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하멜 |
|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소속 선박의 포수로, 1653(효종 4)년 제주도에 표착하여 군영에서 잡역 등에 종사하다가 1666(현종 7)년에 탈출 · 귀국한 인물(?-1692). |
|
하멜 표류기 |
|
|
네덜란드인 하멜이 조선에 표착하여 14년간에 걸친 억류생활을 기록한 책 |
|
한 |
|
|
진나라에 이어지는 중국의 통일왕조(BC 202∼AD 220). 수도는 장안 |
|
한국 광복군 |
|
|
1940년 9월 중국의 충칭에서 창설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군대 |
|
한국 독립군 |
|
|
1930년대 만주에서 활동하던 독립군 |
|
한림별곡 |
|
|
고려 고종 때 한림학사들이 합작한 경기체가 |
|
한백겸 |
|
|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되는 학자이자 문신(1552-1615) |
|
한인 애국단 |
|
|
1926년 김구가 상하이에서 조직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 |
|
한전론 |
|
|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주장한 개인의 토지 사유를 일정하게 제한하여 토지 겸병을 억제하고 균등한 재산을 유도하려는 전제개혁론 |
|
한치윤 |
|
|
해동역사를 저술한 조선후기의 학자(1765-1814) |
|
해동고승전 |
|
|
고려의 고승 각훈이 1215년(고종 2)에 지은 고승들의 전기를 정리하여 편찬한 역사서 |
|
해동성국 |
|
|
발해의 제10대 선왕 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발해가 들었던 칭호. 발해의 전성기 의미 |
|
해동역사 |
|
|
조선 후기의 학자 한치윤이 단군 조선으로부터 고려시대까지를 서술한 한국의 역사서 |
|
향 |
|
|
신라시대부터 조선전기까지 존속하였던 특수한 지방 하급 행정 구획의 하나 |
|
향도 |
|
|
전통사회 불교신앙공동체. 고려 후기에 이르러 향촌 공동체 생활을 주도하는 농민 이익을 위한 조직으로 변모 |
|
향리 제도 |
|
|
고려 성종이 중앙 집권 강화와 함께 지방의 중소 호족을 국가의 통치 체제로 흡수시킨 제도 |
|
향약 |
|
|
조선시대 양반들이 그 지방의 자치적인 질서유지와 상호협조 등을 위해 만든 유교적인 규약 |
|
향약구급방 |
|
|
향약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데 쓰인 의약서로 고려 시대인 1236년(고종 23)에 처음 만들어졌음 |
|
향약방 |
|
|
12, 13세기에 걸친 송나라 의학의 적극적인 도입으로 나오게 된 고려의 독자적인 처방 |
|
향약집성방 |
|
|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등이 편찬한 향약과 한방에 관한 책 |
|
향음주례 |
|
|
향촌의 선비 · 유생들이 벌이는 향촌의례의 하나 |
|
향찰 |
|
|
신라 시대 이후 한자의 음 · 새김 · 뜻을 빌어 한국어를 적던 표기법 |
|
허균 |
|
|
조선 선조 · 광해군 때의 문신. 문인이자 변혁적인 사회 사상가 · 소설가(1569-1618) |
|
허임 |
|
|
조선 후기 침구술이 뛰어나 선조를 치료한 공로로 동반의 위계를 받은 의관 |
|
허준 |
|
|
조선 광해군 때 내의로 활약하며 ≪동의보감≫을 지은 의학자(1539-1615) |
|
헌의 6조 |
|
|
독립협회가 1898년 10월 29일 열린 관민공동회에서 결의한 6개 항의 국정 개혁안 |
|
헌정 연구회 |
|
|
1905년 5월 이준, 양한묵, 윤효정 등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애국 계몽 운동 단체 |
|
헬레니즘 문화 |
|
|
그리스 문화와 오리엔트 문화가 융합된 세계 사상의 한 시대를 규정짓는 개념 |
|
현량과 |
|
|
조선 중종 때 조광조의 주장으로 유교 경전에 능통하고 덕행이 높은 사람을 뽑아 쓰기 위해 보이던 과거. 천거과라고도 함 |
|
혜관 |
|
|
삼국시대 고구려의 승려로, 625년(영류왕 8) 일본 겐코사에 머무르면서 삼론종을 전하고 개조가 됨 |
|
혜심 |
|
|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유불일치설을 주장(1178-1234) |
|
혜자 |
|
|
595년 일본에 건너가 쇼토쿠태자의 스승이 되어 활동한 고구려의 승려(?-622) |
|
혜종 |
|
|
고려 제2대 왕. 재위 943-945년. 왕건의 맏아들. 호족 세력에 눌려 2년만에 병사함 |
|
혜초 |
|
|
신라시대 불교 성지들을 순례하고 인도 기행문을 쓴 고승(704-787) |
|
호락 논쟁 |
|
|
조선 후기 성리학에서 인물성동이를 놓고 호서(충청도 일대)의 학자들과 낙하(서울 일대)의 학자들 간에 전개된 논쟁 |
|
호족 |
|
|
신라말 고려초에 군사력과 경제력을 가지고 해당 지역을 실질적으로 /n 지배하는 반 독립적인 세력 |
|
호패법 |
|
|
조선시대 신분을 증명하고 조세를 수취하기 위해 16세 이상의 남자들에게 호패를 착용하도록 한 법령 |
|
홍길동전 |
|
|
조선 광해군 때 허균이 적서의 신분 타파와 부패한 정치를 개혁하려는 사상을 담은 소설 |
|
홍대용 |
|
|
북학사상을 주장한 조선후기의 실학자(1731-1783) |
|
홍문관 |
|
|
조선시대에 궁중의 경서, 사적의 관리, 문한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 |
|
화랑도 |
|
|
신라시대 화랑를 우두머리로 한 청소년 수련단체 |
|
화백회의 |
|
|
신라시대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던 귀족들의 만장일치 회의 |
|
화엄 사상 |
|
|
우주 만물은 서로의 원인이 되며, 대립을 초월하여 하나로 융합하고 있다는 생각을 핵심으로 하는 불교 사상 |
|
화통도감 |
|
|
고려 말 우왕 때 화약과 화기제조를 맡은 임시 관청 |
|
환국 |
|
|
정치적 사건, 사고 등으로 시국이나 판국이 바뀌는 것 |
|
황국 신민화 |
|
|
일제 강점기 말기에 민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우리 민족의 정신을 말살하고 한국인을 일본인화하려는 정책 |
|
황보인 |
|
|
조선 1452년(문종 2) 영의정이 되어 단종을 보좌하다가 이듬해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에게 살해된 인물(?-1453) |
|
황산벌 |
|
|
삼국시대 660년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의 황산벌에서 나당연합군의 신라와 백제와의 전투 |
|
황제 교황주의 |
|
|
세속적 지배자(국가의 군주)가 종교계의 수장을 겸하여, 종교를 그 권력의 지주로서 이용하는 지배 형태 |
|
회회력 |
|
|
원 · 명 시대에 중국에 전래된 아라비아의 역법 |
|
후고구려 |
|
|
901년 궁예가 세운 나라로 이후 마진 · 태봉으로 국호가 바뀜(901-904) |
|
후기 가야 연맹 |
|
|
김해의 금관 가야 몰락 이후 고령의 대가야국을 중심으로 형성된 가야연맹체. 562년(진흥왕 23) 신라에 병합 |
|
후백제 |
|
|
신라 진성여왕 때 견훤이 백제의 옛 땅에 세운 나라. 견훤의 아들 신검이 고려에 항복하여 45년 만에 망함(892~936) |
|
후한 |
|
|
중국 왕조의 하나. 왕망에게 빼앗긴 한(漢) 왕조를 유수가 되찾아 낙양에 도읍하여 세운 나라 (25~220) |
|
훈련도감 |
|
|
1593년에 설치되어 한성의 경비와 군사 훈련을 맡아 보던 군영 |
|
훈민정음운해 |
|
|
조선 영조 때 신경준이 지은 국어 음운연구서 |
|
훈요 10조 |
|
|
고려 태조가 자손들에게 남긴 10조의 유언. 고려의 대업이 부처의 호위와 지덕에 의했다고 하여 불교 숭상과 풍수지리설을 강조했고, 장자 상속을 강조하여 정치적 안정을 기함 |
|
휴정(서산대사) |
|
|
조선 중기의 승려. 휴정 |
|
흑수부 말갈 |
|
|
말갈의 한 부족으로 고려시대 여진족으로 불림 |
|
흑치상지 |
|
|
백제 멸망 후 임존성을 근거로 백제 부흥 운동을 벌였던 백제의 장군 |
|
흥선 대원군 |
|
|
조선 제26대 고종의 아버지이며 정치가(1820-189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