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벼농사 시작
농경의 본격화
생산경제체재 돌입된 청동기 시대
지켜야 할 것이 생겼다
그래서 등장한 방어시설
산성과 석성

산성과 석성의 나라

우리나라는 산성의 나라라고 합니다.
산성의 나라라고 불리게 된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요?

농경이 성행하면서 생산물의 분배를 둘러싼 집단 간의 갈등, 도랑이라 불린 환호를 설치한 고대인.
하지만 사다리 같은 것을 이용해 건너오기 시작하자 목책을 세워 방어시설을 더욱 견고히 했으나 상대편에서 불로 목책을 태우자 다른 방법을 고안

목책마저 불타버리자 고안해 낸 것이 바로 토성입니다.

목책보다는 견고했던 토성
비바람에 견딜 수 있도록 성을 쌓는 방법을 개발

판축기법

목판을 세우고
점질토와 모레성분이 있는 마사토를 교대로 쌓음
한겹 한겹 직경 10cm의 나무기둥을 찧어가며 축조

초기의 토성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을 방어하기 위한 시설
전쟁이 격화되면서 유사시에 장기적으로 농성하거나 적의 침입을 막을 수 있는 교통 요지에
위치한 산 정상 부분에 성을 쌓기 시작
우리나라가 산이 많다는 지리적 특성에 따라 산성을 많이 쌓았다.
이로써 본격적인 산성의 탄생이 이뤄졌다.

도성, 왕성, 산성

남한에만 약 2천여 개 소 이상의 산성
성(城) / + / 곽(郭) = / 성곽

도읍지를 방어하기 위한 성곽
도성
- 곽성 : 도읍지 전체를 에워싸는 성(나성)
- 내성 : 왕이 거처하는 내성을 축조(왕성)

왕성과 이를 방어하기 위한 수도의 도성
군사적 방어용의 산성

산성의 형태

고대 산성은 높은 산봉우리의 정상부에 축조
도성, 왕성은 평지, 구릉 위에 축조

○ 민보집설
고종때 훈련대장 신관호
민보집설에 산성 축조의 유리한 지형에 대해 말했다
1 고노봉형 : 사방이 높고 중앙부가 낮은 지형
2 산봉형 : 정상부가 평탄하고 넓으며 사방이 급격한 경사로 이루어진 지형
3 사모봉형 : 배후에 높은 지세 조건을 간춘 지형
4 마안형 : 양쪽이 높고 가운데가 잘록하고, 낮게된 지형

그후 일제강점기에 발굴이 진전되면서 우리나라 산성은 포곡식 산성과 테뫼식 산성으로 나눴다.
포곡식 : 계곡을 포함한 성곽
테뫼식 : 산의 정상부 가까이에 성벽이 축조된 성곽

성곽은 입지에 따라 평지성, 산성, 평산성으로 나뉘었습니다.
우리나라 성곽의 대부분은 산성의 형태로 되어 있는데, 산성은 자연지형에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성곽 시설

해자 : 성벽 바깥쪽에 돌려져 있는 도랑
주로 평지성, 평산성 형태에서 발견

옹성 : 적이 성문을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기하기 위해 성문 바깥쪽에 한 겹 덧댄 성벽

치성 : 성곽 일부분을 네모나게 돌출시켜 성 위의 군사가 몸을 은폐하거나 적의 화살로부터 몸을 피하는 데 이용
적들을 손쉽게 진압할 수 있게 만든 담장

여장 : 성벽 위에 설치하는 낮은 담장
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적을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여장(女墻)은 여담 또는 여첩(女堞), 타(垜), 성가퀴 등으로 불림
여장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지만 토성에도 여장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석성에는 대부분 여장이 있다

주목되는 성곽의 부대시설
성곽의 안팎을 연결하는 통로
성문
성곽 내에 남아 있는 건축물의 흔적
건물지

석성을 이루는 구성요소 중에 중요한 것은 성벽!
성벽을 이루는 것은 성돌과 성문이 있습니다.
성돌은 시대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달라집니다.

백제

외면을 성돌로 축조한 다음, 안쪽은 흙으로 뒤채움
바른층 쌓기
성돌의 크기가 하단부, 상단부 동일

장방형으로 가공한 성돌을 이용한단 한단 바른층 쌓기 방식
다듬은 성돌을 이용하여, 성돌과 성돌 사이 틈새가 없다.

신라

성돌을 가공해서 축조
납작한 판석형의 석재를 이용
벽돌처럼 얇고 옆으로 길게 가공한 성돌을 이용하여 성벽을 축조

3 : 1 세장형의 성돌

신라의 석성
보은 삼년산성, 충주 충주산성 온달산성, 단양 적성
신라의 산성
모전석형 성돌이 특징
단양 적성, 충주 충주산성, 양주 대모산성, 이천
설성산성

성돌의 두께 15∼20cm
좌우의 너비 40∼60cm
벽돌처럼 다듬은 성돌

성문의 형태

성곽의 내외를 연결하는 통행로
출입이 어려운 곳에 성문을 개설한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이후 출입이 편리한 곳에 성문을 개설

평문식 현문식
성문을 중심으로 안팎의 지면이 일자로 연결된 성문
성내의 지면이 높고, 성 밖의 지면이 낮아서 성 밖에서 성내로 들어오기 위해 계단이나 사다리를 이용해야 하는 성문
단차가 없는 형태 단차가 있는 형태
평지나 낮은 구릉에 위치 주로 계곡부에 위치

치소

고려말, 조선초 왜구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읍성이 축조됐다.
급격한 당시의 상황에 따라 치소의 위치가 중요했다.
조선 전기 지리지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고려말, 조선초 시절 그 지역을 다스리던 치소성은 산봉에 자리하고 있던 것으로 나온다.

우리나라 산성의 특징

고대의 산성은 각각 식량 창고를 갖추었는데, 평상시 통치의 거점이자, 유사시 방어의 거점
산성은 산이 많은 우리의 지형에 걸 맞는 방어시설로 작전을 펼치는데 유리했다.
산성은 주요 교통로에 위치 이는 적이 쳐들어오면 모두가 산성 안으로 들어가 항쟁하는 농성(籠城)을 하면서 적을 내지 깊숙이 끌어 들여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고려, 조선 시대에 왜구의 침입이 잦아지면서 해안가 백성을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방어시설 등장

읍성
1910년에 일제에 의해 읍성철거령이 내려지면서 대부분이 훼손
현재 해미읍성, 낙안읍성, 고창 모양성 등 극히 일부만 남아 있다.

성돌 하나 하나가 모여 성벽이 되고 성벽이 쌓이면 성을 이루었다.
그렇게 고구려는 천리장성을 쌓아 중국의 거듭된 침략으로부터 내 가족, 내 백성, 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

원고 자문 : 서정석
시나리오 구성 : 안현진, 김민상
성우 : 오수경
MC : 주혜빈, 황바울
삽화 : 이광일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재청, 한성백제박물관, E-뮤지엄
연출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기획 제작 : 아리랑TV미디어

참고자료

단행본

  • 김동욱, 1990, 『수원성』(빛깔있는 책들 102-5), 대원사
  • 서정석, 2002, 『백제의 성곽』, 학연문화사
  • 손영식, 1987, 『한국 성곽의 연구』, 문화재관리국
  • 심정보, 1995, 『한국 읍성의 연구』, 학연문화사
  • 심정보, 2009, 『백제 산성의 이해』, 주류성
  • 차용걸, 2006, 『백제지역의 고대산성』, 주류성
  • 차용걸, 2016, 『한국 축성사 연구』 1∼3, 진인진
  • 허경진, 2001, 『한국의 읍성』(빛깔있는 책들 245), 대원사
  • 小田富士雄, 1985, 『西日本古代山城の硏究』, 名著出版社

논문

  • 공석구, 2000, 「고구려 백제성곽의 비교 연구」, 『白山學報』 54
  • 김호준, 2015, 「남한지역 고려 시대 성곽 축성과 年號銘 기와의 關聯性」, 『軍史』 97
  • 박순발, 2002, 「漢城期 百濟의 城郭」, 『鄕土서울』 62
  • 박종익, 1994, 「古代山城의 築造技法에 대한 硏究」, 『嶺南考古學』 15
  • 백종오, 2002, 「京畿地域 高麗城郭 硏究」, 『史學志』 35, 단국사학회
  • 백종오, 2003, 「고려성곽」,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 성주탁, 1984, 「百濟城郭硏究」, 『百濟硏究』 15, 충남대 백제연구소
  • 심정보, 1989, 「大田의 古代山城」, 『百濟硏究』 20, 충남대 백제연구소
  • 심정보, 1998, 「高句麗山城과 百濟山城의 比較 檢討」, 『高句麗硏究』 8, 고구려연구회
  • 심정보, 2001, 「百濟 石築山城의 築造 技法과 性格에 대하여」, 『韓國上古史學報』 35
  • 서정석, 2002, 「百濟山城의 立地와 構造」, 『淸溪史學』 16·17합집, 청계사학회
  • 심광주, 2003, 「신라성곽」,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 심광주, 2005, 「高句麗와 百濟의 城郭文化」, 『高句麗硏究』 20, 고구려연구회
  • 안성현, 2012, 「고려 후기 경남지역 성곽 연구」, 『한국중세사연구』 34
  • 유재춘, 2003, 「조선성곽」, 『京畿道의 城郭』, 경기문화재단
  • 윤무병, 1993, 「高句麗와 百濟의 城郭」, 『百濟史의 比較硏究』, 충남대 백제연구소
  • 전영래, 1988, 「古代山城의 發生과 變遷」, 『馬韓百濟文化』 11,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차용걸, 2004, 「한성기 백제산성의 제문제」, 『湖西考古學』 10, 호서고고학회
  • 차용걸, 2008, 「신라 석축산성의 성립과 특징」, 『石堂論叢』 41
  • 차용걸, 2012, 「신라 산성의 현문식 성문 구조」, 『한국성곽학보』 21, 한국성곽학회
  • 최병화, 2015, 「백제 석축산성의 성문구조와 변천 과정」, 『야외고고학』 23
  • 최인선, 2002, 「전남 동부지역의 백제산성 연구」, 『文化史學』 18, 문화사학회

  • 高正龍, 1995, 「韓國古代山城」, 『古代文化』 47-12, 古代學協會
  • 李進熙, 1977, 「朝鮮と日本の山城」, 『城』, 사회사상사
  • 龜田修一, 1995, 「日韓古代山城比較試論」, 『考古學硏究』 42-3
  • 松波宏隆, 2010, 「韓國古代城郭の城壁築造」, 『古代文化』62-2, 古代學協會
  • 井上秀雄, 1978, 「朝鮮と日本の山城」, 『日本のなかの朝鮮文化』 38
  • 向井一雄, 2010, 「古代山城論」, 『古代文化』62-2, 古代學協會

서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