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과회통
  조선 순조 때의 실학자인 정약용이 마진 치료법을 모아 편찬한 의학서
 마우리아 왕조
  인도 최초로 고대 통일제국을 세운 왕조 (BC 317∼BC 180)
 마한
  삼한의 하나. 삼국시대 이전에 경기도 일부 · 충청도 · 전라도에 걸쳐 50여 소국으로 이뤄졌던 나라. 뒤에 백제에 병합
 만권당
  1314년 고려 충선왕이 원나라 연경에 세운 독서당
 만호부
  고려 후기에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한 군사 조직으로, 국방과 치안의 임무를 맡아보게 함
 말갈
  중국 수 · 당시대 6-7세기경 한반도 북부와 만주 동북부지역에 거주했던 퉁구스계 종족
 메이지 유신
  막부 체제를 붕괴시키고 천황이 직접 다스리는 형태의 통일국가를 형성시킨 근대 일본의 정치 · 사회적 변혁
 명
  한족의 주원장이 원나라를 멸망시키고 세운 통일왕조. 20대 298년 존속함(1368-1644)
 명예 혁명
  1688년 영국에서 일어난 시민 혁명. 유혈사태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명칭이 붙음
 명종
  고려 제19대 왕. 재위 1170-1197년. 제17대 인종의 셋째 아들
 목
  고려 시대 큰 고을에 두었던 지방 행정 단위
 목민심서
  1818년(순조 18) 정약용이 지방 수령이 지켜야 할 준칙을 서술한 책
 몽골족
  몽고 고원을 중심으로 만주와 중국 북부 등의 지역에 걸쳐 거주하던 유목 민족
 몽유도원도
  조선 초기의 화가 안견이 그린 산수화
 묘청
  고려전기의 승려로, 1135년(인종 13) 서경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킴(?-1135)
 무굴 제국
  16세기 전반에서 19세기 중엽까지 인도 지역을 통치한 이슬람 왕조
 무령왕
  백제 제25대 왕. 재위 501-523년.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함으로써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여 백제 중흥의 발판을 마련
 무로마치 막부
  1336년 일본의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겐무정권을 쓰러뜨린 이후 1573년 아시카가 막부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멸망될 때까지 약 240년간 계속된 정권
 무로마치 시대
  일본의 아시카가 1336년 에 다카우지가 겐무정권을 쓰러뜨리고 정권을 잡은 때부터 1573년 /n 아시카가막부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멸망될 때까지 약 240년간의 시대
 무역소
  1406년(태종 6)에 여진족의 경제적 요구를 충족시킬 목적으로 만든 무역장소
 무오사화
  1498년(연산군 4) 김일손 등 신진 사림이 유자광 등의 훈구파에게 화를 입은 사화
 무왕
  발해 제2대 왕. 재위 719∼737. 인안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세우고, 영토를 크게 넓히는 등 발해국의 기틀 마련
 무함마드
  이슬람교의 창시자(?570~632). 메카에서 신의 계시를 받아 유일신 알라에 대한 숭배를 가르치기 시작함
 문왕
  발해의 제3대왕. 재위 737-793년. 당나라와 교류를 통해 발해 중흥의 기틀을 마련
 문제
  중국 수나라를 건국한 제1대 황제. 재위 581-604년
 문종
  고려의 제11대 왕. 재위 1046-1083년
 문종
  조선의 제5대 왕. 재위 1450-1452년
 문치주의
  무단정치 또는 형법주의에 대비되는 말로 유가에서 주장하는 예악(禮樂)사상에 기초를 둔 정치 . 학문과 법령, 덕으로써 세상을 다스림
 문하시중
  고려전기 내사문하성 · 중서문하성의 종1품 관직
 문헌공도
  고려 문종 때 최충이 설립한 사학인 9재에서 공부하는 학도
 미.소 공동 위원회
  1945년 12월 27일 모스크바 3상회의의 결정에 의하여 설치된 조선 문제 해결을 위한 미 · 소 양국 대표자 회의
 미국 독립 혁명
  영국 본국의 가혹한 지배와 중상주의 정책에 반항하여 미국 13주 식민지의 독립 전쟁과 식민지 내부의 사회개혁을 포함한 혁명
 미륵 신앙
  이상적 사회를 제시하는 미래불로서 미륵을 믿는 신앙.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열반에 드신 뒤 56억 7000만 년이 지나 미륵정토인 도솔천으로부터 내려와 현세에 출현한다는 미래불
 미천왕
  고구려 제15대 왕. 재위 300-331년. 311년 요동 서안평 점령, 313년과 314년에 낙랑군과 대방군을 각각 병합
 민족 자결주의
  1918년 미국의 대통령 윌슨에 의해 제창되어 3 · 1운동에 영향을 미친 논리
 민주주의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
 밀직사
  고려시대 몽고 간섭 아래에서 왕명 출납, 궁궐에서 왕의 호위와 보좌, 군사 행정을 맡아보던 관청
◀ PREV |   1  2  3  4  5  6  7  8  9  1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