천강지곡
  세종이 1449년(세종 31)에 지은 불교 찬가
 위나라
  중국 삼국시대 3국의 하나(220~265)로 중국 후한 말에 조비가 세운 나라
 위화도 회군
  1388년 명나라의 요동을 공략하기 위하여 출정하였던 이성계 등이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우왕을 폐위시키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
 위화부
  신라시대 관리의 위계 · 인사에 관한 사무를 맡았던 관청
 유교
  공자를 시조로 하고 인의(仁義)를 근본으로 하는 정치 · 도덕의 실천을 주장한 유학의 가르침
 유득공
  조선 후기 실학자로 주체적인 역사의식을 주장(1748-1807)
 유불일치설
 유수원
  조선 후기의 문신 · 실학자로 나주괘서사건 등에 연루되어 처형됨(1694-1755)
 유이민
  고향을 떠나 낯선 땅을 떠돌아 다니는 백성을 일컬음
 유정
  조선 중기의 승려이자 승병장으로 호는 사명당(1544-1610)
 유형원
  조선 후기 중농적인 제도 개편을 주장한 유학자(1622-1673)
 유희
  조선후기의 한글학자(1773-1837)
 육영 공원
  1886년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공립 교육 기관으로 각종 근대 학문을 가르쳤음
 윤관
  별무반을 창설하여 여진을 정벌하고 9성을 세운, 고려시대의 신하
 윤원형
  조선전기의 문신. 중종의 제2계비 문정왕후의 동생
 윤휴
  조선 후기 학자 · 문신으로서 노론과 대립한 남인의 주요 인물(1617-1680)
 율령
  형률과 법령이란 뜻으로 모든 국법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을사조약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이완용을 비롯한 을사5적과 체결한 조약이나 고종 황제가 끝까지 재가하지 않은 원인 무효의 조약임
 을지문덕
  고구려 영양왕 때, 살수(청천강)에서 수나라 대군을 물리친 명장
 음서
  아버지나 할아버지가 고관이거나 공훈을 세운 경우 그 자손을 /n 과거에 의하지 않고 특별히 등용하는 제도
 의박사
  백제시대 의학 업무를 담당하던 관직
 의방유취
  1445년(세종 27)에 왕명으로 편찬하기 시작하여 10년에 걸쳐 완성한 동양 최대의 의학 사전
 의연함
  의지가 굳세고 태도가 꿋꿋하며 단호함
 의종
  고려 제18대 왕. 재위 1146-1170년. 무신 정변으로 폐위
 의천
  고려 전기의 승려로 문종의 넷째 아들이며 해동천태종의 개조(1055-1101)
 이광필
  고려 명종 때 화가
 이규경
  조선 후기의 실학자(1788-1856)
 이규보
  고려 후기의 문신, 재상, 문인(1168-1241)
 이긍익
  조선후기 ≪연려실기술≫을 편찬한 실학자
 이기론
  우주 속에 존재하는 모든 현상을 이와 기로 설명하는 성리학 이론
 이덕무
  조선 후기 규장각 검서관으로 있던 실학자(1741-1793)
 이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한국어를 적던 표기법
 이령
  고려 명종 때 「예성강도」를 그린 화가
 이립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조선중기의 무신
 이문진
  고구려 영양왕 11(600)년에 왕명을 받아 역사서인 ≪신집≫ 5권을 편찬한 학자
 이방부
  신라시대 형률에 관한 사무를 맡아 보던 관청
 이사금
  제 3 대 유리왕 때부터 사용된 신라 초기에 쓰인 왕의 칭호
 이상좌
  조선 전기 송하보월도를 그린 화가
 이색
  고려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이제현의 문인으로 고려 말 성리학의 발전에 공헌(1328-1396)
 이성계
  조선 왕조의 제1대 왕. 재위 1392-1398년
 이수광
  서양과 청조 문물을 긍정적으로 소개하는 등, 조선 후기 실학의 태동에 공헌한 학자. 지봉유설 저술(1563-1628)
 이순신
  임진왜란 때 해전을 주도한 무장(1545-1598)
 이슬람 교
  7세기 초 마호메트가 아라비아반도 메카에서 유일신 알라의 예언자로서 세운 종교. 유대교 · 그리스도교에서 유래한 일신교
 이승휴
  제왕운기를 편찬한 고려 후기의 학자(1224-1300)
 이언적
  조선 중기의 문신 · 성리학자로 이황의 사상에 영향을 끼침(1491-1553)
 이용후생
 이의방
  1170년 무신란을 일으켜 무신정권을 수립함
 이의봉
  한글 어휘 수집에 공이 있는 조선후기의 문신
 이이
  이황과 더불어 조선전기 유학의 쌍벽을 이루는 학자 · 정치가(1536-1584)
 이익
  조선 후기 경세치용을 주장한 실학자로, 성호사설 저술(1681-1763)
 이인임
  고려후기의 권신. 1374년 공민왕이 살해되자 우왕을 추대
 이자겸
  고려 인종 때 인종의 외척으로 난을 일으켰던 문벌귀족(?-1126)
 이전
  군서 업무 이외의 관제와 관규를 모아 놓은 법전
 이제마
  대한제국기 한의학자. 사상의학을 주창
 이제현
  고려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가로 ≪익재집≫을 저술(1287-1367)
 이종휘
  조선 후기에 양명학적 관점에서 역사학을 연구한 학자
 이중환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택리지의 저자
 이황
  조선전기에 주리적 이기이원론을 주장하고 영남학파의 이론적 스승이 된 성리학자(1501-1570)
 인문주의
  중세 문예 부흥기에, 교회적인 세계관에 대한 반동으로서 일어났던 것으로, 인간성의 존중과 문화적 교양의 발전을 주장으로 삼았음
 인조반정
  1623년(광해군 26) 서인 등이 광해군 및 대북파를 몰아내고 능양군(인조)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일심사상
  원효에 의해 우리나라 불교 속에 정착된 독특한 사상으로 한 마음, 즉 참 마음을 모든 생각의 실체라고 파악하는 사상
 일연
  고려 후기 승려로 승과에 급제한 뒤 선풍을 크게 일으키고 왕사가 되었다. 몽고의 침입 이후 민족 의식을 북돋우기 위해 삼국유사를 서술함(1206-1289)
 임오군란
  1882년 6월 일본식 군제도입과 민씨 정권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난 구식 군대의 군사정변
 임원경제지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저술한 박물학책
 임진왜란
  1592년부터 1598년까지 2차에 걸쳐서 우리나라에 침입한 일본과의 싸움
◀ PREV |   1  2  3  4  5  6  7  8  9  1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