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길게 펼쳐진 산세를 표현한 이 그림
안평대군의 꿈을 형상화한 몽유도원도
이 그림을 그린 화가는 안견
안견과 같은 이들을 도화서의 화원이라 했다.

붓으로 조선역사를 그리다 조선회화

몽유도원도는 1447년 4월 20일 안평대군의 상서로운 꿈에서 시작합니다.
가깝게 지냈던 박팽년, 최항, 신숙주 등과 꿈 속 여행을 하는 꿈을 꾼 안평대군은 이 꿈이 범상치 않음을 깨닫고 도화서의 화원 안견을 부릅니다.

1447년 4월 20일 꿈을 꾼 안평대군
박팽년과 말을 타고 가다 산관야복을 한 인물에게 도원의 길을 안내받은 안평대군
도원에 도착하니 신숙주, 최항이 있어 그들과 시를 지으며 노니는 꿈
범상치 않은 꿈임을 직시한 안평대군은 도화서 화원인 안견을 불러 꿈의 내용대로 그림을 그릴 것을 명 내리다.
안견이 3일 만에 완성한 그림, 몽유도원도

애석하게도 대표적인 산수화로 꼽히는 몽유도원도는 현재 국내에 없습니다.
일본 나라 현의 덴리 대학 중앙 도서관에 소장중인데요.

조선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관료조직 도화서를 설치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화가를 양성했습니다.
그리고 그보다 먼저 고려에도 비슷한 조직인 도화원이 있었습니다.

도화원

고려 시대 중앙관청으로서 도화원이 있다는 기록은 없다.
하지만 서경에는 지방관청의 하나로 도화원이 설치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또한 문집에 보이는 화국도 도화원의 별칭으로 추정한다.

도화서

도화서의 화원은 서책의 인찰, 어진 및 공신들의 초상 등 국가와 왕실에 소요되는 특별한 목적의 그림을 제작했다.
하지만 도화서 화원의 실질적인 처우 등은 미약했다는 기록이 있다.

“화원(畫員)의 정원(定員)이 40명이온데, 회화(繪畫)에 소질이 있는 자가 직위를 받으려고 부지런히 업(業)을 익혀서 1년 걸러 취재(取才)에 응하여 품수에 따라 직위를 받사오나, 나이 30이 안되어 거관(去官)하게 됩니다.
(중략)
또 그림을 배우기란 대단히 어려운 일이어서 10년 가까이 익혀야만 비로소 공을 이룰 수 있사오니, 비옵건대 사역원(司譯院)·전의감(典醫監)의 생도(生徒)의 예에 따라, 액수(額數)에 구애됨이 없이 입속시켜 전습(傳習)하도록 하소서
[『세종실록』권 46, 11(1429) 11월 23일(을축)]
- 세종대 예조에서 건의한 화원의 글

지금도 강아지나 고양이 등을 그린 캐릭터 상품이 많이 팔리고 있죠?
그런데 그거 아십니까?
조선 시대에도 강아지나 고양이를 그린 그림이 존재했었다는 사실을 말이죠.

영모화

화려하게 수를 놓은 비단 장식을 한 횃대 위에 앉아 있는 매
횃대의 금색 용머리 장신구는 왕실인사임을 알게 한다
이 그림은 종실화가 이암의 〈가응도〉
새와 짐승, 꽃 등을 소재로 하여 그린 그림인 영모화
영모화의 대표적 종실화가 이암
이암의 또 다른 작품은 〈모견도〉
〈모견도〉
1630×555cm(전체), 735×42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계회도

사림파들의 진출이 활발해진 성종시대
낭관들의 정치적 입지를 넓혀가면서 모임들이 성행
제목과 그림, 참석자의 명단을 적은 좌목으로 이루어진 계축 형식의 그림을 계회도라 칭했다.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
1531년 김인후 등의 7인이 그린 대표적인 계회도

〈서총대친림사연도〉
- 군신간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행사를 자주 열었던 명종
- 궁중행사도의 모태가 된 작품
〈서총대친림사연도(瑞葱臺親臨賜宴圖)〉, 1564년 (1560년 9월 행사), 견본채색, 122×1238, 국립중앙박물관

〈주문공무이구곡도〉
- 명종말년 성리학을 심화시킨 이황과 사림파들이 감상하던 주자의 은거지이자 학문적 토대였던 무이구곡을 그린 작품
- 이담은 무이구곡도 한 본을 모사해서 이황에게 전달했고 지금 전해지는 그림이 이 작품으로 추정
〈주문공무이구곡도(朱文公武夷九曲圖)〉, 1565년경, 지본담색, 347×5875, 영남대학교박물관

〈시주도〉
- 선조대 명문장가인 최립의 글이 담긴 이 작품은 종실 화가 이경윤이 그린 것으로 추정
〈시주도(詩酒圖)〉, 『산수인물첩』 제1엽, 저본수묵, 233×225, 호림미술관

〈선묘조제재경수연도첩〉
- 일본과의 전쟁을 겪은 17세기 초반
- 효행을 실천하는 수연을 의미 있는 사대부가의 행사로 기념하는 풍조
- 효사상과 통치체제를 정비하고자 했던 조선 지배층의 분위기와 연결
- 이거의 노모가 102세가 된 1605년 한준겸의 제의로 70세 이상 노모를 모신 13인이 주최한 경수연을 그린 그림이 이 작품
『선묘조제재경수연도첩(宣廟朝諸宰慶壽宴圖帖)』, 1605년, 서울역사박물관

〈화개현구장도〉
- 유학자의 처소를 그린 그림은 인품이 묻어나는 영정과 같은 의미로 인식
- 조선중기 지식인들은 처소 그림으로 영정을 대신하기도 함
- 성현이었던 정여창을 추모하기 위해 정여창의 옛 별장 악양정의 기록을 토대로 그린 작품
이징(李澄, 1581-1674 이후), 〈화개현구장도(花開縣舊莊圖)〉, 1643년, 견본담채, 89×56, 국립중앙박물관

인조반정 이래 서인이 정계와 학계를 주도하면서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주목해야 할 삼형제가 있습니다.
장동 김씨 집안의 김수증, 김수흥, 김수항입니다.

김수증

조선 지식인의 은거지를 구곡도의 형식으로 그리게 한 김수증
곡운에 마련한 자신의 별서를 떠나 서울로 가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1682년 평양화사 조세걸을 불러 그리게 한 〈곡운구곡도〉

김수항

1664년 함경도 도과의 시관으로 파견된 김수항
도화서 화원 한시각을 대동하여 북새선은도와 북관수창록을 제작

김수흥

1667년 호조판사였던 김수흥은 현종의 온양온천 행차를 기념한 계병을 제작했다.

명승명소도

장동김씨 집안의 후원을 받았던 화가 정선
1711-1712년 금강산을 다녀와 화첩을 제작
정선의 그림과 이병연의 시를 합한 해악전신첩
정선의 그림은 조선 최고의 명승명소도로 꼽힌다.

문방도

18세기 후반
문방용품과 서책을 배경으로 한 서재초상과
서실의 물품을 그린 문방도가 성행
화원에게 규장각신들의 집에 가서 초상, 집과 들창, 책상, 벼루 등을 그려오게 한 정조
중국 청에서 들어 온 각종 골동품, 서책의 수장 풍조와 관련된 것으로 봄

한정래(韓廷來), 〈임매(任邁, 1711-1779)상〉, 1777년, 견본채색, 65×467, 국립중앙박물관
강세황(姜世晃), 〈청공도(淸供圖)〉, 견본담채, 395×233, 선문대학교 박물관 소장

18세기에 들어와, 그림은 더 이상 부유한 사대부가만의 것이 아니었습니다.
순조 3년, 광통교에서 그림을 파는 장면이 속화로 그려졌고, 김홍도와 같은 도화서 화원들의 그림이 서화 가게를 통해 판매되었습니다.

안동김씨의 세도정치와 그림

1803년 정순왕후의 수렴청정이 물러가고 순조가 직접 정사를 돌보며 안동김문의 세도정치가 시작
김조순 등의 안동김문 일족은 송시열과 김수항 형제들이 치열한 정치적 갈등 속에서 제작을 시도하였던 고산구곡도를 새롭게 모사
1803년 가을에 제작된 〈고산구곡시화병〉 총 12폭으로 구성
당대 대표적 화가인 김홍도, 김이혁 등 10명의 화원이 참여
각 폭의 글씨는 안동김문 일족만이 쓰도록 했다.

그림에 나타난 조선의 역사

왕실 관련 그림이 유행
건국초기 국가적 필요에 의한 도화서 양성
조선 중기
국왕의 감상을 위한 영모화조화 낭관(郎官) 계회도 유행
사림파 진출과 활발했던 그들의 활동을 보여준다.

16세기 을사사화
군신과의 관계가 중요했던 시기로 유학자의 집안풍경을 담은 그림이 유행

임진왜란 이후 효행도가 유행
유교적 질서 회복을 위한 사회적 풍조를 보여준다.

인조반정 이후 세력을 잡으려 노력했던 장동 김씨
회화를 적극 후원하며 유람도를 통해 양반들의 삶을 반영한다.

18세기 골동품과 서책을 배경으로 한 영정을 그리는 풍조가 성행
중인층의 성장과 청나라로부터 골동품 및 서책을 가져온 실류를 반영

당대의 문화풍조 정치와 사회상을 반영한 조선회화
회화는 당시의 역사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타임캡슐이다.

-------------------------------------

원고 자문 : 조규희
시나리오 구성 : 안현진, 김민상
성우 : 오수경
MC : 주혜빈, 황바울
삽화 : 이광일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재청, 한성백제박물관, E-뮤지엄
연출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기획 제작 : 아리랑TV미디어

참고자료

  • 『조선왕조실록』
  • 姜寬植, 2000,「奎章閣 差備待令畵員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博士學位論文
  • 박정혜, 2000, 『조선 시대 궁중기록화 연구』, 一志社,
  • 安輝濬, 1988, 「朝鮮王朝時代의 畵員」, 『한국문화』 9
  • 安輝濬·李炳漢 共著, 1991, 『安堅과 夢遊桃源圖』, 예경
  • 尹軫暎, 1997, 「朝鮮時代 九曲圖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碩士論文
  • 이성미 외, 1997, 『조선 시대 어진관계 도감의궤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이태호, 1988, 「韓時覺의 〈북새선은도〉와 〈북관실경도〉-정선 진경산수의 선례로서 17세기의 실경도」, 『정신문화연구』 34
  • 이태호, 2000, 「예안 김씨 가전 계회도 석 점을 중심으로 본 16세기의 계회산수」, 『만남과 헤어짐의 미학-조선 시대 계회도와 전별시』, 학고재
  • 조규희, 1998, 「朝鮮時代의 山居圖」,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논문
  • 조규희, 2006, 「16세기 후반-17세기 초반 경교사족들의 문화와 사가행사도(私家行事圖)」,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사회평론
  • 조규희, 2006, 「朝鮮時代 別墅圖 硏究」,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조규희, 2006, 「『谷雲九曲圖帖』의 多層的 의미」, 『美術史論壇』 23
  • 조규희, 2006조선유학의 ‘道統’의식과 九曲圖」, 『역사와 경계』 61
  • 조규희, 2009, 「경화사족의 전쟁 기억과 회화」, 『역사와 경계』 71
  • 조규희, 2009, 「조선 시대 회화(화가)와 후원」, 『한국의 예술 지원사』, 미메시스
  • 조규희, 2011, 「조선중기 지식인들의 회화관(繪畵觀)」, 『유교문화연구』 18
  • 조규희, 2012, 「명종의 친정체제(親政體制) 강화와 회화(繪畵)」, 『미술사와 시각문화』 11
  • 조규희, 「조선후기 한양의 명승명소도와 국도 명승의 재인식」, 『한국문학과 예술』 10 (2012) 참조
  • 조규희, 2014, 「조선의 으뜸 가문, 안동 김문이 펼친 인문과 예술 후원」, 『새로 쓰는 예술사-한국문화 이천년을 이끈 예술후원자들』, 글항아리
  • 조규희, 2015, 「안평대군의 상서(祥瑞) 산수: 안견 필 〈몽유도원도〉의 의미와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 16
  • 최완수, 2009, 『겸재 정선』, 현암사
  • 홍선표, 2010, 「「夢遊桃源圖의 창작세계: 선경의 재현과 고전 산수화의 확립」, 『미술사논단』 31
  • Chang, Chin-Sung, “The Lost Horizon: Some Thoughts on the Origins of An Gyeon's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n Moving Signs and Shifting Discourses: Text and Image Relations in East Asian Art, International Conference, June 26–28, 2013, Freie Universität Berlin (forthcoming)

조규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