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1926년 순종 황제 장례식
6·10 만세 운동 발발
극작가 김우진과 소프라노 가수 윤심덕, 부산행 부관연락선에서 몸을 던져 사랑의 종지부를 찍다.
경동철도 주식회사가 철도 확장공사를 짓는 도중 1,400여 년간 잠들어 있던 토우가 발견된다.

흙으로 완성한 고대인의 삶 토우, 토용

작은 흙 인형을 뜻하는 토우는 그렇게 우연한 기회로 세상에 빛을 보게 됩니다.

지금 보시는 당시의 지도와 현재의 지도를 대조해서 확인해 보면 옛 경주시청의 별관의 남쪽, 즉 황남대총과 93호분의 사이 지역으로 추정됩니다.

다시 세상에 나온 토우 - 1970년대

1970년대 경제발전과 맞물린 개발공사가 전국에서 시행
경주시내 대형급 무덤에 대한 지속적인 발굴조사가 이뤄졌다.

하지만, 흙으로 만든 인형이 토우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토우 외에 토용, 이형토기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토우

주로 굽다리접시의 뚜껑이나, 목항아리의 목 부분에 붙여지는 대략 5㎝ 내외의 크기
장식성은 물론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신라인들의 정신세계를 표현
토우의 형상들은 당시 신라인들의 생김새나 옷차림, 일상적인 생활 모습과 믿음을 표현
신라가 강력한 국가로 성장하는 시기인 6세기경에 집중적으로 만들어짐
돌무지덧널무덤이 아닌 작은 돌덧널무덤에서 주로 출토

토기 특징
토우장식항아리
경주 계림로 30호
국보 제195호
-1973년 발굴
- 항아리 몸통의 어깨부분과 목 부분에 남녀 성교모습 배부른 임산부가 가야금을 타는 모습
- 가야금 밑으로 기어가는 뱀,
- 개구리 뒷다리를 물고 있는 뱀의 모습 외에 개구리, 불가사리, 새, 거북이 등 여러 동물 장식
- 높이 340cm
토우장식항아리
경주 노서동 11호
국보 제195호
- 1973년 발굴
- 가마에서 구워질 때 약간 뒤틀렸지만 전체적인 형태를 알 수 있는 완전한 개체 중 하나
- 항아리 목 부분에 왼손으로 긴 막대기를 쥐고 오른손으로 과장된 성기를 쥐고 서 있는 남자
- 남자의 모습은 찢어진 두 눈과 큰 코, 고깔 같은 모자를 쓴 것처럼 묘사
- 개구리 뒷다리를 물고 있는 뱀이 대칭적으로 붙어 있다.
- 높이 401cm
황남대총 남분 출토
남자, 여자 토우
- 1973년 발굴
- 돌무지덧널무덤 내부가 아닌 봉토에서 발견
- 무덤을 만들어 봉토를 쌓으면서 토우가 부착된 토기편이나 여자토우를 함께 묻어 제사를 지낸 것으로 보인다.
- 높이 67cm
토우장식굽다리접시와 뚜껑
경주 월성로 11-1호
- 1985년
- 토우의 형태를 알 수 있는 것은 말, 개구리 뒷다리를 물고 있는 뱀 정도
- 이 돌덧널무덤에서는 뿔잔 한 점도 함께 출토되었기 때문에 월성로 고분중에서 다른 성격의 피장자가 주인공일 가능성이 크다.
- 높이 81cm (왼쪽뚜껑)
동물모양 토우가 달린 그릇받침
부산 복천동 11호·32호분
- 출토시기 미상
〈부산복천동 11호〉
- 거북이가 기어가는 듯 그릇받침에 붙어 있는 모습
- 출토시기 미상
〈복천동32호분〉
- 멧돼지와 개, 말 모양의 토우
- 높이 57cm
울산 운화리 30호 출토 토우 - 출토시기 미상
- 남자 성기를 강조한 남자토우나 피리와 대금 같은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
- 말로 추정되는 동물 등에 격자모양의 침선, 그 외에 개와 유사한 동물 토우 발견
- 30호 돌방무덤은 5세기 중후반대에 해당하는 무덤
- 경주 황남동 돌덧널무덤에서 출토된 토우의 제작기법과 비교해보면 몸통과 다리 등의 접합이나 마무리 등이 미흡
- 높이 97cm
배모양토기
경주 금령총
- 출토시기 미상
- 상형 토기에 부착된 토우
- 성기를 강조한 뱃사공 모양
- 높이 98cm

토용

신라 통일 이후 토기에 부착된 토우의 성격이 독립적인 개체로 변모한 것이 토용
완벽한 복식과 형태를 갖춘 남자와 여자, 서역인, 무사, 시녀 등의 인물과 소와 같은 동물도 함께 확인
이 시기의 돌방무덤에서는 토용으로 대체
다양한 생활유적이나 왕경, 절터에서 5세기 중후반~6세기에 유행했던 토우가 소량이나마 확인
화곡리 생산유적에서는 토우와 토용이 함께 발견
토용은 당시 통일신라 옷차림을 가장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
신라 통일 이후 순장풍습이 사라지면서 사람을 대신해 토용을 무덤에 부장, 종류가 무척 다양
토용 제작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며 진시황제의 병마용이 가장 유명
한나라 이후 당나라의 삼채도용으로 이어짐

토용 특징
여인상
경주 용강동 돌방무덤
- 1986년 발굴
- 체격이 큰 여인상과 체격이 작은 여인상이 함께 출토되었다.
- 매우 사실적이고 세련된 솜씨로 만들어졌는데, 옷은 발까지 덮은 통옷이고, 손은 양쪽 소매 속에 넣어 팔짱을 끼고 있다.
- 신라시대의 신분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172cm (큰 여인상)
문관상
경주 용강동고분
- 1986년 발굴
- 턱수염이 덥수룩하게 표현되어 있는 서역인 모습의 토제 인물상
- 두 손은 예를 갖춰 홀을 들고 있고 어깨에서부터 흘러내린 옷 주름이 사실적이면서도 섬세하다.
- 당시 통일신라가 당나라를 통해 중앙아시아 지역을 포함한 서역과 교류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높이 7cm
12지신상
경주 용강동 고분
- 1986년 발굴
- 범, 토끼, 말, 양, 개 등의 땅을 지키는 12신장으로, 무덤 속에 배치한 소형의 청동 12지신상은 그 유례가 없는 유일한 것이다.
- 몸통은 사람 모양이고 얼굴은 짐승 모습인데 웃통은 벗었고 아랫도리는 허리띠로 동여맨 바지가 겹으로 단을 이루며 주름 잡혀 있다.
- 청동기 시대로부터 축적된 청동 주조 기술의 뛰어난 솜씨를 엿볼 수 있다.
- 높이 7cm~84cm

이형(상형)토기

상형토기란 본떠 만드는 기술과 관념이 발전하여 물건 자체를 그대로 표현한 토기
배·집·신발과 같은 물건이나 건축물, 새⋅말 외에 서수형 동물 등을 표현
주로 속이 비어 있으며 액체를 부어 따를 수 있는 기능적 역할도 함께 있는 것으로 파악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물건을 채택

토기 특징
배모양토기
경주 금령총
- 1924년
- 상형 토기에 부착된 토우
- 성기를 강조한 뱃사공 모양
- 영혼을 저승으로 나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된 의식용 토기로 생각된다.
- 높이 98cm
짚신 모양 토기
부산 복천동 53호 무덤
- 출토시기 미상
- 굽다리 위에 짚신을 만들어 올리고 그 짚신 안에 굽이 달린 잔을 붙인 한 쌍의 토기
- 죽은 이의 영혼을 이승으로부터 저승으로 옮겨가는 의미로 제작된 것이다.
- 160cm
집모양토기
출토지 미상
- 출토시기 미상
- 네 기둥을 세우고 둥근 지붕을 씌웠으며 밑바닥이 땅에서 떨어진 모양으로 만듦
- 지붕위에는 굴뚝을 뜻하는 귀때부분(注入口)이 있고, 한쪽 지붕 모퉁이에는 주출구(注出口)가 있어 용기로 사용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 대체로 부장용이나 장례의식에 쓰였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 유물을 통해 고대가옥구조를 엿볼 수 있다.
- 높이 168cm

1926년에 발견 된 토우는 신라시대의 것입니다.
그렇담, 그 이전 시대에는 토우가 없었을까요?

다른 시대의 토우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빠른 토우는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통영 욕지도 유적에서 출토된 돼지모양의 토우가 있다.
삼국 시대엔 제의와 관련한 개별적 토우가 김해 봉황동유적의 저습지에서 다량으로 발굴됐다.

토우로 본 신라인들의 삶

신라인들은 토우에 그들의 일상을 빚어 올렸다.
남녀 간의 사랑, 여인의 고통스런 출산과정, 시신 앞에서 슬퍼하는 여인을 통해 죽음을 표현하기도 하고, 당시의 옷차림을 보여주거나 가야금을 연주하는 모습, 사냥하는 모습을 표현하기도 했다.

때론 상세하게 때론 추상적으로 표현한 토우
그중에서 큰 차이를 보여주는 토우는 바로 남녀를 현했던 표현방식입니다.

남자 토우
앉아있는 자세와 서 있는 자세
코와 귀를 강조
여자 토우
가슴을 강조하거나 치마를 입혔다.
눈, 코, 입이 있지만, 귀를 표현한 여자는 없다.

토우는 사람만 본 떠 만든 것이 아닙니다.
지금 여러분 집에 있는 개와 고양이 외에 상상의 동물까지 토우로 만들었습니다.

토우 속 동물들

새, 육지동물, 해양 동물, 용과 같은 상상 속 동물 등 다양한 동물모양의 토우가 존재

삶의 희노애락
이승과 저승의 연결고리
흙에 숨결을 불어 넣어
고대인의 삶과 정신세계를 표현한 토우와 토용
토우와 토용은 고대인의 영속적인 관념의 세계의 표현이다.

-------------------------------------

원고 자문 : 김현희
시나리오 구성 : 안현진, 김민상
성우 : 오수경
MC : 주혜빈, 황바울
삽화 : 이광일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재청, 한성백제박물관, E-뮤지엄
연출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기획 제작 : 아리랑TV미디어

참고자료

  • 권주희, 2001,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연구, 복식, 제51권 제4호
  • 고부자, 2000, 경주 용강동출토 토용 복식고, 고고역사학지 16집, 동아대학교 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1986, 경주와 실크로드
  • 국립경주박물관, 1989, 신라의 토용
  • 국립경주박물관, 1993, 다시 보는 경주와 박물관
  • 국립경주박물관, 1997, 신라토우
  • 국립중앙박물관, 1997, 한국 고대의 토기, 통천문화사
  • 국립중앙박물관, 2009, 경주 황남동 출토 신라토우, 영원을 꿈꾸다
  • 국립중앙박물관, 2010,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 국립중앙박물관, 2015, 경주 서봉총 Ⅰ(유물편), 일제강점기자료조사보고 13집
  • 김기웅, 1984, 고분에서 엿볼 수 있는 신라의 장송의례, 신라종교의 신연구,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제5집, 新羅文化宣揚會·경주시
  • 김동욱, 1987, 慶州 龍江洞 古墳 出土 陶俑의 服飾史的 意味, 新羅社會의 新硏究,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제8집, 新羅文化宣揚會·경주시
  • 김성혜, 2009, 삼국시대 음악사연구, 민속원
  • 김인희, 2012, 중국 창강(長江)유역과 한국 남부지방의 해상교류 연구, 도서문화 제40집
  • 金泰俊, 1987, 신라인의 사랑의 미학, 신라사회의 신연구,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제8집, 新羅文化宣揚會·경주시
  • 김현희, 2015, 경주지역 우물의 구조와 특징, 신라우물, 민속원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복천분관, 1997, 삼국시대의 동물원
  • 부산박물관, 2003, 우리인형-또 하나의 삶
  • 손명순, 2015, 경주지역 신라토우 유형 검토, 신라문화 46호
  • 양경애, 1993, 신라고분 출토 토우의 복식연구, 박물관지 2호
  • 이난영, 1996, 토우, 대원사
  • 이송란, 2000, 고신라고분 출토 토우장식토기에 보이는 남방적 요소, 고고역사학지 16집
  • 정수일, 2002, 한국 복식과 서역 복식간의 공통 요소, 문명교류사연구, 사계절
  • 천진기, 1998, 신라토우에 나타난 신라속 연구, 민속학연구 5호, 국립민속박물관
  • 천진기, 2003, 한국동물민속론, 민속원
  • 穴澤和光·馬目順一, 2007, 慶州 瑞鳳冢の調査-梅原考古資料と小泉顯夫の回想にもとづく發掘狀況の再現と考察, 天馬考古論集-석심정영화교수 정년퇴임기념, 석심정영화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간행위원회

김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