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전세

제목 전세
한자명 田稅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전부(田賦), 전조(田租)
별칭•이칭

[정의]

토지의 품질을 고려하여 토지 생산물을 거두는 조세.

[내용]

조선에서 부세는 크게 조(租), 용(庸), 조(調)로 구성되었는데 그 가운데 토지 세금인 조(租)는 국가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조선에서 토지에 대한 수취는 경작지 면적에 따라 생산물을 현물로 거두는 방식이 원칙이었다.

조선 초기에는 토지 1결당 생산량을 300두로 설정하여 수확물의 1/10을 수세하였고, 세종(世宗, 재위 1418~1450) 대에는 공법(貢法)에 따라 1결당 400두를 생산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풍흉 정도와 토지 비옥도에 따라 등급별로 고정된 지세를 수세했다. 이후 지세를 거두는 기준이 점차 최하 등급으로 고정되었다. 결국 임진왜란 후 인조(仁祖, 재위 1623~1649) 대에 들어 4두로 고정시켜 거두는 영정법(永定法)으로 정해졌다. 전세는 현물을 거두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는데 서울로 수송된 전세는 광흥창(廣興倉), 풍저창(豊儲倉) 등 각 창고에 수납되어 각 관서의 예산으로 활용되었다.

전세는 고정적으로 수취되고 있었지만 그 기준이 하향 평준화되면서 수취량은 충분하지 못했다. 따라서 18세기에 이르러서는 각 군현 단위로 일정한 액수를 부담하는 비총제(比摠制)를 도입하여 총액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갔다.

▶ 관련자료

ㆍ전부(田賦)
ㆍ전세(田稅)
ㆍ전조(田租)
ㆍ조(租)
ㆍ조세(租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