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에 일본 총리 가쓰라 다로와 미 육군 장관 태프트가 주도하여 맺은 미국과 일본의 비밀 협정. 일본은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식민 통치를 인정하고 미국은 조선에 대한 일본의 식민지 통치를 인정한다는 내용을 포함
 각훈
  고려 고종 때의 승려. 개경을 중심으로 활동함
 간경도감
  조선 세조 때 불경의 국역과 간행을 맡아 보았던 관청
 간다라 미술
  파키스탄 북부, 간다라국을 중심으로 기원 전후부터 5세기에 번영한 조각을 주로 한 불교미술
 간도 협약
  대한 제국 융희 3년(1909)에 청나라와 일본이 간도의 영유권 등에 관하여 맺은 조약
 갑신정변
  1884년(고종 21) 10월 급진적 개화파들이 내정을 개혁하기 위하여 일으킨 정치적 변란
 갑오개혁
  1894년(고종 31) 7월부터 1896년 2월까지 추진되었던 국정 개혁운동
 갑자사화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어머니 윤씨의 폐위 문제에 얽혀서 일어난 사화
 강감찬
  고려 전기의 명신. 고려 현종 9년(1018) 거란의 소배압이 이끄는 10만 대군을 흥화진과 귀주에서 크게 무찔러 공을 세움(948-1031)
 강수
  신라시대 중원경 사량 출신의 6두품 출신의 학자(?-692)
 강홍립
  조선 선조-광해군 때의 무신. 명나라의 요청으로 후금을 공격하기 위해 출병하였다가 투항. (1560-1627)
 강희안
  조선 전기의 문관이며, 시 · 그림 · 글씨에 뛰어나 안견 · 최경 등과 더불어 3절이라 불렸던 화가(1417-1464)
 객주
  물건의 위탁 판매, 거간 및 그에 부수되는 기능을 담당한 중간 상인
 거란
  퉁구스족과 몽골족의 혼혈로 형성된 유목 민족
 거서간
  신라 초기의 왕호. 시조 박혁거세를 거서간이라 불렀는데, 이것은 고대의 진한말로 임금과 제사를 맡은 웃어른이라는 뜻임
 거칠부
  신라 진흥왕 때의 재상, 장군으로 ≪국사≫를 편찬한 인물. (?-579)
 건원중보
  고려 성종 때 주조된 우리나라 최초의 화폐
 검모잠
  고구려가 멸망하자 유민과 더불어 670년 고구려부흥운동을 주도한 인물
 게르만족
  인도-유럽어족 중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민족의 총칭. 오늘날 스웨덴인 · 덴마크인 · 앵글로색슨인 · 네덜란드인 · 독일인 등이 이에 속함
 견훤
  후백제의 창업 군주. 본래 성은 이씨이나 뒤에 견씨로 고침(867-936)
 결작
  1750년(영조 26) 균역법 실시 이후 토지에 부과된 세금의 하나
 경강 상인
  조선 후기 한강변을 중심으로 정부의 세금곡식과 양반 지주층의 소작료 등을 운반하고 운임을 취하였던 상인
 경국대전
  조선시대 정치의 근간을 이룬 법전(1460)
 경덕왕
  신라 제35대왕. 재위 742∼765년. 중대 전제왕권의 동요로 왕권의 재강화를 위한 일련의 관제정비와 개혁 조치가 취해짐
 경세유포
  조선후기 정약용이 제도의 개혁 원리를 제시한 책
 경세치용 학파
  조선 후기 실학파의 일종으로, 토지제도 등 사회제도 개혁을 주장한 학파
 경시서
  고려시대 개경의 시전을 관리 · 감독하던 관청
 경연
  임금이 학식과 덕망이 높은 신하들과 자연스럽게 만나 학문을 닦고 정책도 토론하는 제도
 경재소
  조선시대 지방의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해 설치한 중앙기구
 경제 공황
  경제 순환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제 혼란의 현상. 상품의 생산과 소비의 균형이 깨지고 산업이 침체하고 금융 상태가 좋지 않으며 파산이 속출하여 인심이 안정되지 못하는 상태
 경제문감
  1395(태조 4)년 정도전이 지은, 조선 왕조의 정치 조직에 관한 책으로 토지의 수조권을 지급한 제도혁 조치가 취해짐
 경제육전
  1394(태조 3)년에 정도전이 치국의 전장을 ≪주례≫의 6전 체제에 따라 편찬한 책
 계루
  고구려를 구성한 5부 중 하나. 계루는 홀본 · 졸본의 딴이름으로 6대 태조왕 때부터 세력이 커져 5부족을 이끄는 지위를 얻게 됨
 계림 도독부
  신라 문무왕 때 당나라가 신라를 지배하기 위해 설치하였던 통치기관
 계백
  백제 660년(의자왕 20)에 나당연합군을 맞아 황산벌에서 싸우다 전사한 장군 ( ?-660)
 계엄령
  대통령이 계엄의 실시를 선포하는 명령
 고국천왕
  고구려 제9대 왕 재위 179-197년 진대법을 실시하고 왕위계승을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꾸어 왕권의 강화를 꾀함
 고금석림
  조선 영조 · 정조 때의 문신 이의봉이 편찬한 말사전.
 고려국사
  1395(태조 4)년 정도전 · 정총 등이 쓴 고려의 역사서
 고려사절요
  1452년(문종 2) 고려시대의 역사를 편년체로 정리한 역사서
 고사관수도
  조선 시대 16세기에 강희안의 작품으로 산수와 인물이 어우러진 소경산수인물화이며,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고연무
  고구려 말의 장군. 계루부 출신으로 고구려 부흥운동을 전개함
 고이왕
  백제의 제8대 임금. 재위 234-280년. 국가의 기초를 확립하고 중앙관등제를 제정, 관복을 착용케 하고 영토를 확장시켰음
 고종
  조선 제26대 왕이며 대한제국 제1대 황제. 재위 1863-1907년 (대한제국 황제 재위 1897-1907년)(1852-1919)
 고추가
  고구려 초기 왕족의 대가, 소노부의 적통 대인, 혹은 왕비족인 절노부 대가에게 주던 칭호
 고흥
  백제 근초고왕 때의 학자로 ≪서기≫를 편찬한 인물
 골품제
  신라의 신분 제도로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관직 진출, 혼인 · 의복 · 가옥 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규제를 함
 골품제도
  신라의 신분 제도로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 관직 진출, 혼인 · 의복 · 가옥 등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규제를 함
 공명첩
  관직을 임명받은 사람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은 백지 임명장
 공민왕
  고려 제31대 왕. 재위 1351-1374년. 원 · 명 교체기를 이용하여 반원 자주 정책과 왕권 강화 정책을 펼침
 공법
  1444년(세종 26)에 제정된 토지에 대한 조세 제도로 연분 6등법과 전분 9등법을 말함
 공복
  관원이 조정에 나아갈 때 입는 관리복장
 공양왕
  이성계에 의해 폐위된 고려 제34대 마지막 왕. 재위 1389-1392년
 공음전
  고려 시대 5품 이상의 관리에게 지급하여 자손에게 세습하도록 한 토지로 귀족의 특권을 보장
 공장안
  국가에서 필요한 물품 생산에 동원할 수 있는 공장(수공업자)을 조사하여 기록한 장부
 공전
  조선시대 공조의 사무를 규정한 법전.
 공화정
  공화 정치를 하는 정치 체제
 과거 제도
  고려-조선 시대에 시행한 관리 채용시험 제도
 과전
  고려 · 조선시대 관직자에게 그 직책의 지위를 기준으로 지급한 토지
 과전법
  1391년의 토지 개혁을 통해 제정된 조선 초기의 근간을 이루는 토지 제도
 관둔전
  고려와 조선시대 각 지방의 행정 · 군사 · 교통 기관의 운영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토지
 관등
  관직의 등급
 관등제
  관직의 등급제도
 관료전
  통일신라시대 녹읍제에 대신하여 문무 관료들에게 지급했던 토지
 관복제
  관리의 복장을 규정한 제도
 관산성
  충청북도 옥천군 군서면에 있는 554년 백제와 신라가 전투를 벌였던 신라성
 관찰사
  조선시대의 지방 장관으로 각 도마다 1명씩 두었던 종2품의 외관직
 관학파
  조선 전기에 주로 성균관, 집현전 출신의 학자들을 일컫는 말로, 사림파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광개토 대왕
  고구려 제19대 왕. 재위 391∼412년. 북으로는 개원∼영안, 동으로는 훈춘, 서로는 요하, 남으로는 임진강에까지 이르는 영토를 확장함
 광개토 대왕릉비
  고구려 장수왕이 414년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길림성 집안현에 세운 비석. 삼국의 정세와 일본과의 관계를 알려 줌
 광작
  조선 후기에 농민들이 경작지를 늘려서 넓은 토지를 경작하려던 현상
 광종
  고려 제4대 왕으로 제1대 태조의 셋째 아들. 재위 949-975년. 왕권 강화를 위해 과거제와 노비안검법 실시함
 광주학생항일운동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일어난 학생들의 항일 운동
 광해군
  조선 제15대 왕. 재위 1608-1623년. 임진왜란 이후 전후 복구 사업과 중립 외교를 추진
 교장도감
  고려 시대 속장경의 판각을 담당하였던 관청. 송나라에 다녀온 대각국사 의천의 요청에 따라 1086년(선종 3) 흥왕사에 설치함
 교종
  불교 종파의 하나로 경전 연구를 통해 깨달음을 얻음
 교학
  불경의 교리를 연구하는 것
 교황
  가톨릭 교회의 최고 우두머리이자 로마를 관할하는 성직자
 구분전
  고려시대 군인의 유족 및 퇴역 군인에게 지급되던 토지
 구삼국사
  고려 전기에 편찬된 삼국 시대에 관한 역사책으로 현재 전해지지 않음
 구석기 시대
  신생대 제4기 홍적세와 충적세의 경계에 해당하는 원시 인류가 뗀석기를 가지고 사냥을 하거나 열매를 따 먹던 시대
 국가 재건 최고 회의
  1961년 5 · 16 군사 쿠데타 직후에 설치되었던 국가 최고 통치 의결 기관
 국내성
  삼국 시대 초기의 고구려 수도
 국사
  고려 광종 때부터 조선 전기까지 승려에게 주었던 최고의 승직
 국자감
  고려시대 성종 5년(986)에 설립된 중앙의 국립 교육 기관
 국자학
  고려 시대 국자감에 두었던 경사 6학의 하나로 3품 이상의 자제가 입학
 국채 보상 운동
  1907년 일본에 진 빚을 국민의 힘으로 갚아 경제적으로 독립하자는 운동
 국학
  신문왕 2년(682)에 설립된 통일신라의 중앙교육기관
 군국 서무
  군사 행정과 관련된 업무
 군국주의
  국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을 군사력에 의한 대외적 발전에 두고, 전쟁과 그 준비를 위한 정책이나 제도를 국민 생활 속에서 최상위에 두려는 이념
 군반
  군역을 일종의 직역(職役)으로 담당한 중간 계층으로 귀족 등의 지배층과 일반농민의 피지배층 사이에 위치
 군인전
  고려시대 군인이 군역에 복무하는 대가로 지급한 토지
 군주
  신라의 지방행정구역인 주의 행정 · 군정을 관장하던 장관. 661년(문무왕 1)에 총관으로 785년(원성왕 1)에는 다시 도독으로 바뀜
 군현제
  전국을 몇 개의 행정구역으로 나눠 중앙에서 임명한 지방관을 파견하여 다스리던 중앙집권적 지방행정제도
 굴식 돌방무덤
  돌로 1개 이상의 방을 만들고 그것을 통로로 연결한 무덤으로 앞방과 널방으로 구분하고, 벽의 표면에 벽화를 그려 넣음
 굽타 왕조
  320년부터 550년경까지 북인도를 통일 · 지배한 왕조
 궁성 요배
  일제 강점기에 황민화 운동의 일환으로 한국인들로 하여금 강제로 일본국왕의 궁전을 향해 절하게 한 일
 궁예
  후고구려를 건국한 왕. 성은 김씨(金氏). 세달사(世達寺) 승려 시절 스스로 선종(善宗)이라 하였음(재위 901-918년)
 권근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성리학자.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건국한 공신. (1352-1409)
 권문세족
  고려 후기의 지배 세력. 정치적으로 음서로 관직에 진출, 도평의사사를 장악하였고 경제적으로 대농장을 소유함. 친원파가 대부분 이었음
 귀주 대첩
  1019(현종 10)년 고려에 침입한 거란군을 강감찬을 중심으로 한 고려군이 귀주에서 크게 격파한 싸움
 규슈
  일본열도를 구성하는 4대 섬중 가장 남쪽에 있는 섬, 또는 그 섬을 중심으로 하는 지방
 균여
  고려 전기 보현십원가를 지은 화엄 사상의 승려. (923-973)
 균역법
  1750년(영조 26)에 양민들의 군역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포 2필에서 1필로 경감한 세법
 균전론
  조선 후기 실학자들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제기하였던 토지 제도 개혁론
 그리스 정교
  가톨릭의 한 파. 로마 교황을 인정하지 않고 교회와 의식을 존중함
 근우회
  1927년 5월에 통일전선체로 조직된 항일여성단체
 근초고왕
  백제 제13대 왕. 재위 346~375년. 정복군주로서 마한을 통합하고 요서, 산둥반도 및 규슈지방까지 진출하여, 고대상업세력을 형성
 금
  여진족의 아골타가 세운 중국의 정복왕조에 속하는 나라(1115~1234)
 금관가야
  수로왕이 경상남도 김해 지방에 세운 가야연맹의 6가야 중 하나. 전기가야연맹의 맹주국(42~532)
 금위영
  조선 후기 중앙의 호위를 맡았던 군영의 하나
 금융 실명제
  은행 예금이나 증권 투자 따위 금융 거래를 할 때에 실제 명의로 하여야 하며, 가명이나 무기명 거래는 인정하지 않는 제도
 기묘사화
  1519년(중종 14) 훈구파들에 의해서 조광조 등 신진 사림이 화를 입은 사건
 기유약조
  임진왜란 이후 단절되었던 국교를 재개하려는 일본의 끈질긴 요청을 받아들여 1609년(광해군) 일본과 맺은 조약
 기인 제도
  신라의 상수리 제도를 계승하여, 고려시대에 지방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그들의 자제를 서울에 인질로 둔 제도
 기전체
  사마천의 ≪사기≫에서 비롯되었는데, 역사를 본기, 열전, 지 등으로 구성하여 서술하는 역사 서술의 체제
 기철
  누이동생이 원 순제의 황후가 되어 태자를 낳자, 원을 등에 업고 친원파 세력을 결집하여 남의 토지를 빼앗는 등의 권세를 부림
 기회주의
  일관된 입장을 지니지 못하고 그때그때의 정세에 따라 이로운 쪽으로 행동하는 경향
 길재
  고려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1353-1419)
 김대문
  통일신라시대의 유학자이며 문장가
 김돈중
  고려전기의 문신 (?-1170 )
 김부식
  고려전기에 ≪삼국사기)≫를 편찬한 문신, 학자, 정치가.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진압함 (1075-1151)
 김사미ㆍ효심의 봉기
  1193년(명종 23) 경상도 청도에서 김사미가 일으킨 봉기과 초전(경상남도 울산)을 근거로 한 효심의 농민반란군이 일으킨 봉기
 김삿갓
  조선 시대의 방랑시인. 본관 안동, 본명 병연. 속칭 김삿갓
 김생
  통일 신라 시대 서예가. 고려시대 문인들이 해동 제일 서예가로 평가(711-?)
 김석문
  조선 후기 숙종 때 유일을 거쳐 1726(영조 2)년에 통천군수를 역임함. 최초로 지전설을 주장
 김수로
  가락국 혹은 금관가야의 시조. 재위 42-199년. 김해 김씨의 시조
 김유신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의 장군 · 대신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함. (595-673)
 김육
  조선 후기 대동법 실시를 건의한 문신 · 실학자(1580-1658)
 김정호
  조선 후기의 실학자 · 지리학자(?-1864)
 김정희
  조선 후기의 문신 · 실학자 · 서화가(1786-1856)
 김종서
  조선전기의 정치가로 6진을 개척하여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을 확정한 인물(1383-1453 )
 김종직
  조선 초기의 성리학자. 제자로 김굉필, 정여창과 같은 사림파를 길러냄(1431~1492)
 김홍도
  조선 후기의 화가로 해학과 풍자를 섞어 서민 사회의 생활 정서를 묘사한 인물
 김효원
  조선 선조 때 동서 분당의 계기를 제공한 동인의 대표자(1532-1590)
 껴묻거리
  죽은 이를 묻을 때 시체와 함께 묻는 물건. 부장품
◀ PREV |   1  2  3  4  5  6  7  8  9  1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