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탁지아문 |
|
|
갑오개혁 때 재정 · 조세 · 국채 · 화폐 등에 관한 일을 맡아본 관청 |
|
탐라총관부 |
|
|
고려후기 원나라가 제주도를 다스리기 위해 둔 관청 |
|
탑비 |
|
|
승려의 생애와 활동을 적은 비. 대체로 승탑과 함께 조성됨 |
|
탕평 정치 |
|
|
조선후기 영 · 정조대에 당쟁을 막고 왕권을 강화하기 위하여 당파간의 정치세력에 균형을 꾀한 정책 |
|
태봉 |
|
|
후삼국의 하나. 후고구려 또는 마진이라고도 함. 신라 말기 901년 궁예가 세운 국가로 918년 왕건에게 빼앗기기까지 18년 동안 존속 |
|
태의감 |
|
|
고려 시대에 의약과 치료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성종 때 설치 |
|
태조왕 |
|
|
고구려 제6대 왕. 재위 53-146년. 고구려의 고대왕국 기반을 다짐 |
|
태종 |
|
|
조선 제3대 왕. 재위 1400-1418년.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왕자의 난으로 정권 장악 |
|
태종무열왕 |
|
|
신라 제29대 왕. 재위 654-661년. 최초의 진골출신 왕 |
|
태평천국 운동 |
|
|
19세기 중엽 중국의 최대 농민운동 |
|
태학 |
|
|
고구려 372년(소수림왕 2)에 수도에 설치된 한국 최초 국립교육기관. 귀족자제만이 입학할 수 있었고 경학 · 문학 · 무예 등을 교육 |
|
태학 |
|
|
고려 시대 국자감에 두었던 경사 6학의 하나로 5품 이상의 자제가 입학 |
|
택리지 |
|
|
조선 후기 실학자 이중환이 지은 지리지 |
|
톈진 조약 |
|
|
1885년에 중국의 톈진에서 일본과 청나라가 맺은 조약. 이토 히로부미와 이홍장이 조선에 있는 일본군과 청나라 군대를 철수할 것과 군대를 조선에 다시 파견할 때는 서로에게 미리 알릴 것을 합의함 |
|
토관 |
|
|
고려와 조선시대 함경도 · 평안도 등 변방 토착민에게 주었던 특수한 관직 |
|
토문강 |
|
|
1712년(숙종 38)에 세워진 백두산 정계비의 비문에 나오는 백두산 천지에서 발원하여 북으로 흐르는 송화강의 한 지류 |
|
토지 겸병 |
|
|
불법적인 방법으로 대규모의 토지를 소유하던 것 |
|
통감 |
|
|
정치나 군사의 모든 일을 통솔하고 감독함. 또는 그런 사람 |
통공 정책 |
|
|
정조 때에 채제공 등의 건의로 금난전권의 범위를 육의전 등 일부 시전에만 한정시킨 시전 상업 정책 |
|
통리기무아문 |
|
|
1880년에 청의 제도를 본떠 만든 것으로 군국 기무를 총괄하던 관아. 1882년 통리내무아문과 통리아문으로 나뉨 |
|
티무르 제국 |
|
|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군사력과 오아시스 정주민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중앙아시아 · 이란 ·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한 왕조(1370∼15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