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명 | 기획 | 자료해설 자문 | 연출 | 시나리오 구성 | 기획 제작 | 구축연도 |
---|---|---|---|---|---|---|
석탑 | 김소남 박남수 |
박경식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
안현진 | (주)아리랑TV미디어 | 2016 |
무덤 | 김재홍 | |||||
토우와 토용 | 김현희 | |||||
토기 | 권오영 | |||||
기와 | 이병호 | |||||
조선시대 회화 | 조규희 | |||||
한국의 성 | 서정석 | |||||
불사 | 이기선 | |||||
음악 | 송지원 | |||||
도성과 왕궁 | 박순발 | |||||
고려청자 | 전미희 김소남 |
조은정 | 윤종원 | 김미현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7 |
분청사기 | 박경자 | |||||
백자 | 박정민 | |||||
복식 | 이은주 | |||||
사찰건축 | 이종수 | 최광석 | 배수영 | |||
고려불화 | 김정희 | |||||
서예 | 손환일 | |||||
지도 | 양보경 | |||||
동종 | 김소남 임천환 |
원보현 | 윤종원 | 배수영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8 |
서원 | 조재모 | |||||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 정성희 | |||||
제지술과 인쇄술 | 이재정 | |||||
통신사행렬도 | 정은주 | 최광석 | 김미현 | |||
한글소설 | 유춘동 | |||||
화폐 | 정수환 | |||||
석빙고 | 임천환 서일수 |
김지영 | 김기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19 |
활 | 최형국 | |||||
화약무기 | 김해인 | 문현성 | 한정옥 | |||
배 | 김병륜 | |||||
김치 | 김혜숙 | 윤종원 | 나누리 | |||
인삼 | 김성수 | |||||
담배 | 임성수 | 신정화 | 윤옥희 | |||
구황작물 | 구열회 | |||||
온돌 | 임천환 이홍구 |
경석현 | 윤종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20 |
농기구 | 염정섭 | |||||
바둑 | 남치형 | 김기원 | 김자경 | |||
문방사우 | 김지나 | |||||
화장 | 이민주 | 신정화 | 한정옥 | |||
관례 | 김지영 | |||||
목간 | 이경섭 | 문현성 | 이나경 | |||
봉수 | 김경태 | |||||
판소리 | 신재호 이홍구 |
최혜진 | 문현성 | 곽기연 | 스토리라인 | 2021 |
궁중음식 | 박은혜 | |||||
의궤 | 신병주 | 김기원 | 나누리 | |||
갓과 모자 | 장경희 | 김기원, 윤종원 | ||||
종묘 | 조재모 | 윤종원 | 정은주 | |||
종묘제례악 | 송지원 | |||||
감염병과 방역 | 김호 | 신정화 | 한정옥 | |||
풍속화 | 유재빈 | |||||
궁궐 | 신재호 이홍구 |
조재모 | 김기원 | 한정옥 | 스토리라인 | 2022 |
전통정원 | 소현수 | |||||
조선왕조실록 | 강문식 | |||||
칠공예 | 최영숙 | 신정화 | 김자경 | |||
염직 | 백영미 | |||||
탈놀이 | 허용호 | 윤종원, 유환수 | 임승연 | |||
궁중무용 | 손선숙 | 문현성 | ||||
민화 | 유미나 | 문현성 | 나누리 | |||
어보 | 성인근 | |||||
읍성 | 신재호 이주호 |
이일갑 | 지해 김성진 |
하원기 | 스튜디오바카 | 2023 |
혼례 | 김연수 | |||||
질그릇 | 한혜선 | 지해 손희창 |
홍종화 | |||
탱화 | 유경희 | |||||
농악 | 양옥경 | |||||
해녀 | 오상학 | 지해 김정동 |
한 겹 한 겹 더해질 때 마다 중앙에 크게 살아나는 칠흑의 영혼
빛에 따라 다른 색이 배어 나오는 중앙에 크게 오묘한 바다의 빛깔
그리고 이들을 이어 준 천 년의 손길
시간의 예술! 역사 속의 칠공예를 만나봅니다.
수천 년을 이어 온 시간의 예술 - 칠공예
우리나라 대표적인 옻칠 산지인 강원도 원주. 옻나무를 긁으면 한 방울 한 방울 진액이 맺히는데요, 이것이 바로 옻칠입니다.
“이렇게 잎사귀가 다 필 때 즈음인 6월 1일서부터 해서 9월 말 정도 까지 대개 4개월 동안에 옻칠을 내면 거의 끝납니다” 김부노 / 옻칠 채취자
옻칠은 우리나라의 전통 도료인데요, 옻칠을 잘 정제한 후 다양한 기물에 발라 마감하는 걸 칠공예라고 합니다.
“지금 이 칠은 생옻칠에 철가루를 넣어서 한 일주일 정도 후에 솜에 받쳐서 나온 검정 옻칠이에요. 칠흑 같은 어둠이라는 말이 있잖아요. 칠흑 같은 어둠이라는 그 칠흑이 즉 검정 옻칠을 말하는 겁니다.” 손대현 칠장 / 서울시 무형문화재
흑칠 외에도 붉은 안료를 섞어 만든 주칠도 전통 칠입니다.
“옻의 효능이라는 건 첫째 방충, 방습, 또 방화. 불을 막는 효과까지도 있거든요. 특히 그 옻의 도막이 굳어지면 보존성이 상당히 오래 가죠.” 손대현 칠장 / 서울시 무형문화재
초기철기시대의 나무 그릇이 현재까지 전해질 수 있는 비결도 바로 옻칠에 있는데요, 나무 뿐 아니라 가죽, 도기 등 다양한 기물에도 옻칠을 발라 보존성을 높였습니다.
삼국시대에는 칠공예 기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는데요,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금판과 금박으로 꾸민 화려한 칠기가 대표적입니다.
통일신라시대에는 표면에 금판과 은판의 무늬를 붙인 ‘평탈기법’이 적용된 칠기가 나타나는데요. 이 평탈기법의 원리에 조개껍데기를 붙인 것이 바로 나전칠기입니다. 나전칠기는 얇게 갈아 만든 조개껍데기를 문양대로 오려 장식한 칠기를 말하는데요, 나전패는 고유어로 ‘자개’라고 흔히 부릅니다.
“영롱한 빛깔. 이것은 붙이면 한 6가지 빛깔이 나옵니다. 이 전복 종류도 붉은 빛을 띠면서 나오고 이것은 (푸른) 잉크 색깔이 나오면서 아주 영롱한 빛깔이 비치고 이건 아주 그 특이한 빛깔입니다. 자연산인데 한 30마리 정도 사게 되면 이런 빛깔이 하나씩 나옵니다.” 강상용 섭패장
전복 껍데기의 거친 표면을 갈아내어 일정한 두께로 만들면 전칠기 재료인 자개가 됩니다. 나전칠기는 고려시대부터 성행한 우리나라 목칠문화의 핵심인데요. 고려 나전칠기는 왕실을 중심으로 사치스러운 귀족용품과 화려한 불가의 공예품이 많이 제작되었으며 고려를 대표하는 특산물로 중국에서도 그 명성이 높았습니다.
“고려시대 나전칠기의 특징을 들자면 첫 번째, 세밀한 문양 구성입니다. 전복 자개를 0.2~0.3mm 두께로 아주 얇게 가공을 한 다음에 국화무늬나 또는 모란무늬나 국화넝쿨무늬, 이런 문양들을 구성을 해서 기면에 빼곡하게 배치를 하고 있습니다. 이런 세밀한 구성과 또 한 가지 색채 효과를 들 수가 있는데 색채 효과는 전복 자개뿐만 아니라 황금색을 띠는 금속선, 그리고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복채한 대모전을 사용해서 화려하고 품격 있는 그런 색채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최영숙 문화재전문위원 / 문화재청
조선으로 넘어오면 나전칠기는 유교의 영향 등으로 점차 화려한 기물 보다는 실용품 위주로 제작되었습니다. 또한 포도문이나 산수화 등 회화적 표현과 기하학적 무늬가 등장하였으며 18세기 이후에는 민간의 여러 생활용품에도 활용되었습니다.
‘세밀가귀’로 빛나기 까지 – 나전칠기의 제작
전 세계, 단 20점만 전하고 있는 고려의 나전칠기. 그 중 한 점이 해외에서 환수된 후 그 모습을 공개했습니다.
고려시대 제작된 ‘나전국화넝쿨무늬합’. 길이 10cm 정도의 작은 크기에 2~3㎜ 정도의 조각들로 표현한 국화와 넝쿨의 모습은 보는 이들을 단숨에 매료시킵니다.
나전 솜씨는 세밀하여 가히 귀하다(而螺鈿之工 細密可貴) -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서긍 (1123년)
‘세밀가귀’!
작은 조각으로 정교하게 디자인한 세밀함은 고려 나전의 큰 특징입니다. 이러한 세밀함이 온전히 표현되기까지는 수천, 수만 번의 장인의 손길이 필요합니다. 나전칠기의 제작은 먼저, 나무로 틀을 만들어 표면을 고르게 다듬고 칠을 올린 다음 삼베로 백골을 감싸는 베싸개를 합니다.
“나무 자체는 100년이 가도 수축 작용을 한다고 보면 될 겁니다. 늘었다, 줄었다 하는 게. 그것을 막아주기 위해서,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옻칠과 접착제인 찹쌀풀하고 섞어서 이렇게 접착제를 써서 바릅니다.” 이형만 나전장 / 중요무형문화재
베싸개 후에 다시 칠을 하고 말린 후 무늬를 올리는데요. 나전의 무늬를 만드는 방법에는 먼저, 문양대로 오려 붙이는 주름질이 있습니다. 오려 낸 자개는 무늬 면이 바닥이 되도록 하여 종이에 붙인 후 아교풀을 칠하여 기물에 붙입니다.
그리고 인두의 열을 이용해 자개가 기물에 단단히 붙도록 합니다. 무늬를 만드는 또 다른 방법에는 끊음질이 있는데요, 이때는 자개를 기물에 바로 붙일 수 있습니다.
“끊음질이라는 것은 칼을 가지고 문양대로 끊어서 붙이는 겁니다. 기하학적 문양이라고 표현을 하는 거북 등 문양 등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이형만 나전장 / 중요무형문화재
칠기 위에 무늬를 다 올리고 나면 나전 밑에 묻어 있는 풀을 빼 내는 작업 등을 거친 후, 기물 전체에 다시 옻칠을 올리고, 옻칠이 다 마르고 나면 나전에 묻은 칠을 긁어내어 무늬가 드러나도록 합니다. 이런 세세하고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완성되는 나전칠기.
나전칠기의 세밀한 아름다움에 옛사람들이 얼마나 경탄했을지...
가히 ‘세밀가귀’라 이를 만하죠? 수천 년을 견디는 나무의 영혼, 옻칠
그 위에서 만개한 오색의 바다
그리고 ‘세밀가귀’를 만들기 위해 일생을 바친 장인들!
이렇게 만들어진 나전칠기는 공예를 넘어 예술로, 한국을 넘어 세계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에필로그]
우리가 꼭 알아야할 한국사 속 문화예술 상식
1. 옻칠은 방부, 방습, 방충의 역할을 하는 전통의 천연도료이다.
2. 칠기 위에 자개를 붙인 나전칠기는 우리나라 칠공예의 정수이다.
3. 나전칠기는 고려의 특산물로 우리의 대표적인 전통공예이다.
옻칠공예는 옻칠나무의 수액인 옻칠액(漆液)을 기물에 칠해 만드는 공예를 말하며, 옻칠한 기물을 칠기(漆器)라고 한다. 옻칠액은 방충, 방부, 방습의 효과로 인해 인류가 오래전부터 다양한 분야에 활용해 왔으며, 특히 다양한 기물에 칠하는 도료로 적극적으로 사용해 왔다. 인류가 천연도료(天然塗料)인 옻칠을 사용하여 칠기(漆器)를 제작, 사용해온 역사는 기원전 8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칠기공예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비롯하여 베트남, 태국, 미얀마 등 옻나무가 자생하는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서 발전해 왔다.
우리나라는 약 2000년에 이르는 장구한 목칠문화전통(木漆文化傳統)을 갖고 있다. 경남 창원의 다호리(茶壺里) 유적이나 충남 아산 남성리(南城里) 유적 등의 고고학적 발굴과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 민족은 이미 청동기시대(靑銅器時代)부터 나무에 옻칠을 한 목칠기(木漆器)를 제작하여 사용해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칠공예기법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고구려, 백제, 신라의 칠기 유물들이 확인된다. 특히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에서 출토된 왕과 왕비의 베개(頭枕)와 발받침(足座)에서는 칠바탕에 금판(金版)과 금박(金箔), 색칠그림으로 문양을 시문하고 있어 통일신라로 이어지는 기술적 발전 과정을 볼 수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의 기록에 의하면 통일신라시대에는 칠기는 오두품(五頭品)이상의 계층만 사용할 수 있었으며,[『三國史記』 卷 三十三 雜志 二 用器條. 四頭品 禁金銀鍮石朱裏平文物] 중앙관서에는 칠기제작을 관장하는 ‘칠전(漆田)’을 설치하여 궁중에서 사용할 칠기를 제작하고 칠전의 관리와 옻칠의 관리까지 담당하였다. 이는 옻칠기물이 궁중과 상류층에서 사용되는 최고급 공예품이었음을 의미하며, 당시 옻칠공예품은 나라에서 제작을 관장할 만큼 귀한 재료와 기술의 집약체라는 것을 말해준다. 『三國史記』 卷 三十九 雜志 八 職官條. 職官 中. 漆典 景徳王攺爲餙器房 後復故; 칠전(漆典)은 경덕왕(景德王)이 식기방(飾器房)으로 고쳤고 후에 예전대로 회복되었다.
특히 통일신라시대에는 칠기 표면에 금판(金版)이나 은판(銀板)을 오려 붙여 문양을 표현하는 평탈기법(平脫技法)이 발달하여 그 유물이 확인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나전공예품인 국보 140호 〈나전 꽃·동물문 거울(螺鈿團花禽獸文銅鏡)〉도 남아 있다. 평탈기법에서 금판과 은판 대신 자개를 붙이면 바로 나전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민족은 통일신라시대까지 다양한 칠공예기법을 발전시켜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려시대에는 나전칠기(螺鈿漆器)를 꽃피웠다고 하겠다.
나전칠기(螺鈿漆器)는 칠바탕 위에 조개껍질, 즉 패각(貝殼)을 얇게 갈아 만든 나전패(螺鈿貝)를 문양대로 오려 붙여 장식한 칠기로 우리 민족이 2000 여년간 이루어 온 목칠문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고려시대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까지도 우리 민족은 다양한 칠기장식기법 중에서 특히 나전기법을 집중적으로 발전시켜 왔으며, 고려시대 당대 뿐아니라 지금까지 높이 평가받고 있다.
나전(螺鈿)이라는 용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서도 공통으로 쓰이는 한자어이며, 사전적인 용어로 ‘나(螺)’는 조개껍질을 말하고 ‘전(鈿)’은 금속판 등을 새겨넣는 꾸밈을 의미한다. 그래서 나전칠기를 영어로는 ‘lacquerwork inlaid with mother-of-pearl’이라고 표현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나전이라는 용어 외에 ‘자개’라는 고유어를 사용하여 나전을 ‘자개박이’, ‘자개 박는다’라고 했다. 지금도 자개장, 자개농 등 자개라는 용어가 익숙하며, 북한에서는 아직도 ‘자개박이’라고 쓰고 있다.
나전칠기의 전성기였던 고려시대는 불교(佛敎)를 국교로 숭앙하던 귀족사회로 세련되고 화려한 미술문화가 발달했던 시대였는데, 특히 나전칠기를 비롯한 청자, 금속공예품 등의 우수성은 문헌기록과 유물을 통해 확인된다.
고려는 왕실용 기물 제작을 관장하는 중상서(中尙書)에 나전칠기를 제작하는 나전장(螺鈿匠)과 칠장(漆匠)을 배치하였으며, 원의 황후가 요구한 나전경함을 제작하기 위해 따로 특별기관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또 당시 나전칠기가 고려의 특산물로 명성이 났었다는 사실도 문헌기록들에서 알 수 있는데, 특히 12세기 전반 고려의 상황을 엿볼 수 있는 기록으로 북송(北宋)에서 온 서긍(徐兢)이 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이라는 책에서 고려의 나전칠기에 대해 “...나전일은 세밀하여 귀하다고 할만하다(而螺鈿之工 細密可貴)...”라고 묘사한 점에서 당시 고려의 나전기술이 중국보다 뛰어났었다는 사실을 유추해볼 수 있다.[徐兢, 『宣和奉使高麗圖經』(1123) 卷二十三 土産條. ...器用漆作不甚工 而螺鈿之工 細密可貴...]
고려 나전칠기는 나무로 만든 기물에다 베를 바른 후 다시 옻칠을 한 바탕에 나전, 즉 자개와 대모전(玳瑁, 바다거북이 등껍질), 금속선(金屬線)을 병용하여 문양을 시문하였다. 모든 문양은 단위문양을 반복하여 기면을 꽉 채워서 장식하였다. 나전패는 제주와 남해에서 나는 전복껍질을 얇게 가공한 박패(薄貝)를 잘게 잘라 사용하였다. 특히 대모전은 거북이 등껍질을 나전패와 같이 아주 얇게 갈아 낸 뒤, 색을 칠하고, 뒤집어 붙여서색이 비쳐 보이도록 하는 복채법(伏彩法)으로 사용하여 은은한 색채효과를 노렸다. 이처럼 검은 바탕에 진주빛의 자개와 노란색과 붉은색을 복채한 대모전, 그리고 금속선의 빚어내는 색과 빛의 향연은 화려하면서도 기품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고려시대와 다른 나전칠기를 볼 수 있다. 조선에서는 곧 사치스런 귀족용품이나 불가용 공예품이 지양되고 의복함이나 빗접, 각종 함, 상자 등 실용적인 나전칠기가 제작되었다. 그러나 『경국대전(經國大典)』 기록을 통해 왕실용 기물을 제작하는 공조(工曹)와 상의원(尙衣院)에 에 경공장(京工匠)으로서 나전장과 칠장이 소속되어 칠기공예품을 제작하였는 사실과 국가가 옻나무의 수량와 산출액을 관리하였던 사실에서 조선시대 역시 옻칠은 값비싼 고급공예재료로서 음을 알 수 있다.
즉 조선시대 나전칠기는 18세기 전반까지는 왕실 가례(嘉禮) 등 의례용이나 왕실과 지배층의 사치품으로 사용되거나 중국이나 일본에 보내는 특산물로 최고급 공예품이자 사치품이었지만 조선 후기 엄격했던 관장(官匠)제도가 무너지고, 18세기 이후 상공업체제의 변화로 신분체제에 혼란이 오면서 나전칠기의 수요가 민간층에까지 확산되었다. 이에 조선 후기에는 장(藏), 농(籠), 문갑(文匣), 반닫이, 빗접, 좌경, 반짇고리, 자, 베갯모, 필통, 붓대 등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안방가구 및 소품이나 문방용품 등이 다양한 기물들이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문양도 다양해지고, 표현기법 또한 발달되어 조선만의 특징적인 조형을 보여준다.
이후 근대기에도 나전칠기 제작은 계속 되었지만 일제강점기 중 타율적인 근대화 과정에서 일부 전통의 변질과 왜곡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우리 민족의 전통기법이 바탕이 되었으며 이러한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당시 서울지역에서는 붕괴된 경공장의 후예들이 활동하고 있었으며, 임진왜란 이후 지속적으로 나전칠기를 제작해왔던 통영지역에서는 이름난 장인들이 활동하고 있었는데 그들의 후예들을 통해 우리 민족의 나전칠기, 나아가 옻칠공예 전통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이 전통을 올바르게 복원·계승·발전시키기 위해 나전장과 칠장을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도록
단행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