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차웅
  무당에서 기원하였다는 신라 초기의 왕호. 남해왕 1대에만 사용된 차차웅이라는 칭호는 신라 초기의 제정일치적 성격을 나타낸 것
 참성단
  단군이 쌓았다고 세전되어 오는 인천 강화군 마니산에 있는 제천지로, 조선시대에 일월성신에 대한 초제가 시행됨
  참소
  남을 헐뜯어서 없는 죄를 있는 듯이 꾸며 고해 바치는 일
  참의부
  1924년 만주에서 통의부를 탈퇴한 인사들이 임시 정부 직할 군단으로 설치한 독립운동단체
  창부
  신라시대에 국가재정을 맡아보던 중앙관청
  창왕
  고려의 제33대 왕. 재위 1388-1389년. 제32대 우왕의 아들로 즉위하였다가 이성계에 의해 폐위됨
  채약사
  삼국 시대 백제에서 의약업무를 담당한 관직 (?-1144)
  척신
  임금과 친척 관계로 정계에 진출한 관리를 말함
  척준경
  고려전기에 이자겸과 함께 난을 일으킨 인물. 정지상에 의해 제거됨 (?-1144)
  천거
  일종의 추천에 의해 관리를 선발하는 방법
  천리장성
  고구려 말기 서부국경의 방어를 위하여 연개소문이 축조한 장성. 11세기 초 고려의 북쪽 변방에 쌓은 것으로, 여진족과 국경을 이루었던 성
  천마총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는 천마도가 출토된 돌무지덧널무덤 유적
  천산대렵도
  고려 공민왕의 작품으로 추정되는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권근 등 12명의 천문학자들이 1395년(태조 4) 돌에 새긴 천문도로, 중국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됨
  천태종
  중국 수나라의 천태대사 지의를 개조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로 의천이 고려에서 확립한 것은 해동 천태종이라고 함
  철령
  함경남도 안변군 신고산면과 강원도 회양군 하북면과의 경계에 위치한 고개. 관동 · 관북 지방의 경계
  첨의부
  고려후기 최고 중앙 행정 기관. 원나라의 간섭으로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을 병합하여 설치. 도첨의사사로 개편
  청교도 혁명
  명나라 이후 만주족인 누르하치가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 (1636-1912)
  청백리
  고려 · 조선시대에 청렴 결백한 관원을 이르던 말
  청장관전서
  조선 후기의 학자 이덕무의 문집
  초시
  조선시대 소과에 합격한 생원 · 진사가 응시하는 대과의 첫 단계 시험
  촌주
  신라시대에 지방민을 통제하기 위해 그 지역 유력자에게 준 관직
  총독부
  1910년부터 1945년 광복까지 한국을 지배했던 일제의 식민통치기관
  총융청
  조선후기 1624(인조 2)년에 설치된 5군영의 하나
  총통등록
  조선 시대 1448(세종 30)년에 간행된 화포와 화약사용법에 관한 책
  최무선
  고려 말-조선 시대 화약 제조법을 배워 화통도감을 설치하고 화약과 화통, 화포, 화전 따위를 만들어 왜구를 크게 무찔렀던 장수(1325-1395)
  최승로
  고려 성종 때 「시무28조」를 올린 재상이자 유학자(927-989)
  최영
  고려후기에 홍건적 토벌에 공을 세운 명장이자 충신(1316-1388)
  최충
  고려 전기에 벼슬에서 물러나 송악산 아래에 사숙(사립학교)을 열고 많은 인재를 배출하였던 문신(984-1068)
  최충헌
  고려 무신 정권기의 집권자. 최씨 정권 시대를 열었음 (1149-1219)
  최해산
  조선 초기 화포 제작에 활약한 무신으로 최무선의 아들(1380-1443)
  춘추 전국 시대
  주의 쇠퇴로 인하여 혼란에 빠진 기간. 전국 시대 진에 의해 재통일됨 (BC 771- BC 221년). BC 403년을 경계로 춘추시대와 전국시대로 구분
  충선왕
  고려 제26대 왕. 재위 1308-1313년. 개혁 정치 단행했으나 실패
  칠정산
  이순지 · 김담이 1444년(세종 26)에 왕명으로 편찬한 역서
  칠패
  조선후기 서울에서 미곡 · 포목 · 어물 등을 취급하는 대규모의 난전 시장
  침구경험방
  1644(인조 22)년 허임이 찬술한 침구에 관한 전문 의서
  침류왕
  백제 최초로 불교를 공인한 백제 제15대 왕. 재위 384-385년. 근구수왕의 맏아들
◀ PREV |   1  2  3  4  5  6  7  8  9  10   | NEX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