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나마 |
|
|
신라시대의 경위(京位) 17관등 중 제11관등. 복색은 청색 |
|
나치즘 |
|
|
히틀러가 통솔했던 나치스가 주장한 정치사상 및 지배 체제 |
|
낙랑 |
|
|
한나라 무제가 BC 108년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뒤 설치한 한사군의 하나. 313년 고구려에 병합됨 |
|
남반 |
|
|
고려시대 궁중의 숙직, 국왕의 시종 · 호종 · 경비, 왕명의 전달, 의장 등의 사무를 맡아보던 하급 관직 |
|
남부여 |
|
|
538년(성왕 16)에 백제가 서울을 웅진에서 사비로 옮겼을 때 쓴 국호 |
|
남북조 시대 |
|
|
중국 역사상 시대구분의 하나로 진나라에서 수나라에 이르는 중간시대를 말함 |
|
남시 |
|
|
신라 효소왕 4년에 경주의 남쪽에 설치한 시장의 하나 |
|
남인 |
|
|
조선후기 정여립의 모반 사건을 계기로 동인에서 나뉘어진 정치 세력. 북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건파에 속함 |
|
납공 노비 |
|
|
노동력이 아닌 공물을 바치는 노비 |
|
납속 |
|
|
흉년이나 병란이 있을 경우, 재정난 타개와 구휼을 위해 곡물을 국가에 바치는 사람에게 벼슬을 주거나 천민을 면하게 해 주는 일 |
|
내물왕 |
|
|
신라 제17대 왕. 재위 356-402년. 국가체제가 정비되고 왕권이 강화됨. 마립간 왕호 처음 사용. 김씨의 독점적 세습이 이루어짐 |
|
내시령답 |
|
|
민정문서에 기록된 토지 종류의 하나로, 문무 관료전의 일부로서 내시령이란 관직을 가진 관료에게 지급된 토지 |
|
내외관 |
|
|
서울과 지방의 관리를 함께 부르는 호칭 |
|
노론 |
|
|
조선후기 서인에서 분파된 정치세력 |
|
노리사치계 |
|
|
삼국 시대 백제의 관료. 552년(성왕 30) 10월 달솔로서 일본에 파견되어 처음으로 불교를 전함 |
|
노비안 |
|
|
노비들의 명단을 적은 장부 |
|
노사정위원회 |
|
|
1998년 1월 15일에 김대중정권이 신자유주의적 구조조정을 사회적 합의하에 원활하게 추진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 |
|
녹봉 |
|
|
관리가 국가로부터 받던 물질적 급여 |
|
녹읍 |
|
|
신라시대 귀족관료에게 지급한 일정 지역의 토지로서 조세, 노동력 징발 등의 경제적 수취 허용됨 |
|
농노 |
|
|
중세 유럽의 봉건 사회에서, 평생 영주에 예속되어 농사를 짓던 농민. 노예와 자작농의 중간에 속하는 계층이었음 |
|
농지개혁법 |
|
|
1949년 6월 21일 농지를 농민에게 유상몰수 · 유상분배함으로써 북한의 토지개혁에 대응하고, 자영농민을 육성하기 위해 제정된 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