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명 | 기획 | 자료해설 자문 | 연출 | 시나리오 구성 | 기획 제작 | 구축연도 |
---|---|---|---|---|---|---|
석탑 | 김소남 박남수 |
박경식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
안현진 | (주)아리랑TV미디어 | 2016 |
무덤 | 김재홍 | |||||
토우와 토용 | 김현희 | |||||
토기 | 권오영 | |||||
기와 | 이병호 | |||||
조선시대 회화 | 조규희 | |||||
한국의 성 | 서정석 | |||||
불사 | 이기선 | |||||
음악 | 송지원 | |||||
도성과 왕궁 | 박순발 | |||||
고려청자 | 전미희 김소남 |
조은정 | 윤종원 | 김미현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7 |
분청사기 | 박경자 | |||||
백자 | 박정민 | |||||
복식 | 이은주 | |||||
사찰건축 | 이종수 | 최광석 | 배수영 | |||
고려불화 | 김정희 | |||||
서예 | 손환일 | |||||
지도 | 양보경 | |||||
동종 | 김소남 임천환 |
원보현 | 윤종원 | 배수영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8 |
서원 | 조재모 | |||||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 정성희 | |||||
제지술과 인쇄술 | 이재정 | |||||
통신사행렬도 | 정은주 | 최광석 | 김미현 | |||
한글소설 | 유춘동 | |||||
화폐 | 정수환 | |||||
석빙고 | 임천환 서일수 |
김지영 | 김기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19 |
활 | 최형국 | |||||
화약무기 | 김해인 | 문현성 | 한정옥 | |||
배 | 김병륜 | |||||
김치 | 김혜숙 | 윤종원 | 나누리 | |||
인삼 | 김성수 | |||||
담배 | 임성수 | 신정화 | 윤옥희 | |||
구황작물 | 구열회 | |||||
온돌 | 임천환 이홍구 |
경석현 | 윤종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20 |
농기구 | 염정섭 | |||||
바둑 | 남치형 | 김기원 | 김자경 | |||
문방사우 | 김지나 | |||||
화장 | 이민주 | 신정화 | 한정옥 | |||
관례 | 김지영 | |||||
목간 | 이경섭 | 문현성 | 이나경 | |||
봉수 | 김경태 | |||||
판소리 | 신재호 이홍구 |
최혜진 | 문현성 | 곽기연 | 스토리라인 | 2021 |
궁중음식 | 박은혜 | |||||
의궤 | 신병주 | 김기원 | 나누리 | |||
갓과 모자 | 장경희 | 김기원, 윤종원 | ||||
종묘 | 조재모 | 윤종원 | 정은주 | |||
종묘제례악 | 송지원 | |||||
감염병과 방역 | 김호 | 신정화 | 한정옥 | |||
풍속화 | 유재빈 | |||||
궁궐 | 신재호 이홍구 |
조재모 | 김기원 | 한정옥 | 스토리라인 | 2022 |
전통정원 | 소현수 | |||||
조선왕조실록 | 강문식 | |||||
칠공예 | 최영숙 | 신정화 | 김자경 | |||
염직 | 백영미 | |||||
탈놀이 | 허용호 | 윤종원, 유환수 | 임승연 | |||
궁중무용 | 손선숙 | 문현성 | ||||
민화 | 유미나 | 문현성 | 나누리 | |||
어보 | 성인근 | |||||
읍성 | 신재호 이주호 |
이일갑 | 지해 김성진 |
하원기 | 스튜디오바카 | 2023 |
혼례 | 김연수 | |||||
질그릇 | 한혜선 | 지해 손희창 |
홍종화 | |||
탱화 | 유경희 | |||||
농악 | 양옥경 | |||||
해녀 | 오상학 | 지해 김정동 |
1395년 태조 4년 경복궁이 창건
내에서도 가장 중심에 있는 근정전은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높은 정전
그런데, 우리는 근정전 기와 지붕의 처마 끝
기와의 모습을 제대로 본 적이 있는가?
기와 지붕의 마무리와 맺음이며 선의 미학을 잘 보여주고 있는 기와
선의 미학, 기와
기와는 중국에서 유래했고, 우리나라엔 삼국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초기엔 모든 건물에 기와를 올릴 수 있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초기 기와 역할
지붕에 기와를 얹기 위해서는 건축술의 발달과 기와를 만드는 기술의 발달이 필요했다.
그래서 기와는 단순한 건축 부재를 넘어 건물의 품격을 상징하는 역할도 했다.
초기의 기와집은 궁궐이나 관청, 사찰과 같은 종교 시설 및 제의 시설 등에 제한적으로 사용
기와의 변천
낙랑의 기와는 그 후 고구려나 백제에도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에서 기와집이 출현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기와의 형태
- 수키와
원통을 반으로 자른 형태로 지붕 바닥에 이어진 두 암키와 사이에 이어져 기왓등을 형성
- 암키와
직사각형 모양의 네모난 기와로 지붕의 바닥에 속 면을 밖으로 향하도록 이어져 기왓골을 형성
- 수막새
수키와의 한쪽 끝에 원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한 것으로 기왓등 끝에 사용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계속 사용
연꽃무늬를 비롯한 갖가지 무늬
- 암막새
암키와의 한쪽 끝에 약간 위로 휜 장방형의 드림새를 덧붙여 제작
백제 말이나 통일신라시대부터 제작, 사용
당초무늬를 비롯한 다양한 무늬
진흙 속에서도 고귀한 자태를 읽지 않았던 연꽃!
불교가 보급된 이후 각종 유물이나 유적에서 연꽃무늬를 보는 건 그리 어렵지 않았는데요.
그만큼 연꽃은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진 듯 보입니다.
기와에도 마찬가집니다. 그 대표적인 예가 고구려 시대의 장군총의 연화문 수막새입니다.
시대별 기와 - 고구려
장군총
연꽃무늬를 도드라지게 표현하고
- 수막새
연꽃잎 좌우에 작은 점을 찍어 돌기를 배치
장식적인 아름다움과 고결한 상징성으로 인해 고대부터 즐겨 사용한 문양
▸ 고구려 기와의 특징 - 평양천도를 기준으로 앞 시기와 약간의 차이를 보임 - 초기에는 권운문 수막새가 제작되지만 점차 연화문이 주류적인 위치 차지 - 고구려 연화문수막새는 구획선 안에 꽃봉오리 모양을 볼록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 - 후기가 되면 꽃의 형태가 은행 알 모양으로 단순화되고 보상화문이나 수면문 등 다양한 무늬가 함께 사용됨 |
시대별 기와 - 백제
- 한성기
초화문수막새 - 풍납토성 신우연립 및 1지구 출토 전문수막새
풍납토성 연화문와당 - 풍납토성 197번지 일대 출토
- 웅진기
연화문수막새 - 공주 대통사지 출토
8엽의 연꽃잎에 작고 낮은 자방이 배치되고 연꽃잎 끝이 살짝 반전되는 특징
- 사비기
수막새
백제시대는 한성기와 웅진기를 거쳐 사비기에 이르는데요.
사비기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기와가 등장합니다.
- 익산 미륵사지
사비기, 익산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녹유서까래기와
녹색 유약이 발라진 써가래 기와가 출토
7엽의 연화문이 장식
연꽃잎 안에 인동문 자엽이 정교하고 아름답게 배치
- 신라
연화문수막새 - 월성출토
연화문수막새 - 월성, 안압지 출토
- 통일신라
통일신라의 대표적인 기와
중판연화문 수막새, 당초문 수막새, 당초문 암막새
통일신라 시대의 연화문 이외에도 보상화문, 당초문, 초화문 서조문, 기린문, 사자문, 귀면문 등 다양한 무늬 등장
고구려의 보상화문 보다 훨씬 더 화려하게 발전
당초문은 수막새뿐 아니라 암막새에서 특히 다양한 변형을 보이면서 널리 사용됨
새무늬수막새(영묘사지 출토)
쌍조문수막새(감은사지 출토)
고대인들은 새를 천상과 지상을 넘나들며
두 세계를 이어주는 전달자의 역할을 한다고 믿음
▸ 신라 기와의 특징 - 다른 나라 보다 늦은 5세기말이나 6세기 초부터 기와가 출현 - 처음에는 백제와 고구려의 영향을 받지만 점차 독자적인 문양과 형태를 가진 기와를 제작 -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문양이 화려해지고 연화문 이외에도 당초문이나 보상화문 등 다양한 종류의 문양이 사용되는 등 새로운 단계로 접어듦 - 이 시기에는 두 개의 연꽃잎이 겹쳐서 표현된 복판이나 두세 겹의 연꽃잎이 있는 중판이 유행 - 통일신라시대 기와의 무늬는 사찰마다 다르고, 사찰의 건물마다 달라지는 등 변화무쌍한 모습을 보임 |
고려 시대
고려 시대 대표 기와
귀목문수막새 (파주 해음전 출토)
범자문수막새와 암막새 (충주 미륵사지 출토)
청자양각모란문수막새 (출토지미상)
조선 시대
귀목명문암막새(출토지미상)
인면문망와(출토지 미상)
용문암막새(출토지 미상)
청유용문수막새(경복궁 교태전)
기능적인 요소 뿐 아니라 상징적인 의미도 강했던 기와는 고려, 조선 시대에 접어들면서 기능성이 강조고 상징성이 퇴화되며, 점차 보편화됩니다.
옛 조상들도 처마 끝에 닿는 빗소리를 감상하지 않았을까요?
아름다운 문양 위로 비가 내리며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냈을 것 같은데요.
기와 하나에도 여러 의미를 담았던 조상들의 마음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
원고 자문 : 이병호
시나리오 구성 : 안현진, 김민상
성우 : 오수경
MC : 주혜빈, 황바울
삽화 : 이광일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재청, 한성백제박물관, E-뮤지엄
연출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기획 제작 : 아리랑TV미디어
이병호(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