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802 건)
목록개수 :
-
• 10위
발해(渤海)의 군사 조직.
-
• 10정
통일 신라의 최상위 지방 행정 단위인 9주(九州)에 주둔하였던 군대.
-
• 12목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년) 대에 외관(外官)을 파견한 지방 행정 조직.
-
• 15부
발해의 지방 행정 단위.
-
• 16관등
백제에서 실시한 관리의 위계제(位階制).
-
• 17관등
신라에서 시행되었던 관리의 위계제(位階制).
-
• 21개조 요구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권을 일방적으로 차지하기 위해 중화민국 정부에게 제출한 불평등한 요구 사항.
-
• 22담로
백제가 지방에 설치했던 행정 단위.
-
• 22부
백제의 중앙 관부.
-
• 2군
국왕의 친위 부대로서 왕의 경호와 궁궐 수비를 담당한 고려 전기의 중앙군 부대.
-
• 2성
고려 시기 최고 중앙 관부로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尙書省)을 합쳐 일컫는 말.
-
• 3경
고려 시기에 설치한 세 곳의 별경(別京).
-
• 3사
사헌부(司憲府), 사간원(司諫院), 홍문관(弘文館)의 3개 기관을 합쳐 부르던 용어.
-
• 3포
조선이 일본인들의 무역과 왕래⋅거주를 허용했던 세 곳의 포구.
-
• 4군
조선 초기에 개척했던 평안도 지역의 4개 군.
-
• 4부 학당
한성(漢城)의 동부, 서부, 남부, 중부에 건립된 관립 교육 기관.
-
• 5⋅4 운동
1919년 5월 4일 중국 베이징에서의 학생 시위를 계기로 일어난 중국의 반제국주의⋅반봉건주의 혁명 운동.
-
• 5군영
양란 이후 수도와 그 외곽을 방어하기 위해 설립한 다섯 개의 군영.
-
• 5도
고려 시기 양계(兩界)를 제외한 지역에 설정한 광역 지방 행정 구역.
-
• 5방
백제의 지방 행정 단위.
-
• 5부
고구려 건국을 주도하고 핵심 지배층을 형성한 5개의 단위 정치체이며, 고구려가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한 이후에는 수도 행정 구역으로 의미가 바뀌었다.
-
• 5소경
통일 신라가 지방에 설치한 5개의 특수 행정 구역.
-
• 5위
조선 전기 군사 제도와 진법 체제의 기본이 되었던 군사 조직.
-
• 5적 암살단
1907년 을사 5적을 암살하기 위해 조직된 단체.
-
• 62주
발해의 지방 행정 단위.
-
• 6부
신라 건국을 주도하고 핵심 지배층을 형성한 6개의 단위 정치체.
-
• 6부
발해(渤海)의 중앙 관부로, 정당성(政堂省)의 지휘를 받아 행정 업무를 수행한 6개의 관서.
-
• 6위
고려 전기에 국가 중요 행사의 경비, 수도의 치안, 국왕의 시종과 의장, 궁성문 방비 등을 담당했던 6개의 중앙군 부대.
-
• 6정
신라의 중앙과 지방에 주둔한 6개 군단.
-
• 6조
조선 시대 국가 행정을 담당했던 이조(吏曹), 호조(戶曹), 예조(禮曹), 병조(兵曹), 형조(刑曹), 공조(工曹)를 총칭하는 말.
-
• 6조 직계제
국정 현안에 대해 6조의 장관인 판서가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왕에게 보고하여 업무를 처리하도록 한 제도.
-
• 6진
조선 초기에 개척했던 함경도 지역의 6개 진(鎭).
-
• 6촌
신라 건국 신화에서 건국의 기반이 되었던 6개의 지역 집단.
-
• 8조법
고조선(古朝鮮)의 8조문으로 된 법률.
-
• 9산 선문
중국에서 유입된 불교 종파인 선종(禪宗)이 신라 말에 번성하여 형성된 9개의 문파(門派).
-
• 9서당
통일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 주둔하면서 수도의 방어와 치안을 담당하던 9개의 군부대.
-
• 9성
1107년(예종 2) 윤관(尹瓘)의 군대가 여진족을 정벌하고 획득한 동북 변경 지역에 설치한 9개의 성.
-
• 9재 학당
최충(崔沖, 948~1068)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신의 집에 세운 사립 교육 기관.
-
• 9주
통일 신라 시대에 전국을 9개의 구역으로 나눈 행정 단위.
-
• 가쓰라-태프트 밀약
1905년 미국 육군장관 태프트(William Howard Taft, 1857~1930)와 일본 수상 가쓰라(桂太郞, 1848~1913)가 미국과 일본이 각각 필리핀과 대한제국에 대해 지배권을 갖는다는 것에 합의한 비밀 협약.
-
• 가흥창
조선 시대 충청도 충주에 있던 조창(漕倉).
-
• 각인 은화
1897년 일본의 금 본위제 시행으로 폐기되는 일본 은화에 은(銀)자를 새겨 조선에 유통시켰던 화폐.
-
• 간의
원(元)나라의 곽수경(郭守敬, 1231~1316)이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제작했던 천문 관측기구.
-
• 간쟁
국왕의 옳지 못한 행동이나 잘못된 국정 운영에 대해 비판하고 논쟁하던 행위.
-
• 감영
조선 시대 8도의 관찰사가 거처하면서 업무를 처리하던 관청.
-
• 감찰사
고려 후기 관리들에 대한 감찰과 탄핵 등을 담당한 감찰 기구.
-
• 갑신일록
갑신정변(甲申政變)에 대한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의 회고록.
-
• 갑자사화
1504년(연산군 10) 갑자년(甲子年)에 능상(陵上)의 풍조를 일소한다는 명분하에 조정 신료들을 도륙했던 사건.
-
• 강동 6주
거란의 1차 침입 이후 고려가 압록강 하류 유역에 설치한 6개 주.
-
• 강화학파
조선 후기 정제두(鄭齊斗, 1649~1736)가 강화도에서 일으킨 학파.
-
• 개경
고려의 수도.
-
• 개령 농민 봉기
1862년(철종 13) 경상도 개령(開寧)에서 일어난 농민 봉기.
-
• 개벽
일제 강점기 천도교가 발행한 대표적인 대중 종합 잡지.
-
• 개시
공식적으로 조선의 국경이나 허가된 장소에 개설된 외국과의 교역 시장.
-
• 객주
숙식을 제공하고 상인 간의 거래를 주선하는 시설을 갖춘 중간 상인.
-
• 거류지
조약에 따라 상대방 국민의 거주와 영업 등을 허가한 지역.
-
• 거문도 사건
1885년 4월부터 1887년 2월까지 영국이 러시아의 남하를 막으려는 목적으로 거문도를 불법 점령한 사건.
-
• 거서간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 재위 기원전 57~기원후 4)가 쓴 왕호(王號).
-
• 건국 동맹
1944년 8월 여운형(呂運亨, 1886~1947)을 중심으로 조직된 항일 비밀 결사.
-
• 건양
1896년(고종 33) 1월부터 1897년 8월까지 사용된 조선의 연호.
-
• 건원중보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에 정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화폐.
-
• 검서관
조선 후기 규장각(奎章閣)에 소속된 실무 담당자.
-
• 격군
사공(沙工)의 일을 돕거나 배에 짐을 싣는 등 항해와 관련된 일을 했던 수부(水夫)의 하나.
-
• 격문
세상 사람들의 의분(義憤)을 일으키고 선동하기 위해 지은 글.
-
• 견종법
밭이랑과 이랑 사이에 작물을 재배하는 방법.
-
• 결작
균역법(均役法)의 시행으로 부족해진 세액을 보충하기 위해 토지에 부과한 세금.
-
• 경강상인
조선 후기 경강(京江) 지역을 근거로 활동하던 상인.
-
• 경관직
조선 시대 중앙 관사에 소속된 관직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
• 경당
고구려의 교육 기관.
-
• 경무총감부
1910년부터 1919년까지 치안을 담당했던 조선 총독부 산하의 경찰 기구.
-
• 경성 방송국
1927년 한국에 처음으로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으로 일제 식민 통치를 위해 활용된 언론 기관.
-
• 경성 제국 대학
일제가 경성에 설립한 일제 강점기 유일한 종합 대학.
-
• 경성부민관
1930년 중반 이후 경성의 각종 문화 예술 공연이 진행되었던 경성부 부설 강당.
-
• 경세유표
조선 후기 제도에 대한 개혁안을 담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책.
-
• 경세치용학파
조선 후기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을 중심으로 한 제도 개혁을 주장했던 실학자 일파.
-
• 경연
국왕이 신하와 함께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공부하고 토의하는 학술 제도.
-
• 경위원
대한제국 시기 황제의 친위 경찰 조직.
-
• 경재소
조선 전기 중앙의 고위 관리들을 통해 지방에 있던 유향소(留鄕所)를 통제하기 위해 설치했던 기구.
-
• 경제 블록화
1929년 대공황 이후 자본주의의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경제 공동체 구상.
-
• 경주 남산 신성비
591년(신라 진평왕 13년) 신라 도성인 경주(慶州)의 남산(南山)에 산성(남산 신성)을 쌓을 때 축성 공사와 관련한 내용을 새겨 세운 비석.
-
• 경주 월성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인왕동(仁旺洞)에 위치한 신라의 궁성(宮城) 유적.
-
• 경천사 10층 석탑
1348년(충목왕 4)에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석탑.
-
• 계림 도독부
당(唐)이 신라 영토를 차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려 했던 지방 군사⋅행정 기관.
-
• 계유정난
1453년(단종 1) 수양대군(首陽大君, 1417~1468)이 측근들과 함께 김종서(金宗瑞)와 황보인(皇甫仁) 등의 세력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했던 사건.
-
• 계해약조
조선이 1443년(세종 25) 대마도(對馬島, 쓰시마 섬)와 지속적 교류를 위해 맺은 무역 조약.
-
• 고려 공산당
1921년 상하이와 이르쿠츠크에서 각각 결성된 한인 공산주의 정당.
-
• 고려인
현재의 러시아를 비롯하여 구소련 영토에 거주하는 한국인 이주민 및 그 후손들을 가리키는 용어.
-
• 고부 농민 봉기
1894년(고종 31) 1월 고부 군수 조병갑(趙秉甲, 1844~1911)의 학정에 맞서 전봉준(全琫準, 1855~1895)이 주도하여 일으킨 봉기.
-
• 고증학
청나라 초 성리학과 양명학에 대항하여 실증적 연구 방법을 강조하면서 등장한 학문적 경향.
-
• 곤여만국전도
1602년(선조 35)에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가 제작한 후 1708년(숙종 34) 조선에서 모사(模寫)한 서양식 세계 지도.
-
• 골품제
신라의 신분 제도.
-
• 공가
공인(貢人)이 공물(貢物)을 납부하는 대신 받게 되는 대가.
-
• 공납
각 지방의 생산물을 현물로 수취하는 제도.
-
• 공론
절대적으로 공정하면서도 공평하며 지극히 타당한 논의.
-
• 공법
토지를 6등급으로, 해당 연도의 작황(作況)을 9등급으로 나누어 생산량의 1/20을 전세(田稅)로 수취하는 제도
-
• 공음전
고려 시기에 특정 관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자손에게 수조권(收租權)을 상속할 수 있는 토지.
-
• 공인
대동법(大同法) 실시 이후 등장한 특권 상인.
-
• 공장
수공업품을 제작하는 장인.
-
• 과거 제도
고려 시기에 국가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하던 제도.
-
• 과거 제도
관료를 선발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시행하던 고시 제도.
-
• 과전법
관료들의 경제 기반을 보장해 주기 위하여 일정한 토지에 대한 수조권(收租權)을 관직자들에게 나누어 준 제도.
-
• 관동군
러일 전쟁 후 1906년부터 1945년까지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에 주둔했던 일본 육군 주력부대의 하나.
-
• 관료전
통일 신라 시대에 관리에게 직무(職務) 수행 대가로 지급한 땅으로, 소유권을 주지 않고 농지의 세금을 수취할 수 있는 권한을 지급한 농지.
-
• 관부 연락선
부산(釜山)과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 사이를 운항하던 정기 연락선.
-
• 관수관급제
토지 수조권을 가진 관료가 해당 토지에서 직접 세금을 걷는 것을 금지하고 국가에서 세금을 징수한 후 관원에게 지급하는 제도.
-
• 관찰사
조선 시대의 지방 장관으로 각 도의 통치를 위해 파견했던 행정 책임자.
-
• 광군
고려 초 설치되었던 지방 군사 조직.
-
• 광작
조선 후기 넓은 경작지를 경작하는 농업 경영 형태.
-
• 괘서
타인의 비방 또는 선동하는 내용을 담아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는 곳에 붙인 익명의 글.
-
• 교관겸수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敎)와 실천 체계인 지관(止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
• 교정도감
고려 후기 무신 집권층의 최고 권력 기구.
-
• 교조 신원 운동
동학교도들이 교조 최제우(崔濟愚, 1824~1864)의 죄명을 벗기고 종교의 자유를 얻기 위해서 전개한 운동.
-
• 구미 위원부
1919년 미국과 유럽을 대상으로 외교 활동을 펼치기 위해 미국 워싱턴에 설립된 단체.
-
• 구본신참
옛 규범을 근본으로 삼고 점진적으로 서구 제도와 문물을 받아들이자는 광무개혁(光武改革) 의 기본 정신.
-
• 국공 합작
1924~1927년과 1937~1945년에 성립했던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 사이의 연합 전선.
-
• 국내성
서기 3년부터 427년까지의 고구려 왕성(王城) 혹은 수도.
-
• 국문 연구소
1907년 학부(學部) 안에 설치한 한글 연구 기관.
-
• 국민 대표 회의
1923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재편을 통해 독립운동의 활로를 마련하기 위해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회의.
-
• 국민 정신 총동원 운동
중일 전쟁 이후 일제가 침략 전쟁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인적⋅물적 통제와 수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벌인 대중 동원 운동.
-
• 국민 징용령
1939년 7월 일제가 전쟁 수행을 위하여 일본인 및 식민지민을 강제로 동원시키기 위해 시행한 명령.
-
• 국민부
1929년 만주에 설립된 한인 자치 기관이자 항일 독립운동 단체.
-
• 국민소학독본
1895년(고종 32) 7월 학부(學部)에서 간행한 소학교용 교과서.
-
• 국민수지
1906년 간행된 국가학 관련 계몽서이자 교과서.
-
• 국민신보
1906년부터 1910년까지 발간된 일진회(一進會)의 기관지.
-
• 국사
신라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이 거칠부(居柒夫) 등에게 명하여 편찬케 한 신라의 역사서.
-
• 국사
고려 시기에 승려가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법계이자 관직.
-
• 국역
국가가 각 백성들에게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도록 배정한 역(役).
-
• 국읍
삼한(三韓)을 구성하는 소국(小國)의 정치⋅군사적 중심 읍락(邑落).
-
• 국자감
고려 시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
• 국조오례의
유교 왕정에 필요한 의식들을 길례(吉禮)⋅가례(嘉禮)⋅빈례(賓禮)⋅군례(軍禮)⋅흉례(凶禮) 등 다섯 항목으로 나눈 뒤 하나의 전범(典範)으로 정리한 국가 의례서.
-
• 국채 보상 기성회
1907년에서 1910년 4월까지 국채를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주도한 단체.
-
• 국학
신라의 교육 기관.
-
• 군대 해산
1907년 8월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된 사건.
-
• 군역
조선 시대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백성들이 부담해야 했던 국역(國役)의 일종으로, 군인이 되거나 혹은 이에 상응하는 군포(軍布)를 납부하는 의무.
-
• 군인전
고려 시기에 군인이 군역에 복무하는 대가로 수조권(收租權)을 부여받은 토지.
-
• 군포
조선 시대 병역을 지는 대신 부담하였던 세금.
-
• 궁내부
1894년(고종 31)부터 1910년까지 왕실의 사무를 관장하던 관서(官署).
-
• 권업회
1911년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조직된 한인 자치 단체이자 독립운동 단체.
-
• 규방가사
양반가의 부녀자들 사이에 유행하던 가사(歌辭).
-
• 규장각
조선 정조 때 학술 진흥과 친위 관료 양성을 위해 세워진 왕실 도서관이자 개혁 기구.
-
• 균역법
조선 후기 백성들의 군역(軍役) 부담을 줄인 제도 개혁안.
-
• 극동 인민 대표 대회
1922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코민테른 주도로 열린 동아시아 각국 공산당 및 민족 혁명 단체의 연석회의.
-
• 금난전권
시전(市廛) 상인들의 독점적 상행위를 보장하는 권리
-
• 금성
신라의 초기 왕성(王城) 혹은 수도의 이름.
-
• 금위영
1682년(숙종 8) 서울의 수비와 경비를 목적으로 설립된 군영(軍營).
-
• 금입택
신라의 수도 경주(慶州)에 있었던 왕족 및 귀족들의 화려하고 큰 저택.
-
• 기기도설
1627년(인조 5) 선교사 테렌츠(Johann Terrenz Schreck, 鄧玉函, 1576~1630)와 중국인 왕징(王徵, 1571~1644)이 공동으로 제작하여 간행한 서양 역학서(力學書).
-
• 기기창
1887년(고종 24) 10월 완공된, 무기 제조 관서인 기기국(機器局) 산하의 공장.
-
• 기묘사화
1519년(중종 14) 조광조(趙光祖, 1482~1519) 등을 대표로 한 신진 사림들이 남곤(南袞, 1471~1527) 등의 훈구 재상들에게 정치적으로 공격을 받아 실각하게 된 사건.
-
• 기유약조
임진왜란 이후 단절된 조일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1609년(광해군 1) 대마도(對馬島, 쓰시마 섬) 도주와 맺은 강화 조약.
-
• 기해박해
1839년(헌종 5)에 일어난 두 번째 천주교 박해 사건.
-
• 기호 흥학회
1908년 1월 서울에서 설립된 계몽 운동 단체.
-
• 기호학파
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를 스승으로 삼은 학파.
-
• 김사미⋅효심의 봉기
1193년(명종 23) 김사미(金沙彌, ?~1194)의 농민군과 효심(孝心, ?~?)의 농민군이 연합하여 일으킨 봉기.
-
• 나선 정벌
청나라와 조선의 연합군과 러시아군이 1654년(효종 5)과 1658년(효종 9)에 만주의 영고탑(寧古塔)과 흑룡강(黑龍江)에서 벌였던 전투.
-
• 나제 동맹
5세기 대 고구려의 남진에 대항하여 백제와 신라가 맺은 군사 동맹.
-
• 낙랑군
고조선(古朝鮮) 멸망 이후 한(漢)이 그 땅에 설치했던 지방 행정 기구인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
-
• 난전
조선 시대 시안(市案)에 등록되지 않은 상인들의 상업 행위나 상점을 이르는 말.
-
• 난징 대학살
1937년 12월부터 1938년 2월까지 중국 난징(南京)에서 일본군이 중국인 포로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으로 전개한 대학살 사건.
-
• 남경
고려 시대에 설치된 별경(別京) 중 하나.
-
• 남만주 철도 주식회사
1906년부터 1945년까지 일제의 만주 침략과 만주 식민지 경영을 위해 존재했던 일본의 국책 회사.
-
• 남면북양 정책
1930년대 조선 총독부가 한국의 농민에게 강요한 공업 원료 증산 정책.
-
• 남인
조선 후기 붕당 정치 심화에 따라 동인에서 분파된 정파(政派).
-
• 남한 대토벌 작전
1909년 9월부터 약 2개월간 일본군이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의병 부대와 한국인을 학살한 작전.
-
• 납속
가뭄⋅흉년⋅전란 등 유사시에 필요한 곡식을 확보하기 위해 일반 백성에게 곡식을 바치게 한 후 포상(褒賞)하는 국가의 재정 확보 정책.
-
• 내물 마립간
356년에서 402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17대 왕.
-
• 내상
조선 시대 동래부(東萊府)에서 일본과 무역을 하던 상인.
-
• 내성
왕궁과 왕실 관련 업무를 총괄하던 신라의 관청.
-
• 내지 시찰단
일제 식민 통치에 협력하게 만드는 계기를 만들거나 협력에 대한 대가를 보상하는 차원에서 한국인에게 일본을 여행하면서 일본의 우수성을 느끼게 할 목적으로 조선 총독부나 관변 기관이 조직한 여행 조직.
-
• 노동야학독본
1908년 유길준(兪吉濬, 1856~1914)이 저술한 노동자 교육용 교과서.
-
• 노론
조선 후기 붕당 정치 심화에 따라 서인(西人)에서 분파된 정파(政派).
-
• 노비
양인(良人)이 아닌 백성으로 국가나 타인의 소유물로 존재하는 천인(賤人).
-
• 노비안검법
본래 양인이었는데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하여 다시 양인으로 만들기 위해 956년(광종 7)에 실시한 법.
-
• 노비종모법
노비의 신분과 소속을 모친에 따라 정해지도록 정한 법.
-
• 녹봉
관직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던 급료.
-
• 녹읍
신라에서 귀족 관인(官人)에게 직무 수행의 대가로 지급한 고을.
-
• 농가집성
조선 중기 신속(申洬, 1600~1661)이 이전의 농서(農書)를 종합하여 편찬한 농업 서적.
-
• 농공 병진 정책
1930년대 일제가 세계 대공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엔(円) 블록 경제권을 구축할 목적으로 조선에서 실시한 산업 개발 정책.
-
• 농상집요
원(元)에서 13세기 후반에 편찬하여 반포한 농업 서적.
-
• 농촌 계몽 운동
1920~1930년대 민족 운동과 관련한 청년 학생이나 지식층이 농민의 의식과 지식 등을 계몽하기 위해 농촌 사회에서 행한 사회 교육 운동.
-
• 농촌 진흥 운동
1932년부터 1940년까지 세계 대공황 이후 식민 지배 체제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조선 총독부가 전국 농촌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제 농촌 운동.
-
• 다이쇼 데모크라시
1910~1920년대 일본의 정치, 사회, 문화 각 방면에 나타난 자유주의적이고 민주주의적인 경향.
-
• 단군왕검
한국사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古朝鮮)의 건국자이며, 우리 민족의 시조로 추앙받는 인물.
-
• 담헌서
18세기 북학파인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문집.
-
• 당상관
정3품 상계(上階) 이상의 고위 관료를 지칭하는 용어.
-
• 대간
관료를 감찰하고 탄핵하는 임무를 띤 대관(臺官)과, 국왕에게 당대의 정치를 비판하는 직무를 담당한 간관(諫官)을 합쳐 부르는 말.
-
• 대간
대관(臺官)과 간관(諫官)을 합쳐 부르던 명칭으로, 관료에 대한 감찰과 국왕에 대한 간쟁을 맡아 보던 언론 기관.
-
• 대대로
고구려의 제1관등이면서 최고위 관직.
-
• 대동 단결 선언
1917년 7월 국민주권론을 주장하며 임시 정부의 필요성을 제시한 최초의 선언.
-
• 대동법
조선 후기 공물(貢物)을 현물이 아닌 쌀로 바치도록 개선한 제도.
-
• 대동아 공영권
중일 전쟁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제가 아시아 대륙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세운 정치 구호.
-
• 대동합방론
1893년(고종 30) 일본인 다루이 도키치(樽井藤吉, 1850~1922)가 일본과 조선의 ‘합방’, 아시아연방의 성립 등의 주장을 담아 출판한 책.
-
• 대륙 병참 기지화 정책
일제가 한반도를 침략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조달하는 병참 기지로 만들기 위해 실시한 일련의 정책.
-
• 대마도
일본 나가사키 현(長崎縣)에 속한 섬으로 역사적으로 한국과 깊은 관계를 맺었던 지역.
-
• 대막리지
고구려 말기에 행정과 군사권을 장악한 관직 혹은 관등.
-
• 대방군
지금의 황해도 지역에 설치되었던 중국의 지방 행정 단위.
-
• 대완구
조선 시대 성(城)을 공격하거나 방어할 때 적에게 큰 타격을 주기 위한 용도로 제작해 사용했던 화포.
-
• 대전통편
1785년(정조 9)에 『경국대전(經國大典)』과 『속대전(續大典)』을 토대로 하여 편찬한 법전(法典).
-
• 대한 국민 의회
1919년 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확대하여 러시아에서 건립한 최초의 임시 정부 조직.
-
• 대한 독립군
1919년 홍범도(洪範圖, 1868~1943)를 중심으로 북간도에서 조직된 독립군 부대로 봉오동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무장 독립운동 단체.
-
• 대한 통의부
1922년 남만주 독립운동 단체가 통합하여 결성한 무장 독립운동 단체.
-
• 대한 협동 우선 회사
1900년(고종 37) 여객과 화물 수송을 위해 설립된 기선 해운 회사.
-
• 대한 협회
1907년 11월에 설립된 계몽 운동 단체.
-
• 대한계년사
정교(鄭喬, 1856~1925)가 1864부터 1910년 사이에 일어난 사건들을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
• 대한민국 임시 의정원
1919년 중국 상하이에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입법 기관.
-
• 덕대
19세기 민간 광산의 채굴권과 운영을 맡던 사람.
-
• 도결
조선 후기 다양한 세액을 토지에 부과하여 거두는 방식.
-
• 도고
일정한 지역에서 물건의 구매와 판매를 독점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던 상인 또는 그러한 행위.
-
• 도관
고려의 도교 사원.
-
• 도방
고려 무신 집권기에 경대승(慶大升, 1154~1183)이 최초로 조직하고 최씨 정권에 의해 본격적으로 운영된 무신 집정자의 사병 집단.
-
• 도병마사
고려 시기에 국방 문제 등 국가적인 주요 의제를 협의하던 재상들의 협의 기구.
-
• 도선
신라 하대의 선종(禪宗) 승려로 우리나라에 풍수(風水)를 전했다고 알려진 인물.
-
• 도원수
조선 시대 전쟁을 수행할 때 군대를 총괄해서 지휘하기 위한 목적으로 임명하던 임시 관직.
-
• 도조법
조선 후기 소작농이 지주(地主)에게 매년 일정한 소작료를 바치는 방식의 지대법.
-
• 도참
앞으로 일어날 일의 길흉화복을 암시나 상징을 통해 예언하는 것.
-
• 도첩제
국가가 승려에게 도첩을 발행해 주어 출가를 공식적으로 인정해 주던 제도.
-
• 도평의사사
고려 후기에 국정을 심의하고 결정한 조정의 최고 정무 기구.
-
• 도호부
고려 시기의 지방 행정 기구.
-
• 도화서
조선 시대 궁중에서 필요한 그림을 전담하던 관청.
-
• 독립신문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일정한 관계를 가지면서 발행된 신문.
-
• 독립의군부
1910년대 국내에서 조직된 의병 운동 계열의 비밀 항일 단체.
-
• 독사신론
1908년 신채호(申采浩, 1880~1936)가 쓴 한국 고대사에 관한 사론(史論).
-
• 독서삼품과
788년(신라 원성왕 4년)에 설치된 통일 신라의 관리 등용 제도.
-
• 돈오점수
불교에서 선(禪)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
-
• 동광
1926년 경성에서 민족운동 단체인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의 기관지 성격으로 발행된 종합 잡지.
-
• 동국병감
조선 문종(文宗, 재위 1450~1452) 대 편찬된 것으로 삼국 시대부터 고려까지 중국과 북방 세력의 침입과 전쟁에 대한 내용들을 기록한 책.
-
• 동국여지승람
1481년(성종 12) 총 50권으로 편찬된 조선 전기의 대표적 관찬 지리서.
-
• 동국통감
고대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해 놓은 역사서.
-
• 동도서기론
19세기 후반 동양의 윤리와 도덕을 지키면서 서구의 기술 문명 수용을 주장한 이론.
-
• 동명왕편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朱蒙, 재위 서기전 58~19)에 대해 쓴 장편 서사시.
-
• 동문선
1478년(성종 9) 성종(成宗, 재위 1469~1494)의 지시에 따라 서거정(徐居正, 1420~1488) 등이 우리나라 역대의 명문(名文)과 명시(名詩) 등을 선별⋅수록해 편찬한 시문선집.
-
• 동문학
1883년(고종 20) 4월 설립된 관립 외국어 교육 기관.
-
• 동문휘고
조선 후기 청나라⋅일본과 교섭 문서를 체계화하여 간행한 외교 문서집.
-
• 동사강목
1778년(정조 2)에 안정복(安鼎福, 1721~1791)이 완성한, 고조선부터 고려까지 다룬 조선 후기 대표적인 역사서.
-
• 동서활인서
도성 내 병든 빈민들의 치료를 맡아보던 기관.
-
• 동양 척식 주식회사
일제가 일본인의 조선 이민 및 척식 사업 수행, 식민지 수탈을 위해 세운 국책 회사.
-
• 동의수세보원
1894년(고종 31)에 이제마(李濟馬, 1837~1899)가 사상 의학(四象醫學)을 바탕으로 저술한 의서(醫書).
-
• 동인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대 김효원(金孝元, 1542~1590)을 지지하는 사람들로 형성되어 이후 이황, 조식, 서경덕 등의 문인들이 참여한 붕당.
-
• 두레
농사일을 위해 만들어진 농촌의 상호 협력 조직.
-
• 로바노프-야마가타 의정서
1896년(고종 33) 6월 9일 러시아 외상 로바노프(Lobanov)와 일본의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특사가 한국과 관련하여 체결한 조약.
-
• 로젠-니시 협정
1898년(고종 35) 4월 25일 러시아와 일본이 한국과 관련하여 체결한 조약.
-
• 마과회통
1798년(정조 22)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지은 홍역에 관한 의학서.
-
• 마립간
신라 전기의 왕호(王號).
-
• 만국 평화 회의
1899년과 1907년에 헤이그에서 개최되어 군비 축소, 전쟁에 관한 규칙, 평화 유지 방안을 논의했던 국제회의.
-
• 만권당
충선왕(忠宣王, 재위 1298, 1308~1313)이 원(元)나라 수도인 대도(大都)지금의 베이징의 자기 집에 설치한 서재(書齋).
-
• 만기요람
1808년(순조 8) 왕명에 의해 국가 재정과 군정(軍政)에 관련된 사항을 총망라하여 편찬한 책.
-
• 만보산 사건
1931년 7월 중국 지린성(吉林省) 만보산 지역에서 한인 농민과 중국인 농민 사이에 일어난 충돌 사건.
-
• 만상
조선 후기 의주(義州)에 거점을 두고 중국과의 접경 지역에서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
-
• 만주 사변
1931년 9월 18일 일제가 류타오후 사건(柳條湖事件)을 일으키며 시작된 만주 침략 전쟁.
-
• 만주국
일제가 만주 사변 후 중국 둥베이(東北) 지방에 세운 꼭두각시 괴뢰 국가.
-
• 매소성 전투
675년(신라 문무왕 15년) 신라와 당(唐)이 매소성(買肖城)(현재의 위치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는데, 지금의 경기도 양주시(楊州市) 고읍동(古邑洞)이나 양주시 유양동(維楊洞), 또는 경기도 연천군(漣川郡) 청산면(靑山面)의 대전리 산성(大田里山城)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에서 벌인 전투로, 신라가 나당 전쟁(羅唐戰爭)을 승리로 이끌 수 있었던 결정적 계기가 된 전투.
-
• 매일신문
1898년 4월 9일 협성회(協成會)가 발간한 일간 신문.
-
• 매일신보
1910년 8월 30일 〈대한매일신보〉의 제호를 바꿔 창간한 조선 총독부의 한글 기관지.
-
• 매지권
무덤을 만들 땅을 구매한 내역과 무덤의 안전을 신에게 기원하는 내용 등을 새긴 문서.
-
• 매향
미래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나무를 묻는 의식.
-
• 멕시코 이민
1905년 1,000여 명의 한국인들이 멕시코로 이주한 계약 노동 이민.
-
• 면포
면을 소재로 만든 원단.
-
• 명경과
고려 시기에 유교 경전의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과거 시험의 한 분과.
-
• 명동 학교
1908년 김약연(金躍淵, 1868~1942) 등이 북간도 한인들을 교육하기 위해 설립한 민족 교육 기관.
-
• 모던걸/모던보이
근대적 생활 양식을 앞서서 받아들인 일단의 무리를 속되게 지칭하던 표현.
-
• 목민심서
1818년(순조 18)에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수령이 지켜야 할 지침을 담아 완성한 책.
-
• 목지국
마한(馬韓) 54개 소국의 맹주국(盟主國).
-
• 묘호
국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배향할 때 붙이는 임금의 호(號).
-
•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경주(慶州) 불국사 삼층 석탑(佛國寺三層石塔) 안에서 발견된 통일 신라 시대 목판 인쇄 불경.
-
• 무오사화
조선에서 발생한 첫 번째 사화(士禍)로 1498년(연산군 4)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의 사초(史草)에 불손한 내용이 담겨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되어 발생했던 정치적 사건.
-
• 문묘
유교의 성인(聖人)이었던 공자(孔子, BC 551~BC 479)를 모시기 위하여 성균관, 향교 내에 설치한 사당.
-
• 문음
고려, 조선 시대에 국가에 큰 공훈이 있는 자들을 대우하기 위해 그들의 친족이나 후손을 관직에 임명했던 제도.
-
• 문하시중
고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장관으로 최고위 관직.
-
• 미두장
쌀⋅콩 등 곡물을 대상으로 현물 및 선물(先物) 거래하던 시장.
-
• 미쓰야 협정
1925년 6월 조선 총독부 경무국장 미쓰야 미야마쓰(三矢宮松)와 중국 펑톈성(奉天省) 경무처장 위전(于珍) 사이에 체결된 재중한국인 단속에 관한 협정.
-
• 민며느리제
결혼을 전제로 어린 여자아이를 남자 집으로 데려와 키우다가 성인이 되면 혼인시키는 옥저(沃沮)의 풍습.
-
• 민보군
19세기 후반 외세 침략을 방어할 목적으로 구상된 민간의 자위 체제이자, 동학 농민군을 진압하기 위해서 지방 양반층과 향리층이 결성한 민간 군대 조직.
-
• 민생단
간도 거주 한인들의 생활 안정과 한인 자치를 표방하며 1932년 짧은 기간 존속하였지만, ‘반민생단 투쟁’ 사건의 명분이 된 친일 단체.
-
• 민족 유일당 운동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좌우 세력을 망라한 민족 단일 정당 건설 운동.
-
• 민족 자결주의
1918년 1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새로운 세계 질서를 세우기 위해 미국 대통령 윌슨(Woodrow Wilson, 1856~1924)이 발표한 14개조 원칙 중 민족 자결과 식민지 민족 독립에 대한 원칙.
-
• 민족주의 사학
일제 식민사학에 대항하여 민족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적인 발전을 강조한 역사학.
-
• 박문국
1883년(고종 20) 8월 인쇄와 출판을 위해 설치된 기관.
-
• 반계수록
1670년(현종 11)에 실학자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이 국가 제도 개혁에 대한 내용을 담아 완성한 책.
-
• 반정
폭정을 일삼으며 백성을 침탈하는 국왕을 폐위하고, 유덕(有德)한 인사를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시키는 정치 행위.
-
• 발해고
1784년(정조 8)에 유득공(柳得恭, 1748~1807)이 저술한 발해의 역사책.
-
• 방곡령
특정 지역 내에 있는 곡물의 반출을 금지하는 명령으로 개항 이후 일본으로의 쌀 유출을 제한하기 위해 시행되기도 함.
-
• 방군수포
조선 중기 이후 정군(正軍)으로 복무하는 대신 포를 거두고 군역(軍役)에서 방면하던 제도.
-
• 방납
조선 시대 세금 중 하나인 공납(貢納) 시에 정상적인 납부를 방해하여 이익을 취하는 행위.
-
• 백강 전투
663년 백제 부흥군이 왜(倭)의 지원군과 함께 나당(羅唐) 연합군과 백강(白江)지금의 금강(錦江) 하구에서 벌인 전투.
-
• 백산 상회
1914년 무렵 안희제(安熙濟, 1885~1943)가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부산에 세운 회사이자 독립운동 단체.
-
• 백정
조선 시대 유기(鍮器) 제조나 소의 도살을 직업으로 삼아 생활하던 천인 계층.
-
• 법상종
고려 시기 불교 종파의 하나.
-
• 베르사유 조약
1919년 6월 28일 제1차 세계 대전의 강화(講和)를 위해 파리 교외의 베르사유에서 연합국 31개국과 독일 사이에 체결된 조약.
-
• 베베르-고무라 각서
1896년 5월 14일 러시아 공사 베베르(Karl Ivanovich Wäber, 1841~1910)와 일본 공사 고무라 주타로(小村壽太郎)가 한국과 관련해 체결한 각서.
-
• 벽란도
고려 개경(開京) 서쪽을 흐르는 예성강 하구의 무역항.
-
• 벽파
정조(正祖, 재위 1776~1800) 연간에 영조(英祖, 재위 1724~1776)의 정치적 처분에 대한 견해 차이로 나누어진 정파(政派).
-
• 별건곤
1926년부터 1934년까지 개벽사(開闢社)가 발행한 대중적인 종합 잡지.
-
• 별무반
고려 숙종(肅宗, 재위 1095~1105) 대 여진(女眞) 정벌에 대비하여 만든 군사 조직.
-
• 병마사
고려 시기에 양계(兩界)의 군사⋅행정을 담당한 관직, 혹은 5군의 지휘관.
-
• 병마절도사
조선 시대 각 도의 군사 지휘와 관련 업무 등을 책임졌던 종2품 서반(西班) 관직.
-
• 병부
군사 관련 업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부(官府).
-
• 병영
조선 시대 각 도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가 업무를 수행하던 관청이나 주진(主鎭)을 지칭함.
-
• 병작반수제
지주(地主)에게 토지를 빌린 소작인이 가을에 수확량의 절반을 바치는 제도.
-
• 병장도설
수양대군(首陽大君, 世祖, 재위 1455~1468)이 병조판서로 재직하던 시절 직접 편찬했던 군사 서적.
-
• 보부상
농촌의 장시(場市)를 순회하며 활동하던 상인.
-
• 보성 전문학교
1905년 이용익(李容翊, 1854~1907)이 설립한 사립 전문 학교로서 고려대학교의 전신.
-
• 보안법
1907년 7월 27일 일제가 집회와 결사를 금지할 목적으로 대한제국 정부에게 제정, 반포하게 한 법령.
-
• 보은 집회
1893년(고종 30) 3~4월에 동학교단이 종교의 자유와 척왜양(斥倭洋)의 기치를 내걸고 충청도 보은에서 개최한 집회.
-
• 보합단
1920년 평안북도 의주에서 결성된 항일 무장 단체.
-
• 부곡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부농
조선 후기 새로운 농업 경영을 기반으로 부를 축적한 농민.
-
• 부민단
서간도 지역 한인 사회의 자치 기구였던 경학사(耕學社)를 모태로 결성된 항일 한인 자치 단체.
-
• 부석사 무량수전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14세기에 건립된 목조 전각.
-
• 부역
국가가 백성들의 노동력을 징발하는 수취 제도.
-
• 부전강 수력 발전소
1926년 조선 수전 주식회사에 의해 착공되어 1929년 11월부터 발전을 시작한 함경남도 신흥군(新興郡)에 있는 한국 최초의 유역 변경식 발전소.
-
• 북로 군정서
1919년 북간도에서 결성되었고, 청산리 대첩에서 크게 활동한 무장 독립운동 단체.
-
• 북벌 운동
조선 효종(孝宗, 재위 1649~1659) 대에 국가를 재정비하여 청나라를 정벌하자는 운동.
-
• 북인
조선 후기 붕당 정치 심화에 따라 동인(東人)에서 나뉜 정파(政派).
-
• 북촌/남촌
일제 강점기 서울의 청계천을 경계로 청계천 이북의 조선인 거주 지역과 이남의 일본인 거주 지역을 구분하기 위한 용어.
-
• 북풍회
1924년 서울에서 결성된 사회주의 사상 단체.
-
• 북학파
18세기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배우자고 주장한 학파.
-
• 비격진천뢰
조선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때 군기시(軍器寺) 화포장(火砲匠) 이장손(李長孫, ?~?)이 제작한 포탄(砲彈).
-
• 비변사
국방과 관련한 임시 기구로 설립되었다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국정 전반을 실질적으로 총괄했던 관서.
-
• 비변사등록
조선 후기 국정 전반을 실질적으로 총괄했던 비변사(備邊司)의 활동 내용을 정리해 놓은 기록.
-
• 빈공과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科擧).
-
• 사대교린
전근대 동아시아 국가들이 주변국이나 주변 세력과 관계를 맺기 위해 취했던 외교 방식.
-
• 사림
조선 성종(成宗, 재위 1469~1494) 대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한 신진 사류(新進士類)로 훈구(勳舊) 대신들의 부정부패를 비판하고 도덕성과 근본주의적 성리학 이념을 강조했던 정치 집단.
-
• 사문난적
조선 후기 유교 경전을 이해함에 있어서 주희(朱熹, 1130~1200)와 다른 해석을 하는 사람을 비난하며 일컫는 말.
-
• 사민
조선 초기 북방 경계를 확정하고 4군⋅6진 등의 군사 기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인구가 부족했던 북방 지역에 남방 지역의 인구를 이주시켰던 일.
-
• 사병
국가가 제정한 군제(軍制)에 편성되어 있지 않고, 개인 혹은 사적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군사 집단.
-
• 사상
조선 후기 장시(場市)와 국경 지대에서 개인적인 영리를 위해 상업 활동을 하던 상인.
-
• 사신도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지키는 전설상의 신비한 동물[神獸]인 사신(四神)을 그린 그림.
-
• 사심관
고려 시기에 지방 출신의 중앙 관원을 통해 해당 지방을 관리한 특수 관직.
-
• 사액 서원
국왕으로부터 서원의 이름이 적힌 현판 액자를 하사받고, 아울러 국가로부터 공식적인 지원을 받는 서원.
-
• 사정부
관리를 감찰하는 업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부(官府).
-
• 사족
사대부(士大夫)가 될 수 있는 혈족(血族)이란 의미로 조선 시대의 지배 계층을 뜻함.
-
• 사직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을 합쳐 부르는 용어.
-
• 사찰령
1911년 일제가 한국 불교를 통제 관리하기 위해 제정된 법령.
-
• 사창
조선 시대 향촌에서 봄이나 흉년이 든 해에 곡식을 대여해 주던 기관.
-
• 사천 매향비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昆陽面) 흥사리(興士里)에 있는 고려 말기의 매향비.
-
• 사초
공식적인 역사 편찬의 자료가 되는 원고.
-
• 사택지적비
백제 말의 고위 귀족인 사택지적(沙宅智積)이 만든 비(碑).
-
• 사학 12도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에 있었던 12개의 사립 교육 기관.
-
• 사회 경제 사학
1930년대 이후 일제 식민 사학에 대항하여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1818~1883)의 사적 유물론을 주된 방법론으로 하여 한국사를 체계화한 역사학.
-
• 산미 증식 계획
일제가 쌀을 조선에서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일본으로 공급하기 위해 1920년부터 실시한 농업 정책.
-
• 삼강오륜
유교 교리에서 강조하는 인간관계와 인간의 역할⋅윤리에 대한 3개의 주요 강령과 5개의 도덕적 항목.
-
• 삼국 간섭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랴오둥 반도(遼東半島)를 차지하자 러시아, 프랑스, 독일이 반대하여 청에 반환하게 한 사건.
-
• 삼국사기
김부식(金富軾) 등이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의 명을 받아 1145년(인종 23) 편찬한 삼국 시기에 대한 역사책.
-
• 삼국유사
고려 후기의 고승 일연(一然, 1206~1289)이 불교적 입장에서 삼국 시대의 주요 사건과 일화를 편찬한 역사서.
-
• 삼군부
조선 초기 군사에 관련된 모든 업무를 담당하던 관서.
-
• 삼례 집회
1892년(고종 29) 11월에 동학교도들이 삼례에서 교조 최제우(崔濟愚, 1824~1864)의 죄명을 벗기고 종교의 자유를 얻기 위해서 개최한 집회.
-
• 삼별초
고려 무신 집권기에 설치된 특수 군대.
-
• 삼사
고려 시기에 전국의 조세 및 공물의 수입과 지출에 대해 회계 업무를 관장한 재정 기관.
-
• 삼수병
조선 후기 훈련도감(訓鍊都監)에 편제된 포수(砲手), 사수(射手), 살수(殺手)를 이르는 말.
-
• 삼원보
국권 상실 이후 신민회(新民會)가 주도하여 서간도에 세웠던 독립운동 기지.
-
• 삼전도
조선 시대 한강과 탄천이 합류하는 한강 상류 지역인 서울특별시 송파구 삼전동에 소재했던 나루터.
-
• 삼정의 문란
조선 후기에 나타난 전정(田政), 군정(軍政), 환정(還政)의 비정상적인 운영 형태.
-
• 삼정이정청
조선 후기 삼남(三南) 지방의 민란을 해소하기 위해 만든 임시 관서.
-
• 삼천리
1929년 6월 창간된 월간 대중 잡지.
-
• 상대등
신라의 최고 관직.
-
• 상무사
1899년부터 1904년까지 활동했던 전국적인 보부상 조직.
-
• 상민
양반이나 천인이 아닌 일반 백성을 지칭하는 용어.
-
• 상소
직무와 관련된 보고나 국정 현안에 대한 건의를 위해서 관료나 유생이 국왕에게 올린 문서 혹은 문서를 올리는 행위.
-
• 상수리
신라 시대에 중앙 정부가 지방 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수도인 경주(慶州)에 머물게 했던 지방 세력의 일원 혹은 그 자제(子弟).
-
• 상평창
고려 시기에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개경(開京)과 지방의 주요 고을에 설치했던 기관.
-
• 상평창
풍년에는 포(布)로 곡식을 사들이고, 흉년에는 곡식을 팔아 물가를 조절하여 빈민을 구제하던 기관.
-
• 상피제
일정한 범위의 친족 간에는 같은 관서 혹은 직속 관서의 관원이 되지 못하게 한 규정.
-
• 상하이 사변
1932년과 1937년 두 차례에 걸쳐 일본군이 상하이(上海)를 침공하여 일어난 중국과 일본 사이의 무력 충돌 사건.
-
• 생원과
조선 시대 때 생원을 선발하는 시험으로 진사과(進士科)와 함께 소과(小科)로 분류됨.
-
• 서경
고려 시기 평양(平壤)에 설치하였던 별경(別京).
-
• 서경권
조선 시대 국왕이 관리를 임명하거나 법령을 제정할 때, 대간(臺諫)의 동의를 구한 뒤 이들의 서명을 거쳐 시행하도록 규정했던 제도.
-
• 서기
박사(博士) 고흥(高興)이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 대에 편찬한 백제의 역사서.
-
• 서대문 형무소
일제의 통감부가 설치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이자 한국 민족운동가들을 구금하고 탄압하였던 민족의 고난과 투쟁의 장소.
-
• 서로 군정서
1919년 서간도 지역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와 연결되어 결성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
-
• 서북철도국
1900년 서울과 의주 간 철도 부설을 목적으로 설립된 궁내부(宮內府) 소속 관서.
-
• 서얼
처가 아닌 첩의 몸에서 태어난 양반의 후손.
-
• 서옥제
결혼을 하면 남자가 여자 집에 들어가 살다가, 아이를 낳아 장성한 뒤 남자 집으로 돌아와 사는 고구려의 혼인 풍습.
-
• 서우
1906년 12월 서우학회(西友學會)에서 발행한 학회지.
-
• 서우학회
1906년 10월 관서 지역 출신 지식인과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계몽 운동 단체.
-
• 서울 몽촌토성
서울특별시 송파구(松坡區) 방이동(芳荑洞)에 위치한 백제의 왕성(王城).
-
• 서울 진공 작전
1908년 1월 13도 의병연합군이 서울 탈환을 목표로 진행한 전투 작전.
-
•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특별시 강동구(江東區) 풍납동(風納洞)에 위치한 백제 전기의 왕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
• 서원
16세기 중엽 이후 강학과 선현들에 대한 제향(祭享)을 담당하던 사적 교육 기관.
-
• 서인
선조(宣祖, 재위 1567~1608) 대 심의겸(沈義謙, 1535~1587)을 지지하는 사람들로 형성되어 이후 이이, 성혼, 김장생의 문인들이 참여한 붕당.
-
• 서학
16세기 이후 조선에 전래된 서양의 과학 기술과 천주교.
-
• 선대제
상인이 자본을 기반으로 원료와 시설 등을 공급하고 해당 임금을 지불하여 생산하는 방식.
-
• 선무군관포
균역법(均役法) 시행으로 부족해진 세원을 보충하기 위해 부유한 양인들로 새로 구성된 군관(軍官)에게 거두던 포.
-
• 선조성
발해의 세 재상 관부 중 하나.
-
• 선혜청
대동법(大同法) 실시 이후 대동법의 시행을 관장하고 거둔 세액(稅額)을 관리하던 관청.
-
• 설점수세제
조선 후기 정부 주도로 설점(設店)하여 광물 채굴을 허가하고 세금을 거둔 제도.
-
• 설총
통일 신라 시대의 학자이자 문장가.
-
• 성균관
고려 후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
• 성균관
조선 시대 유학 교육을 위해 한양에 설립된 국립 고등 교육 기관.
-
• 성리학
중국의 송(宋)나라 때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유행했던 유학의 한 계통.
-
• 성진회
1926년 결성된 광주(光州]) 지역 중등 학교 최초의 비밀 학생 모임으로 1929년 광주 학생 운동 발발의 배경이 된 학생 조직.
-
• 성호사설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李瀷, 1681~1763)이 자신의 사상을 담아 저술한 책.
-
• 세도 정치
19세기 전반 왕권이 허구화되고 소수의 가문이 권력을 독점한 정치 형태.
-
• 세브란스 병원
1904년 9월 미국인 세브란스(Louis H. Severance)의 기증을 바탕으로 설립된 민간 병원.
-
• 세속 오계
신라의 원광 법사(圓光法師)가 가르친 5가지 계율.
-
• 세창 양행
1883년(고종 20) 독일 마이어상사가 인천에 설치한 무역 상사의 지점.
-
• 소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소격서
조선 시대에 도교(道敎)의 신선과 별자리에 제사 지내는 의식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
• 소도
삼한(三韓)의 여러 나라에서 천신(天神)에게 제사를 드리던 성스러운 장소.
-
• 소론
조선 후기 붕당 정치의 심화에 따라 서인(西人)에서 분파된 정파(政派).
-
• 소중화 의식
조선이 중화 문명(中華文明)에 비등한 수준의 문화를 가지고 있다거나 명(明)의 멸망 후 중화 문명을 계승했다는 인식 등을 표현한 용어.
-
• 소학독본
1895년(고종 32) 학부(學部)에서 편찬, 간행한 소학교용 교과서.
-
• 속대전
1746년(영조 22)에 편찬한 법전.
-
• 속오군
1594년(선조 27)에 양반과 양민, 천민으로 편성된 지방의 군사 조직.
-
• 속오례의
영조(英祖, 재위 1724~1776) 연간에 편찬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의 속편.
-
• 속현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지방 행정 구역.
-
• 송상
개성(開城)을 거점으로 국제 교역과 국내 상업을 통해 자본을 축적한 상인 집단.
-
• 송자대전
조선 후기 학자이자 문신인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문집.
-
• 송죽회
1913년 평양 숭의여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조직된 항일 비밀 결사.
-
• 수군
수상(水上)에서 전투를 담당한 군대.
-
• 수군절도사
조선 시대 각 도의 수군(水軍)을 총괄하던 최고 지휘관으로 정3품 당상관(堂上官)이 담당했던 서반(西班) 관직.
-
• 수렴청정
왕실을 대표하는 여성이 어린 국왕 대신 일정 기간 동안 국정을 처리하던 정치 행위.
-
• 수선사
보조 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신앙 결사 운동이자 그 본산이 되었던 사찰의 명칭.
-
• 수시력
1270년에 원(元)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郭守敬, 1231~1316)이 만든 역법(曆法).
-
• 수신사
조일 수호 조규(朝日修好條規) 체결 직후 조선 정부가 1876년부터 1882년까지 일본에 파견한 외교 사절.
-
• 수신사일기
조일 수호 조규(朝日修好條規) 체결 이후 일본에 파견된 수신사 김기수(金綺秀, 1832~?)와 김홍집(金弘集, 1842~1896)의 일기.
-
• 수신전
조선 시대 과전(科田)을 지급받은 관리가 사망할 경우, 그 관리의 아내에게 지급하던 토지.
-
• 수어청
조선 후기 5군영 중 하나로 남한산성을 중심으로 수도를 방위하던 부대.
-
• 수조권
토지에 대한 세금인 조(租)를 거둘 수 있는 권리.
-
• 수풍댐
1944년 조선 총독부와 만주국 정부가 공동으로 압록강에 건설한 대형 댐.
-
• 수형조합
1905년부터 1913년까지 어음 할인, 대출 등을 실시했던 상업 금융 기구.
-
• 승과
고려 시기에 승려를 선발하기 위해 실시했던 과거 시험.
-
• 승정원
조선 시대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동시에 국왕을 보좌하는 비서 역할을 담당했던 관서.
-
• 승직
고려 시기에 국가가 불교 교단 및 사찰, 승려 등 불교와 관련된 문제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불교 관청에 임명된 관직.
-
• 시무 28조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 최승로(崔承老, 927~989)가 건의한 28개 조항의 정치 개혁안.
-
• 시비법
토양이나 작물에 인위적으로 비료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방법.
-
• 시사
시(詩)를 짓고 즐기기 위한 모임.
-
• 시안 사건
1936년 동북군벌 장쉐량(張學良, 1898~2001)과 양후청(楊虎城, 1893~1949)이 항일 항전을 주장하며 중국 국민당 지도자 장제스(蔣介石, 1887~1975)를 구금한 사건.
-
• 시파
조선 정조(正祖, 재위 1776~1800) 때 영조(英祖, 재위 1724~1776)의 정치적 처분에 대한 견해 차이로 나누어진 정파(政派)로 정조의 탕평 의리를 따르는 무리.
-
• 시헌력
중국에 온 유럽의 예수회 선교사 주도로 만들어진 서양식 역법(曆法).
-
• 신공
노비가 직접 노동력을 제공하는 대신 매년 소속 관서 혹은 주인에게 바치는 일정한 액수의 공물(貢物).
-
• 신라 촌락 문서
통일 신라 시대 서원경(西原京)지금의 충청북도 청주시(靑州市) 부근 4개 촌의 경제 상황을 기록한 문서.
-
• 신량역천
신분은 양인이지만, 천한 직역(職役)에 종사하는 계층을 일컫는 말.
-
• 신문지법
1907년 일제 통감부가 언론을 통제하기 위해 제정한 언론 통제법.
-
• 신민부
1925년 북만주 지역의 항일 무장 단체들이 통합하여 결성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이자 한인 자치 기관.
-
• 신사 참배
일본의 국가 종교인 신도(神道)의 신사(神社)를 찾아 참배하는 행위.
-
• 신생활사 필화 사건
1922년 사회주의 계열의 잡지 『신생활』에 대한 일제의 언론 탄압 사건.
-
• 신식 화폐 발행 장정
1894년(고종 31) 제정된 은화를 본위 화폐로 하는 화폐 발행에 관한 법률.
-
• 신여성
일제 강점기 개벽사가 발행한 대표적 여성 잡지.
-
• 신여성
전통적인 구(舊)여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여성을 억압하는 봉건적이고 가부장적인 인습이나 제도에 반기를 든 새로운 여성을 지칭하는 표현.
-
• 신집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재위 590~618)이 600년(고구려 영양왕 11년) 태학박사(太學博士) 이문진(李文眞)에게 명하여 편찬케 한 역사서.
-
• 신한 청년당
1918년 11월 중국 상하이에서 창립된 한인 청년들의 항일 민족운동 단체.
-
• 신한민보
1909년 샌프란시스코에서 발행된 미주 한인의 자치 기관이자 독립운동 단체인 국민회의 기관지.
-
• 신한촌
한인(韓人) 이주민들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건설한 한인 촌락이자 해외 독립운동의 기반.
-
• 신해통공
1791년(정조 15) 도성 안에서 허용된 시전(市廛) 상인의 특권을 비시전 상인들에게 확대한 조치.
-
• 신해혁명
1911년 청 왕조의 타도와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목표로 중국에서 일어난 혁명 운동.
-
• 신흥 무관 학교
1911년 만주 유하현(柳河縣)에서 조직되어 1920년까지 운영된 항일독립군 양성 기관.
-
• 실증주의 사학
사료에 대한 주관적인 해석을 철저히 배제하고 치밀한 문헌 고증을 통해 한국사를 복원하는 데 주력한 역사학.
-
• 심전 개발 운동
1930년대 중⋅후반 농촌 진흥 운동과 병행하여 한국인의 사상 통제를 통해 식민 지배 체제의 안정을 도모한 정신 교화 운동.
-
• 쌍성총관부
고려 후기 몽골에서 고려의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 지역의 옛 지명 일대를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관부.
-
• 쌍화점
고려 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1308) 대에 지어진 고려 가요, 혹은 향악곡.
-
• 아나키즘
어떠한 강권이나 지배에 반대하고 민중의 행동에 의한 사회 혁명을 통해 개인의 절대 자유가 보장되는 평등 사회를 지향하는 사상.
-
• 아악
궁중 제례에 사용된 중국 전래 음악.
-
• 안동 도호부
고구려 멸망 후에 당(唐)이 옛 고구려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행정 기구.
-
• 안찰사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 이남의 지방 행정 구역인 5도에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
-
• 암행어사
조선 시대 지방관의 비리를 감찰하기 위해 왕이 파견한 관리.
-
• 압록강 철교
1911년 11월 중국의 단둥(丹東)과 한국의 평안북도 신의주 사이에 개통된 개폐식 철교.
-
• 애국반
일제 말기에 조직된 국민 정신 총동원 조선 연맹(國民精神總動員朝鮮聯盟), 국민 총력 조선 연맹(國民總力朝鮮聯盟)의 말단 조직.
-
• 애국부인전
1907년 장지연(張志淵, 1864~1921)이 번안하여 광학서포(廣學書鋪)에서 발간한 전기 소설.
-
• 양계
고려 시기 변경 지역에 설치된 광역 행정 구역인 동계(東界)와 북계(北界)를 합쳐 부르는 말.
-
• 양명학
명나라의 왕수인(王守仁, 1472~1529)이 제창한 신유학(新儒學)의 한 갈래.
-
• 양반
조선 시대 지배 신분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
-
• 양수척
후삼국 시기부터 고려 시기까지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
-
• 양인
천인(賤人)이 아니면서 국역(國役)을 담당하는 일반 백성을 일컫는 용어.
-
• 양전 사업
조선 시대 부세(賦稅) 부과를 위해 농지의 실제 크기와 경작자 등을 파악하던 일체의 과정.
-
• 양정 의숙
1905년 4월 엄주익(嚴柱益, 1872~1931)이 설립한 근대적인 사립 전문 학교.
-
• 양지아문
1898년(고종 35) 설립되어 전국의 토지를 조사했던 기구.
-
• 양현고
고려 시기에 관학(官學) 진흥을 위해 설치한 장학 재단.
-
• 어린이
1923년 3월 경성에서 창간된 월간 아동 잡지.
-
• 어사대
고려 시기에 정치의 잘잘못을 비판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리들의 부정을 감찰하고 탄핵하는 일을 담당하던 감찰 기구.
-
• 어업령
1911년 6월 일제가 조선 어업에 대한 식민지 수탈과 개발을 본격화하기 위해 제정한 수산(水産) 관련 기본법.
-
• 어영청
서울의 수비와 경비를 맡은 군영(軍營).
-
• 여각
조선 후기 포구에 위치하여 지방에서 배로 올라오는 상인의 화물을 위탁, 판매하거나 여관을 제공하던 상업 기관.
-
• 여유당전서
조선 후기 실학자인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의 시문집.
-
• 여전론
조선 후기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주장한 전제 개혁론.
-
• 여진
만주(滿洲)의 동쪽 지역과 해안 지방에 부족 단위로 모여 살던 퉁구스 계통의 민족.
-
• 역
원(院)과 함께 도로에 설치되어 교통과 통신의 기능을 담당했던 시설.
-
• 역관
조선 시대 외교에서 통역과 번역 등 역학(譯學)에 관련된 전반적 업무를 수행하던 관리.
-
• 역법
천체의 운행 규칙을 계산하여 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방법.
-
• 역사집략
1905년 김택영(金澤榮, 1850~1927)이 편찬한 역사서.
-
• 역성혁명
몹시 부도덕한 왕조나 국왕의 합당한 자격을 갖추고 있지 못한 자는 천명(天命)에 의거하여 축출되고 합당한 자격을 갖춘 자에 의해 새로운 왕조가 개창된다는 개념.
-
• 연등회
고려 시기에 국가적 행사로 시행된 불교 의례.
-
• 연려실기술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李肯翊, 1736~1806)이 지은 역사서.
-
• 연무 공원
1888년(고종 25)에 설치한 서구식 군인 교육 기관.
-
• 연분9등법
조선 시대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대에 조세를 거두기 위해 한 해의 농형(農形)을 9등분으로 나눈 법.
-
• 연희 전문학교
1915년에 설립된 기독교 계열의 사립 전문학교로서 연세대학교의 전신.
-
• 열녀
목숨을 바쳐 정조를 지키거나 오랜 세월 재가(再嫁)하지 않고 수절한 부녀자.
-
• 열하일기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이 청나라에 다녀온 후 기록한 중국 기행문.
-
• 영남학파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을 스승으로 삼은 학파.
-
• 영사 재판권
피고가 외국인인 경우 그 외국인 국가의 영사(領事)나 관리가 재판할 수 있는 특권.
-
• 영선사
1895년(고종 32) 왕실의 토목 공사를 관장하기 위해서 설치한 관서.
-
• 영업전
조선 후기 이익(李瀷, 1681~1763)이 제시한 토지 개혁안에서 호(戶) 당 지급한 토지.
-
• 영일 동맹
1902년과 1905년 두 번에 걸쳐 영국과 일본 사이에 체결된 동맹 조약.
-
• 영정법
1635년(인조 13)에 시행된 전세(田稅) 징수법.
-
• 영학당
1898년 12월과 1899년 5월에 전라도에서 농민 봉기를 주도한 조직.
-
• 영환지략
1848년(헌종 14) 중국인 서계여(徐繼畬, 1795~1873)가 출간한 세계 지리에 관한 책.
-
• 예송
효종(孝宗, 재위 1649~1659)과 효종 비 인선왕후(仁宣王后)의 죽음에 따른 인조(仁祖, 재위 1623~1649)의 계비인 장렬왕후(莊烈王后)의 복상(服喪) 기간을 둘러싼 서인과 남인의 2차에 걸친 논쟁.
-
• 오가작통법
5가구를 1통으로 편성, 통내 가호에 연대 책임을 부과하여 거주지 이탈, 절도 등을 방지하고 아울러 세금 수취의 편의를 꾀한 행정 제도.
-
• 오녀산성
중국 랴오닝 성[遼寧省] 환런 현[桓仁縣] 오녀산(五女山)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
• 오산 학교
1907년 12월 민족 교육을 위해 남강(南崗) 이승훈(李昇薰, 1864~1930)이 평양북도 정주에 설립한 민족 학교.
-
• 옥계시사
1786년(정조 10) 천수경(千壽慶)을 중심으로 인왕산 부근에서 펼쳐졌던 시회(詩會).
-
• 왕도 정치
군주가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태도로 정치를 운영해 이상적 사회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하는 유교의 대표적 정치사상.
-
• 왕사
고려 시기에 임금의 스승으로 임명된 승려.
-
• 왜관
조선이 일본의 여러 세력들과 무역 문제 등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했던 곳으로 숙박과 접대의 기능도 함께 담당함.
-
• 왜구
고려, 조선과 중국 등지의 해안 지역을 약탈하던 일본인 해적 집단.
-
• 왜양일체론
위정척사(衛正斥邪) 세력이 일본도 서양과 다를 바 없다는 주장을 내세우면서 조일 수호 조규 체결을 반대한 논리.
-
• 외관직
조선 시대 지방에 설치된 관직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
• 외사정
지방관을 감찰하는 직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직.
-
• 외위
신라에서 지방인에게 수여한 관등(官等).
-
• 요역
중앙 정부 및 지방 관아에서 민가의 노동력을 필요에 따라 징발하는 제도.
-
• 용암포 사건
1903년 평안북도 용암포(龍巖浦)에서 러시아와 일본이 대립한 사건.
-
• 우경
소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형태.
-
• 우금치 전투
1894년 11월 충청도 공주의 우금치에서 동학 농민군이 일본군 및 관군과 치른 전투.
-
• 우두신설
1885년(고종 22) 지석영(池錫永, 1855~1935)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종두서.
-
• 우서
조선 후기 유수원(柳壽垣, 1694~1755)의 저술로 사회 개혁안에 대해 문답 형식으로 기술한 책.
-
• 워싱턴 회의
1921년 11월부터 1922년 2월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국제회의.
-
• 원납전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1898)이 경복궁(景福宮) 중건을 위해 거둔 기부금.
-
• 원산 총파업
1929년 1월부터 4월까지 원산(元山)에서 2천여 명의 노동자가 전개한 일제 강점하 최대의 총파업.
-
• 원찰
소원 성취를 기원하거나 사망한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목적으로 왕실에서 건립한 사찰.
-
• 월남망국사
1906년 현채(玄采, 1856~1925)가 번역하여 출간한 역사서.
-
• 위정척사 사상
외세에 대항하여 성리학적 가치를 지키자는 운동.
-
• 위항 문학
조선 후기 서울 지역의 중인 이하 계층이 이끌어간 한문학 활동.
-
• 위화도 회군
요동 정벌 지휘관이었던 이성계(李成桂, 1335~1408)가 위화도에서 회군해 우왕(禑王, 재위 1374~1388)과 최영(崔瑩, 1316~1388) 등을 제압하고 권력을 장악했던 사건.
-
• 위화부
관리의 인사 업무를 담당했던 신라의 관부(官府).
-
• 유기
고구려의 역사서.
-
• 유년필독
1907년 5월 현채(玄采, 1886∼1925)가 저술한 소학교 학생용 교과서.
-
• 유상
평양(平壤)을 거점으로 활동한 상인 집단.
-
• 유수부
조선 시대에 국가의 행정⋅군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옛 수도 등 중요한 지역에 설치했던 행정 구역이자 행정 기구.
-
• 유향소
조선 초기 지방 수령의 통치를 돕거나 향리를 감찰하고 풍속을 바로잡기 위해 지방품관(地方品官)들이 만들었던 조직.
-
• 육의전
조선 후기 서울에서 국역(國役)을 부담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여섯 종류의 시전.
-
• 육전조례
조선 후기 6조(六曹)의 행정과 사무에 대해 규정한 조례(條例)를 모은 책.
-
• 율령
동아시아 국가들의 법과 제도, 혹은 법전의 명칭.
-
• 은결
조선 시대 토지 대장에서 누락된 토지.
-
• 은점
조선 시대 은을 채굴하여 제련하던 광산.
-
• 을묘왜변
1555년(명종 10) 왜구가 전라남도 이진포(梨津浦)와 달량포(達梁浦)를 침입해서 주변 해안지역을 약탈했던 사건.
-
• 을미개혁
1895년부터 1896년 초까지 조선 정부가 시행한 개혁의 총칭.
-
• 을사 5적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고 통감부를 설치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을사늑약 체결에 동의한 다섯 명의 내각 대신.
-
• 을사사화
조선의 4대 사화(士禍) 중 하나로 1545년(명종 즉위년) 명종(明宗, 재위 1545~1567)이 즉위하면서 모후인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와 외척들이 권력을 장악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
-
• 을사의병
1905년 을사늑약 체결 등 일본의 국권 침탈에 대항하기 위해 봉기한 항일 의병.
-
• 을지문덕전
1908년 5월 신채호(申采浩, 1880~1936)가 저술한 역사 전기 소설.
-
• 음서 제도
고려 시대에 5품 이상의 관직 생활을 했거나 국가에 공훈을 세운 인물의 후예, 혹은 왕족의 후예를 과거(科擧)를 거치지 않고 관리로 임용하는 제도.
-
• 의병
국가에 외적 등이 침입했을 때 나라를 지키기 위해 백성들 스스로가 조직해서 결성했던 민간군.
-
• 의정부
국왕과 함께 국정 현안을 심의하던 조선 시대 최고 행정 기관.
-
• 의정부 서사제
6조에서 국정 현안을 의정부에 보고하면, 의정부에서 검토를 거쳐 국왕에게 보고하여 정책을 결정하던 행정 체계.
-
• 의창
흉년에 농민들에게 양식을 대여하던 기관.
-
• 이규보
1168~1241,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관료.
-
• 이모작
한 해에 같은 경작지에서 생육 시기가 다른 두 종류의 작물을 교대로 심어 재배하는 농법.
-
• 이사금
신라 초기에 사용되었던 왕호.
-
• 이순신전
1908년 신채호(申采浩, 1880~1936)가 저술한 역사 전기 소설.
-
• 이승휴
1224~1300, 고려 후기의 문신.
-
• 이앙법
벼농사에서 모를 별도로 재배하고 본 논에 옮겨 심는 방법.
-
• 이운사
1893년(고종 30) 1월 전운국(轉運局)이 설립한 해운 회사.
-
• 이인로
1152~1220, 고려 후기의 문신.
-
• 이조 전랑
인사를 담당하고 있던 이조(吏曹)의 정5, 6품 실무 관료.
-
• 이태리건국삼걸전
1907년 신채호(申采浩, 1880~1936)가 역술한 전기류 역사 소설.
-
• 이화 양행
1832년 영국인 윌리엄 자딘(William Jardine)이 제임스 매티슨(James Matheson)과 함께 광둥성(廣東省) 광저우(廣州)에 설립한 무역 회사.
-
• 인내천 사상
사람이 곧 하늘이며 만물이 모두 하늘이라고 보는 천도교의 중심 교리.
-
• 일선 동조론
일제의 한국 지배를 정당화⋅합리화하고 한국인의 저항을 무마시키려는 의도로 주장된 식민 사관의 일종.
-
• 일성록
1760년(영조 36)부터 1910년(융희 4)까지 국왕의 동정을 중심으로 국정 운영에 관해 매일 기록한 일기.
-
• 임노동자
노동력을 제공하는 대가로 임금을 받아 살아가는 근로자.
-
• 임술 농민 봉기
1862년(철종 13) 삼남 지방을 중심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
-
• 임야 조사 사업
1918년부터 1935년까지 일제가 식민지 조선의 임야에 대한 소유권을 법적으로 확정하여 수탈을 원활히 하기 위해 진행한 사업.
-
• 임원경제지
조선 후기 서유구(徐有榘, 1764~1845)가 지은 농업에 관련된 내용을 망라한 백과사전식 저서.
-
• 자경단
1923년 관동대지진 당시 한인 학살을 주도한 일본인 민간단체.
-
• 자유시 참변
1921년 6월 러시아 자유시에서 일어난 무장 충돌 사건으로 한국 독립군 약화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
-
• 자치론
일제 지배 아래에서 식민지 조선에 독자적 의회를 설치하고 일정 부분 내정의 자치권을 부여하자는 주장.
-
• 잡과
고려 시기에 전문 분야를 담당하는 기술관을 선발하던 과거 시험의 한 분과.
-
• 잡색군
조선 시대 국가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동원하기 위해 정식 군역(軍役) 대상자 외에 편제해 두었던 예비 병력.
-
• 장용영
1793년(정조 17)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세웠던 친위 군영.
-
• 재미한족연합위원회
1941년 결성된 미주 한인 단체들의 대표적인 연합 단체이자 항일 독립운동 단체.
-
• 재인
고려와 조선 시기에 신분은 양인이나 천한 일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
-
• 재조일본인
1876년 개항부터 1945년 일제가 패전할 때까지 한반도에 거주한 일본인.
-
• 재중국 조선 무정부주의자 연맹
1924년 중국 베이징에서 한국인 아나키스트(무정부주의자)들이 모여서 조직한 단체.
-
• 저화
조선 시대 국가에서 발행하였던 지폐.
-
• 전로한족회중앙총회
1917년 5월 러시아 니콜스크-우수리스크(Nikolsk-Ussurysk) 시에서 결성된 러시아 거주 한인들의 대표적 자치 단체이자 항일 독립운동 단체.
-
• 전민변정도감
고려 후기 권세가들이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판정하여 원래 주인과 신분으로 돌려주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
• 전세
토지의 품질을 고려하여 토지 생산물을 거두는 조세.
-
• 전시과
고려 시대 국가에서 문무 관료와 직역을 부여받은 계층에게 토지의 조세를 받을 수 있는 수조권(收租權)을 분급한 토지 제도.
-
• 전주 화약
1894년 5월에 전주성을 점령한 동학 농민군과 조선 정부가 맺은 화약(和約).
-
• 전환국
1883년부터 1904년까지 화폐 주조를 담당했던 기구.
-
• 전황
국가에서 발행한 명목 화폐의 부족 현상을 이름.
-
• 절영도
부산광역시 영도구 지역을 이루고 있는 섬.
-
• 정당성
발해의 세 재상 관부 중 하나.
-
• 정동구락부
1895년경 서울 정동(貞洞)에서 개화파 정치인들과 서구 외교관들이 사교와 친목 도모를 내세우며 만든 모임.
-
• 정무총감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을 보좌하며 총독부 업무를 총괄하던 직책.
-
• 정미의병
1907년 한일 신협약 체결 이후부터 1910년까지 벌어진 무장 항일 구국 투쟁.
-
• 정방
고려 무신 집권기 최우(崔瑀, ?~1249) 대부터 고려 말까지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기구.
-
• 정사암 회의
재상의 선출 등 국가의 주요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하던 백제의 귀족 회의.
-
• 정신 여학교
1887년(고종 24) 서울에 설립된 기독교계 사립 여성 교육 기관.
-
• 정의부
1924년 만주 독립운동 단체들의 통합 운동을 통해 결성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이자, 서간도 한인 자치 기관.
-
• 정전
통일 신라 시대에 국가가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거나 소유권을 인정해 준 농지.
-
• 정전법
정(井)자 형태로 토지를 구획한 고대 중국의 토지 제도.
-
• 정한론
1870년(고종 7)을 전후로 일본에서 제기된 조선정벌론.
-
• 정혜쌍수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수행 방법.
-
• 제1차 한일 협약
1904년 8월 일제가 대한제국 정부에 외국인 고문을 고용하도록 강제하는 내용의 조약.
-
• 제가 회의
부여 및 고구려 초기에 국정을 논의하고 결정했던 귀족 회의.
-
• 제국신문
1898년(고종 35) 창간된 순한글 일간 신문.
-
• 제망매가
신라 경덕왕(景德王, 재위 742~765) 때 승려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10구체 향가(鄕歌).
-
• 제술과
고려 시기 과거 시험에서 주로 문장 짓는 능력과 시무책(時務策) 등을 시험 보던 분과.
-
• 제승방략
전쟁 혹은 변란이 일어났을 때 각 지역의 수령이 소속 군사를 이끌고 거점 지역으로 이동하여 중앙에서 파견된 장수의 지휘를 받는 군사 전략.
-
• 제실재산정리국
1907년 11월부터 1908년 7월까지 황실 재산 정리를 담당하던 궁내부 산하 기구.
-
• 제왕운기
1287년(충렬왕 13)에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지은 장편 서사시.
-
• 제위보
고려 시기에 백성의 구호와 질병 치료를 맡은 기관.
-
• 제일은행
1878년(고종 15) 조선에 진출하여 1909년까지 영업한 일본의 상업 은행.
-
• 제일은행권
일본 제일은행이 발행한 화폐로 1905년부터 1909년까지 대한제국의 법화로 기능한 통화.
-
• 제폭구민
동학 농민군의 구호로 폭정을 없애고 백성을 구한다는 뜻.
-
• 조공
전근대 동아시아의 중국 중심 국제 관계 속에서 주변국들이 사신(使臣)을 파견해 예물 등을 진상하던 행위.
-
• 조광
1935년 11월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에서 창간한 월간 종합 잡지.
-
• 조러 밀약
1885년(고종 22)과 1886년(고종 23) 두 차례에 걸쳐 조선과 러시아 사이에 전개된 비밀 협상.
-
• 조러 수호 통상 조약
1884년(고종 21) 조선과 러시아 사이에 체결된 조약.
-
• 조러 육로 통상 장정
1888년(고종 25) 조선과 러시아가 체결한 육로 무역에 관한 장정.
-
• 조부
조세 관련 업무를 관장한 신라의 관부(官府).
-
• 조사 시찰단
1881년(고종 18) 4월 일본에 파견된 문물 시찰단.
-
• 조선 광문회
1910년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의 주도로 설립된 고전 간행 및 사전 편찬 모임.
-
• 조선 광업령
1915년 일제가 한국 광산에 대한 일본 자본의 독점적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제정한 법령.
-
• 조선 노동 공제회
1920년 설립된 최초의 전국적 노동 단체.
-
• 조선 노동 총동맹
1927년 노동 운동의 전국적 연합체로서 결성된 노동 운동 단체.
-
• 조선 농민 총동맹
1927년 농민 운동의 전국적 지도 기관으로 조직된 단체.
-
• 조선 독립 동맹
1942년 중국 화베이(華北) 지역의 조선인 사회주의자들을 중심으로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한 항일 독립운동 단체이자 해방 직후 북한에서 결성된 조선 신민당의 모체가 되는 정치 단체.
-
• 조선 물산 공진회
1915년 일제가 한국 강점 5주년을 맞아 지배의 정당성을 보여 주기 위해 개최한 행사.
-
• 조선 민사령
1912년 공포된 일제 강점하 한국인의 민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한 기본 법령.
-
• 조선 민족 혁명당
1930년대 중반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진보적 성격의 독립운동 정당이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야당의 역할을 담당했던 정당.
-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1941년 일제에 의해 제정된 법률로 사상범의 자의적인 구금을 가능하게 하는 내용을 담은 법률.
-
• 조선 식량 관리령
1943년 일제가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한 곡물 공출을 강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률.
-
• 조선 식산 은행
1918년 10월 일제가 식민지 조선의 개발⋅수탈에 필요한 자금을 동원하고 배분하기 위해 설립한 특수 은행.
-
• 조선 의용군
1942년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華北支隊)를 개편한 조선 독립 동맹의 항일 독립군.
-
• 조선 질소 비료 주식회사
1927년 일본의 신흥 재벌 일본 질소 비료 주식회사가 함경남도 흥남에 설립한 비료 회사.
-
• 조선 체육회
1920년 7월 전 조선 체육 단체의 통일적 기관을 목표로 설립된 단체.
-
• 조선 총독
일제 강점기 조선 총독부를 관장하고 조선의 제반 행정을 관할한 직책.
-
• 조선 태형령
1910년대 무단 통치 상징 중의 하나로 공식적인 형벌 제도 안에서 한국인에게 태형(笞刑)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법률.
-
• 조선 학생 과학 연구회
1925년 11월에 결성되어 1920년대 후반 서울 지역 학생 운동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던 사회주의 계열의 학생 운동 단체.
-
• 조선 혁명군
1929년 만주 지역에 설립된 조선 혁명당의 군사 조직.
-
• 조선 혁명당
1929년 만주에서 자치 기관인 국민부와 무장 단체인 조선 혁명군을 지도하며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던 독립운동 단체.
-
• 조선 형평사
1923년부터 1935년까지 백정(白丁)의 사회적 신분 해방을 목적으로 활동한 전국적 운동 단체.
-
• 조선 회사령
1910년 12월 조선 총독부가 한국의 민족 자본과 공업 발전을 억제하기 위해 제정한 법령.
-
• 조선경국전
1394년(태조 3) 판삼사사(判三司事)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이 조선의 국정 운영을 위해 직접 편찬해서 태조(太祖, 재위 1392~1398)에게 바친 책.
-
• 조선사 편수회
조선 총독부가 식민 지배의 합리화를 위한 한국사상(韓國史像)을 구축하기 위해 1925년 설치한 한국사 연구 기관.
-
• 조선어 학회
1931년 조선의 말과 글의 연구 정리 및 통일을 목적으로 설립된 민간 학술 단체.
-
• 조선학 운동
1930년대 일제의 식민 사관과 식민 지배 이데올로기에 대항하여, 서구 문명을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경향과 민족을 경시하는 일부 공산주의 사상 경향을 비판하면서 한국 역사와 문화의 독자성과 주체성을 탐구하고 근대 민족 국가 수립의 가능성을 실학에서 찾으려고 했던 운동.
-
• 조영 수호 통상 조약
1883년(고종 20) 조선과 영국 사이에 체결된 통상 조약.
-
• 조운
각 지방에서 현물(現物)로 거둔 세금을 한양으로 운반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마련한 수상 운송 제도.
-
• 조의제문
무오사화의 발단이 된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의 글로, 항우의 손에 죽은 초나라 회왕(懷王)을 조문하는 내용.
-
• 조일 잠정 합동 조관
1894년 8월 청일 전쟁 중에 조선과 일본이 체결한 조약.
-
• 조일 통상 장정
1883년(고종 20) 7월 27일 조선이 일본과 체결한 통상 장정(협정).
-
• 족보
같은 성씨(姓氏)의 씨족 구성원을 도표화하여 기록한 계보.
-
• 종로직조사
1900년 5월 서울 종로에 세워진 면포 생산 회사.
-
• 종묘
조선의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사당.
-
• 종법
적장자(嫡長子)로 제사 및 가계를 계승하는 친족 제도의 원리.
-
• 좌평
백제의 제1관등이자 최고위 관직.
-
• 주자가례
중국 남송 시대 주희(朱熹, 1130~1200)의 저서로 사대부 집안의 예법과 의례에 관한 책.
-
• 주현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된 지방 행정 구역.
-
• 주화론
전란 중에 현실적 피해를 줄이기 위해 적국과 화친을 해야 한다는 주장.
-
• 중대성
발해(渤海)의 세 재상 관부인 3성 중 하나.
-
• 중방
고려 시기 중앙군인 2군 6위 지휘관들의 회의 기구.
-
• 중시
신라 집사부(執事部)의 장관직.
-
• 중인
서얼, 양반(兩班)과 일반 양인(良人) 사이의 중간 신분 계층을 총칭하는 용어.
-
• 중정대
관리의 비리 감찰 업무를 수행하던 발해의 관부.
-
• 중추원
고려 시기에 왕명을 출납하고 군사 기무를 관장하며 임금의 숙위(宿衛) 등을 담당한 관부.
-
• 중추원
1910년 설립된 친일 협력자로 구성된 조선 총독의 자문 기관.
-
• 지공거
고려 시기에 과거(科擧)를 관장한 최고 시험관.
-
• 지봉유설
1614년(광해군 6) 실학의 선구자로 불리는 이수광(李睟光, 1563~1628)이 지은 백과사전식 서적.
-
• 지원병 제도
일제가 침략 전쟁 수행을 위해 「육군 특별 지원병령」과 「해군 특별 지원병령」 등을 공포하여 한국인을 전쟁에 반강제적으로 동원한 제도.
-
• 직역
국가가 각 백성들에게 특정한 직(職)을 역(役)으로서 부과한 것
-
• 직전법
현직 관료들에게만 토지 수조권(收租權)을 지급하던 제도.
-
• 진경 산수화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우리나라 산천(山川)을 소재로 한 산수화의 화풍.
-
• 진관 체제
조선 전기에 시행되었던 지방 군사 방어 체제.
-
• 진단학회
1934년 5월 조선의 역사와 언어, 문학 등 국학 연구를 위해 설립한 학술 단체.
-
• 진대법
빈민 구호를 목적으로 한 고구려의 곡물 대여 제도.
-
• 진명부인회
1907년 4월 여성 교육을 위해 설립된 여성 단체.
-
• 진사과
조선 시대 때 진사(進士)를 선발하는 시험으로 생원과(生員科)와 함께 소과(小科)로 분류됨.
-
• 진위대
1895년(고종 32) 9월 지방의 질서 유지와 방위를 목적으로 설치된 근대적 지방 군대.
-
• 진주 농민 봉기
1862년(철종 13) 경상남도 진주에서 일어난 농민 항쟁.
-
• 진평왕
579년에서 632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26대 왕.
-
• 진휼청
조선 시대 흉년으로 굶주린 백성들에게 곡식을 나눠 주며 구제하는 일을 담당한 관서.
-
• 진흥왕
540년에서 576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24대 왕.
-
• 진흥왕 순수비
신라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이 개척한 영토를 직접 돌아다니면서 살펴보고 이를 기념하여 세운 석비(石碑).
-
• 집사부
기밀 사무(機密事務)를 관장하던 신라의 관부.
-
• 차관 정치
1907년 한일 신협약 체결 후 일본인이 대한제국 내각의 차관에 임명되어, 정부를 장악하고 일제의 침략 의도대로 집행한 정치.
-
• 차차웅
신라 제2대 왕인 남해 차차웅(南海次次雄, 재위 4~24)이 사용한 왕호.
-
• 찬양회
1898년(고종 35) 9월 서울에서 설립된 최초의 여성 단체.
-
• 참의부
1924년 남만주에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직할대로 설립된 무장 독립운동 단체이자 한인 자치 기관.
-
• 창의견문록
한말 의병장들의 격문, 서신, 포고문 등 의병 관련 문서를 수집하여 정리한 책.
-
• 책화
다른 읍락(邑落)을 무단으로 침범했을 때, 사람과 소⋅말로 배상하는 동예(東濊)의 법속(法俗).
-
• 척화론
전란 중 명분과 의리를 수호하기 위해 적국과 적극적으로 전쟁을 벌여야 한다는 주장.
-
• 척화주전론
1860~70년대 조선의 역사적 사건들을 바탕으로 형성된 배외 의식(排外意識).
-
• 천리장성
고려 시대 북쪽 국경 지대에 쌓은 장성.
-
• 천마총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황남동(皇南洞)의 대릉원(大陵苑) 내에 위치한 신라의 왕릉급 고분(古墳).
-
• 천인
법제적으로 국가나 타인에게 예속된 사람 혹은 사회적으로 천한 역에 종사하는 사람을 통칭하는 용어.
-
• 철령위
고려 말기 명(明)에서 철령 이북의 고려 동북방 변경 지역을 직접 다스리기 위해 설치하려 했던 군사적 행정 관부.
-
• 첨의부
원(元) 간섭기에 고려의 행정 기능을 총괄한 최고 정무 기구.
-
• 청산별곡
고려 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
-
• 청프 전쟁
1884년(고종 21) 베트남을 둘러싸고 청국과 프랑스가 벌인 전쟁.
-
• 초계문신제
정조(正祖, 재위 1776~1800)가 37세 이하의 연소한 관리를 재교육하기 위해 규장각 내에 만든 제도.
-
• 촌주
신라의 말단 지방 행정 단위인 촌(村)의 행정 책임자.
-
• 총세무사
개항기에 해관(海關)과 관련된 모든 업무를 관장하던 총책임자.
-
• 총액제
조선 후기 지역별로 총액을 정해 수취하는 부세 제도.
-
• 총융청
조선 후기 서울과 경기도 일대를 방어하기 위해 설치했던 군영(軍營).
-
• 추사체
조선 후기의 문신(文臣)이자 학자, 서화가인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글씨체.
-
• 춘추관
나랏일을 기록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
-
• 취재
기술관이나 하급 행정 관리, 군인 등을 뽑는 시험 제도.
-
• 치도국
1906년 도로의 관리와 수리를 위해 설립된 임시 기구.
-
• 칙서
조서(詔書)와 함께 중국의 황제가 발급하던 가장 대표적인 외교 문서.
-
• 칙임관/주임관/판임관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일제 강점기까지 임용 형식에 따라 나눈 관리의 종류.
-
• 친명배금
반정(反正)을 통해 광해군(光海君, 재위 1608~1623)을 폐위하고 정권을 잡았던 인조(仁祖, 재위 1623~1649) 정권이 명(明)을 중시하고 후금(後金)을 멀리하겠다면서 내세웠던 외교 정책의 방향.
-
• 친목회 회보
1896년(고종 33) 2월 대조선인 일본 유학생 친목회에서 창간한 회보.
-
• 칠패
조선 후기 서소문(西小門) 밖에 형성된 시장.
-
• 카프
1925년 7월 결성된 사회주의 계열의 문화 예술 운동 단체.
-
• 코민테른
1919년 모스크바에서 결성된 국제공산주의 운동의 지도 단체.
-
• 타운센드 상회
1884년(고종 21) 5월 미국인 월터 타운센드(Walter D. Townsend, 1856∼1918)가 인천에 설립한 상회.
-
• 탁지부
1895년(고종 32) 재정 일원화 정책의 일환으로 설치된 중앙 재정 관청.
-
• 탕평책
조선 후기 영조⋅정조 시기 붕당 간의 갈등과 대립을 극복하고 공존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
-
• 태극서관
1908년 5월 신민회(新民會)의 산하 기관으로 유인물과 서적의 출판 및 공급을 위해 설립된 서점.
-
• 태서신사
1897년(고종 34) 학부(學部)에서 간행한 세계사 교과서.
-
• 태학
고구려의 국립 교육 기관.
-
• 톈진 조약
1885년(고종 22)_ 4월 18일, 청과 일본이 갑신정변 사후 처리를 위해 체결한 조약.
-
• 토관
효율적 지방 통제와 군사적 목적을 위해 일부 지방에 설치된 특수 관직.
-
• 토호
향촌에서 국가 권력과 대립되었던 토착화한 재지(在地) 세력.
-
• 통감
을사늑약의 결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대신하고 내정 장악을 위해 일제가 설치한 통감부의 대표.
-
• 통공 정책
조선 시대 시전(市廛) 상인의 독점적 물품 판매권인 금난전권(禁亂廛權)을 혁파하는 정책.
-
• 통리기무아문
1880년부터 1882년까지 조선 정부의 외교와 개화 정책을 담당하였던 신설 관청.
-
• 통상휘찬
1894년부터 1913년까지 외국 주재 일본 영사관의 정보 보고를 일본 외무성 통상국에서 정리하여 간행한 잡지.
-
• 통신사
조선이 일본에 공식적으로 파견했던 외교 사절.
-
• 통신원
1900년부터 1906년까지 대한제국의 통신과 우편, 수송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 관청.
-
• 파리 강화 회의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의 강화(講和)를 위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회의.
-
• 파발제
긴급한 소식이나 기밀문서 등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한 통신 제도.
-
• 파시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특히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나타난 대중 정치와 대중 동원에 기초하여 극단적인 민족주의를 주장하며,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독재 정치를 공공연히 주장하는 정치적 행동이자 체제.
-
• 파한집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시화(詩話)집.
-
• 팔관회
삼국 시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시기에 행해진 주요 국가 의례로, 하늘, 산천, 용신(龍神) 등에 대한 의례.
-
• 팔만대장경
13세기 전반에 새긴 대장경 목판 및 목판 인쇄물.
-
• 평양 자기 회사
1908년 평양에 설립된 자기 제조 회사.
-
• 폐정 개혁안
1894년(고종 31) 6월 동학 농민군이 정부와 화약(和約)을 체결하기 위한 조건으로 제시한 개혁안을 비롯해 동학 농민 운동 당시 농민군 측에서 제시한 여러 가지 개혁안.
-
• 포접제
동학에서 교도들을 관리하기 위해 만든 조직.
-
• 포츠머스 조약
1905년 9월 러시아와 일본이 러일 전쟁을 종결하기 위해 체결한 강화 조약.
-
• 학지광
1914년 4월 일본에서 창간된 재일본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의 기관지.
-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1920년 박은식(朴殷植, 1859~1925)이 1884∼1920년의 항일 투쟁을 기술한 역사서.
-
• 한국은행
1909년에 설립된 대한제국의 중앙은행.
-
•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33년 조선어 학회가 제정⋅공표한 정서법(正書法) 통일안.
-
• 한러은행
1898년(고종 35) 러시아가 한국에 설립한 은행.
-
• 한림별곡
고려 고종(高宗, 재위 1213∼1259) 대 한림(翰林)의 여러 학자들이 지은 가사.
-
• 한북 흥학회
1906년 10월 함경도 지역 지식인들이 창립한 계몽 운동 단체.
-
• 한성 법학교
1905년 1월 서울 중구에 설립된 사립 전문 학교.
-
• 한성 사범 학교
1895년(고종 32) 서울에 설립된 관립 교사 양성 기관.
-
• 한성 재판소
1895년부터 1907년까지 한성부의 민⋅형사 사건 재판을 담당했던 기구.
-
• 한성 전기 회사
대한제국기 미국의 기술을 도입해 설립된 최초의 전기 회사.
-
• 한성 창고 주식회사
1905년부터 1912년까지 화물 보관 및 담보 대출을 겸업한 회사.
-
• 한성부민회
1907년 한성부(漢城府)에서 조직된 친일 자치 운동 단체.
-
• 한성신보
1894년(고종 31) 일본인들이 서울에서 발행한 신문.
-
• 한성은행
1897년(고종 34)에 설립된 조선인 은행
-
• 한성전보총국
1885년(고종 22)부터 1894년까지 한반도 서쪽 지역 전선의 설치⋅운영을 담당하였던 기구.
-
• 한성주보
1886년(고종 23) 1월 창간된 최초의 주간 신문.
-
• 한인사회당
1918년 이동휘(李東輝, 1873~1935)를 중심으로 러시아 하바롭스크에서 결성된 한국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
-
• 한일 신협약
일제가 1907년 대한제국의 고종을 강제 폐위시키고, 군대 해산을 비롯하여 대한제국의 행정 및 법적 분야에서의 자율적 권한을 박탈한 강제 협약.
-
• 한전론
조선 후기 토지의 소유를 일정하게 제한하는 토지 개혁론.
-
• 합방 청원 운동
1909년 12월 일진회가 한국과 일본의 ‘합방’을 청원한 이후 친일 세력에 의해 전개된 운동.
-
• 해국도지
1842년(헌종 8) 청나라의 위원(魏源, 1794∼1856)이 지은 세계 지리서.
-
• 해동 천태종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1097년(숙종 2) 완공된 국청사(國淸寺)의 주지로 취임하여 개창한 종파.
-
• 해동고승전
고려시대 승려 각훈(覺訓, ?~?)이 편찬한 우리나라 고승(高僧)들의 전기.
-
• 해동역사
조선 후기 실학자 한치윤(韓致齋, 1765~1814)과 그의 조카 한진서(韓鎭書, 1777~?)가 편찬한 고조선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역사를 다룬 역사책.
-
• 해조신문
1908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행된 한인 신문.
-
• 해천추범
1896년 민영환(閔泳煥, 1861~1905)이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참석하고 돌아오는 과정을 적은 기행문.
-
• 향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향교
유학 교육을 위해 지방에 설치한 관립 교육 기관.
-
• 향도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지방의 공동체. 보통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함.
-
• 향리
고려에서 조선 시기에 걸쳐 지방 행정 사무를 담당한 계층.
-
• 향리
고려⋅조선 시대 각 지방 관아의 행정 실무를 담당하던 토착 하급 관리.
-
• 향약
지방 사족들이 고을의 풍속 교화를 위하여 결성한 향촌의 자치적 규약.
-
• 향청
조선 후기 지방 수령의 행정을 보좌하던 자치 기구.
-
• 헌병 경찰 제도
1910년대 일제가 조선인의 저항 운동을 탄압하고자 헌병과 경찰을 통합하여 치안을 담당케 한 제도.
-
• 헌정 연구회
1905년 5월 설립된 계몽 운동 단체.
-
• 현량과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인재를 천거하여 선발한 과거 시험.
-
• 현륭원
조선의 22대 왕인 정조의 생부 사도세자(思悼世子, 1735~1762)와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묘소.
-
• 혈의 누
이인직(李人稙, 1862~1916)이 지은 신소설.
-
• 협성회
1896년(고종 33) 배재 학당(培材學堂)을 중심으로 결성된 학생 운동 단체.
-
• 혜민국
고려 중기에 백성들의 질병 치료를 위해 설치한 관서.
-
• 혜민서
백성들의 질병을 치료하고 의약품을 나누어 주는 역할을 담당한 관서(官署).
-
• 혜상공국
1883년(고종 20)부터 1885년까지 전국 보부상을 관리했던 중앙 기구.
-
• 호장
고려 시기 향리직 중 제일 높은 직제.
-
• 호적
국가에서 백성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호(戶) 단위로 백성들의 인적 정보를 수록한 장부.
-
• 호질
조선 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 1737~1805)의 『열하일기(熱河日記)』에 실려 있는 우언 소설.
-
• 호포론
가호(家戶)를 기준으로 포(布)를 부과하는 군포(軍布) 징수 방식.
-
• 홍경래의 난
1811년(순조 11) 평안도 지역에서 홍경래(洪景來, 1771~1812)가 주도하여 일으킨 반란.
-
• 화랑도
신라의 청소년 수련 조직 겸 인재 등용 제도.
-
• 화백 회의
신라에서 국가의 중요한 일을 의논하던 귀족 회의체.
-
• 화성성역의궤
수원에 건설한 화성(華城) 성곽 축조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해 기록한 책.
-
• 화신 백화점
1932년 박흥식(朴興植, 1903~1994)이 서울에 설립한 백화점.
-
• 화왕계
설총(薛聰)이 신라 신문왕(神文王, 재위 681~692)에게 지어 바친 우화(寓話).
-
• 화폐 조례
1901년(고종 38) 한국 최초의 금 본위 화폐 제도를 규정한 법령.
-
• 환곡
국가가 백성들에게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주고 가을에 거두었던 제도.
-
• 환국
국왕의 의도에 따라 이루어진 급격한 정치 세력의 교체.
-
• 황국 협회
1898년 6월부터 1898년 말까지 활동한 보부상(褓負商)의 이권 단체.
-
• 황룡사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구황동(九黃洞)에 건립되었던 신라의 사찰.
-
• 황사영 백서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때 가톨릭 신자인 황사영(黃嗣永, 1775~1801)이 박해 소식과 이에 대한 대응 방법을 알리기 위해 중국 북경 교구장 구베아(Alexandre de Gouvea)에게 보내려고 했던 밀서.
-
• 황성신문
1898년 서울에서 창간된 일간 신문.
-
• 황토현 전투
1894년 4월 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격파한 전투.
-
• 후시
조선 시대 중국, 일본과의 공식적인 무역 외에 열린 비공식 상업 거래.
-
• 훈구
조선 전기 세조(世祖, 재위 1455~1468)의 집권을 도왔던 인물들이 공신(功臣)과 고위 관직에 임명되면서 권력을 장악하고 형성했던 정치 세력.
-
• 훈련대
갑오개혁 시기 일본의 건의로 창설된 군대.
-
• 훈련도감
임진왜란 이후 서울을 수비하기 위해 창설한 군영.
-
• 훈요 10조
고려 태조(太祖, 재위 918∼943)가 박술희(朴述熙, ?~945)에게 비밀리에 남긴 유언.
-
• 훈춘 사건
1920년 9월 만주 무장 독립군을 탄압할 명분을 만들기 위해 일제의 사주를 받은 마적단이 훈춘(琿春)을 습격한 사건.
-
• 휘문 의숙
1906년 5월 민영휘(閔泳徽, 1852~1935)가 설립한 근대식 교육 기관.
-
• 휼양전
조선 시대 과전을 지급받은 관리와 그 부인이 모두 사망할 경우, 어린 자식이 해당 토지의 수조권을 상속하는 제도.
-
• 흑치상지
백제의 장군으로 백제 부흥 운동을 이끌었으며, 후에 당(唐)에 투항하여 활약을 펼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