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본주의 |
|
|
사유재산을 바탕으로 하는 경제 체제 |
|
자부심 |
|
|
자기의 재능이나 학문 · 직업 따위에 자신을 가지고 스스로 자랑으로 생각하는 그런 마음 |
|
자와 |
|
|
인도네시아의 섬 |
|
자유당 |
|
|
1951년 12월 23일 창당되어 약 10년간 존속하였던 한국의 보수정당 |
|
자유주의 |
|
|
개인의 여러 가지 자유를 존중하고, 봉건적 공동체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사상 및 운동 |
|
자치 운동 |
|
|
만민공동회에 나온 사상으로 외국의 내정간섭과 이권요구 및 토지조차 요구 등에 대항하는 운동 |
|
장문휴 |
|
|
발해 무왕 때 중국 산둥반도 등주를 공격한 장수 |
|
장수왕 |
|
|
고구려 제20대 왕. 재위 413-491년.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475년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키고 한강 유역을 점령함 |
|
장원 |
|
|
봉건사회의 경제적 단위를 이루는 영주의 토지소유 형태 |
|
쟁의 |
|
|
지주나 소작인 또는 사용자와 근로자 사이에서 일어나는 분쟁 |
|
전국 시대 |
|
|
중국의 역사에서 기원전 403~221년 동안 일곱 나라가 서로 싸우던 시대를 가리켜 이르는 말 |
|
전국 시대 |
|
|
일본의 아시카가 막부 말기부터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통일할 때까지의 100여년의 기간 |
|
전기 가야 연맹 |
|
|
삼국시대 3세기 경 김해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주변의 낙동강 유역의 12개 소국으로 형성된 연맹체 |
|
전랑 |
|
|
조선 시대의 정랑[정5품]과 좌랑[정6품]을 일컫던 말 |
|
전봉준 |
|
|
1894년 동학농민운동의 지도자(1855∼1895) |
|
전시 |
|
|
고려후기-조선시대 과거에서 왕이 직접 시험을 참관하여 시행하던 3단계의 최종 시험 |
|
전제화 |
|
|
국가의 모든 권력이 지배자인 왕에게 집중됨 |
|
전지 |
|
|
임금의 뜻이나 결정 사항을 알리는 문서 |
|
전체주의 |
|
|
개인의 모든 활동은 민족·국가와 같은 전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하여서만 존재한다는 이념 아래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사상. 이탈리아의 파시즘과 독일의 나치즘이 대표적이다 |
|
절대 왕정 |
|
|
16~18세기 지방 분권적인 중세 봉건 사회가 무너지고 근대 시민 사회가 형성되는 과정에서국왕이 강력한 권한을 가진 정치 형태 |
|
정 |
|
|
신라시대 주에 배치된 군대 |
|
정도전 |
|
|
고려말 조선초의 정치가 · 성리학자로 조선 개국을 주도하여 개국공신에 책봉되고 조선 개국의 이념을 제시. 이방원(태종)에게 살해됨(1342-1398) |
|
정동행성 |
|
|
고려후기에 원나라가 일본 정벌을 위해 설치했다가 뒤에 내정 간섭에 관여하였던 관청 |
|
정동행성 이문소 |
|
|
여 · 원관계와 관련하는 범죄를 단속하는 일을 했으나 차츰 친원세력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구로 변질됨 |
|
정두원 |
|
|
조선 후기의 문신(1581-?) |
|
정몽주 |
|
|
고려 말의 충신. 정도전 등이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는 것에 반발하다가 피살됨(1337~1392) |
|
정묘호란 |
|
|
1627(인조 5)년에 후금의 침입으로 일어난 싸움 |
|
정방 |
|
|
고려 무신 집권기 최우가 설치한 인사 행정 기관 |
|
정봉수 |
|
|
조선후기의 무신. 1627년 정묘호란 때 용골산성에서 후금의 군대를 격퇴함(1572-1645) |
|
정상기 |
|
|
조선 후기의 실학자(1678-1752) |
|
정선 |
|
|
조선 후기에 금강산, 관동지방의 명승, 서울의 사계절 모습, 인왕산 등을 그린 진경산수화의 개척자(1676-1759) |
|
정수동 |
|
|
조선 시대의 시인으로 자유분방한 생활을 즐기며 간결하면서도 격조높은 시를 지음 |
|
정신대 |
|
|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 점령지인 한국 · 중국 · 타이완 · 필리핀 등지에서 강제징집된 일본군 종군위안부 |
|
정약용 |
|
|
조선 영조 · 헌종 연간의 문인 · 학자 · 사상가(1762-1836) |
|
정여립 |
|
|
조선전기의 문신. 대동계를 조직하여 모반을 꾀한 혐의로 쫓기다가 자살함(1546-1589) |
|
정유재란 |
|
|
1597년(선조 31) 왜군이 재차 침입하여 일어난 전쟁 |
|
정의부 |
|
|
1924년 12월 만주에서 대한통의부가 중심이 되어 조직한 항일 독립 운동 단체 |
|
정제두 |
|
|
조선 후기에 한국 최초로 양명학을 본격적으로 수용하고 연구한 학자 |
|
정조 |
|
|
조선의 제22대 왕. 재위 1776-1800년. 제21대 영조의 손자로 장헌세자(사도세자)의 아들 |
|
정종 |
|
|
고려 제3대 왕. 재위 945-949년. 제1대 태조의 둘째 아들로 왕규의 난을 평정하고 호족 세력을 제압하여 왕에 오름 |
|
정중부 |
|
|
1170(의종 24)년 무신란을 주도한 고려전기 무신(1106-1179) |
|
정지상 |
|
|
고려전기의 문신 · 시인으로 본관은 서경. 묘청과 함께 서경 천도를 주장하다 묘청의 난에 연루되어 김부식에게 살해됨 |
|
제3세계 |
|
|
동서 냉전 블록의 어느 쪽에도 가담하지 않은 개발도상국가들 |
|
제가회의 |
|
|
삼국시대 고구려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였던 최고 귀족회의 |
|
제국주의 |
|
|
19세기말 이후 국가의 정치적 · 경제적 지배권을 다른 민족 · 국가의 영토로 확대시키려는 국가의 충동이나 정책 |
|
제왕운기 |
|
|
1287(충렬왕 13)년에 이승휴가 쓴 역사시 |
|
제정 |
|
|
황제가 다스리는 군주 제도의 정치 |
|
제폭구민 |
|
|
개항기 폭정을 제거하고 백성을 구한다는 말로 동학농민운동의 구호 중 하나 |
|
조광조 |
|
|
조선전기의 문신 · 성리학자 |
|
조부 |
|
|
신라시대 공물과 부세에 관한 일을 맡은 관청 |
|
조선 건국 동맹 |
|
|
1944년 8월에 여운형을 중심으로 조직된 통일전선체의 국내 비밀 결사 |
|
조선 교육회 |
|
|
1923년 민립 대학 설립을 목적으로 조직한 민족 교육 운동 단체 |
|
조선 독립 동맹 |
|
|
한국의 독립을 위해 항일 투쟁을 목표로 결성된 단체, 해방 후에는 북한으로 진출하여 공산혁명세력과 결합함 |
|
조선 의용군 |
|
|
1942년 조선의용대 화북지부부대를 개편한 화북조선독립동맹의 당군 |
|
조선 의용대 |
|
|
1938년 조선민족혁명당이 중국의 임시수도 한커우에서 창설한 한국 독립무장군부대 |
|
조선 혁명군 |
|
|
1930년대 남만주에서 활약한 독립운동단체인 조선 혁명당 산하 무장 부대 |
|
조선경국전 |
|
|
판삼사사 정도전이 1394년(태조 3)에 왕에게 지어 바친 사찬 법전 |
|
조선사 편수회 |
|
|
일제가 한국 역사를 자신들의 통치목적에 부합되도록 편찬하기 위해 설치한 한국사 연구기관 |
|
조선어 연구회 |
|
|
1921년 12월에 조직된 한국 최초의 민간학술단체로 조선어학회의 전신 |
|
조선어 학회 |
|
|
1931년 조선어 연구회를 개명한 한글 연구 학술 단체 |
|
조선어 학회 사건 |
|
|
1942년 10월 조선어학회 회원과 관련자를 검거하여 재판에 회부한 사건 |
|
조식 |
|
|
조선전기에 도덕 실천에 힘썼던 경상도 진주 지방의 유학자(1501-1572) |
|
조운 |
|
|
고려와 조선시대에 각 도에서 국가에 수납하는 세금을 강이나 바닷길을 이용해 서울의 경창으로 수송하던 일 |
|
조운선 |
|
|
고려, 조선시대에 각 지방의 세곡을 경창까지 실어 나르던 배 |
|
조준 |
|
|
고려말 이성계의 전제개혁에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 조선의 개국공신(1346-1405) |
|
조창 |
|
|
고려, 조선 시대에 조세로 거둔 쌀을 모아 보관하고 이를 중앙에 수송하기 위해 수로 가까운 곳에 설치한 창고 |
|
족장 |
|
|
선사시대 씨족 혹은 부족사회에서 가부장적인 권위를 갖는 우두머리 |
|
졸본성 |
|
|
고구려의 시조 동명 성왕이 도읍한 곳 |
|
종교 개혁 |
|
|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그리스도 교회의 혁신운동 |
|
종두법 |
|
|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람 몸 속에 미리 천연두균을 접종하여 면역이 생기게 하는 방법 |
|
종친 |
|
|
부계의 친속. 혹은 왕실의 친인척 |
|
좌우 합작 운동 |
|
|
1946년 5월 25일 미군정의 알선으로 김규식 · 여운형 등에 의하여 전개되었던 좌우 정치세력들간의 합작운동 |
|
좌평 |
|
|
백제시대 16관등의 제1위 관등으로 가장 높은 등급 |
|
주 |
|
|
중국의 고대 왕조(BC 1046∼BC 771)로, 무왕이 은왕 주를 멸망시키고 세운 왕조 |
|
주자가례 |
|
|
주자가 관 · 혼 · 상 · 제의 네가지 예법에 관하여 서술한 책 |
|
주자감 |
|
|
발해 시대 교육행정을 맡아 담당하던 관청 |
|
주자학 |
|
|
이 · 기 · 심 · 성의 주제를 다루는 송대 이후에 유행한 유학의 한 부류로 성리학이라고도 함 |
|
주재소 |
|
|
일제 강점기에, 순사 등이 맡은 구역 안에 머물러 근무를 하던 곳 |
|
주희 |
|
|
중국 남송 때 이 · 기 · 심 · 성의 주제를 다루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존칭은 주자임(1130-1200) |
|
중광단 |
|
|
1911년 3월에 만주 화룡현에서 대종교 신도들이 조직한 항일독립운동 단체 |
|
중원 고구려비 |
|
|
장수왕 때 한강 상류 지역에까지 국경을 개척하고 세운 기념비. 남한 유일의 고구려비 |
|
중종 |
|
|
조선 11대 왕. 제9대 성종의 둘째 아들. 재위 1506-1544년. 중종반정으로 왕위에 오름 |
|
중종반정 |
|
|
1506(연산군 13)년 성희안 · 박원종 등이 연산군을 폐하고 진성대군(중종)을 왕으로 추대한 사건 |
|
지눌 |
|
|
고려의 승려로 조계종의 개조(1158-1210 ) |
|
지봉유설 |
|
|
이수광이 1614년(광해군 6)에 편찬한 한국 최초의 백과사전적인 저술 |
|
지전설 |
|
|
지구가 하루 한 번씩 자전하여 낮과 밤이 된다는 설 |
|
지증왕 |
|
|
신라 제22대 왕. 재위 500-514년. 신라와 왕이라는 칭호를 처음으로 사용 |
|
진 |
|
|
중국 전국칠웅의 하나로 중국 최초로 통일을 완성한 국가(BC 221∼BC 207) |
|
진 |
|
|
지역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던 전근대 사회의 지방 행정 구역 |
|
진경 산수화 |
|
|
조선 후기 우리 나라 산천을 소재로 그린 산수화 |
|
진골 |
|
|
신라시대 신분계급제도인 골품제의 제2위 신분 |
|
진사 |
|
|
고려 · 조선시대에 진사과에 합격한 사람에게 주던 칭호 |
|
진한 |
|
|
삼한 중의 하나로 지금의 경상도 지역에 위치. 처음에는 6개, 나중에는 12개의 소국으로 이루어짐 |
|
진흥왕 |
|
|
신라 제24대 왕. 재위 540-576년. 화랑도를 제도화 하는 등 통일의 초석을 쌓음 |
|
진흥왕 순수비 |
|
|
신라 진흥왕이 확장된 국토를 돌아다니면서 세운 기념비 |
|
집대성 |
|
|
(낱낱으로 된) 여럿을 많이 모아 하나의 정리된 것으로 완성함, 또는 그 완성한 것 |
|
집사부 |
|
|
신라시대의 최고 행정관부. 흥덕왕 때 집사성으로 바뀜. 장관은 시중 |
|
집현전 |
|
|
조선전기 궁중에 두었던 학문 연구 기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