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특수훈련반(미 OSS)의 훈련을 마치고 공작임무를 수행하러 적 후방을 향하여 떠나던날 대장 이범석장군을 모시고

처음으로

English

1920년대 사회상 사진아카이브

1920년대 사회상 - 관공서와 신사

왕공족과 귀족

한국인의 생활

여달조합

조선 내의 일본인

조선 내의 서양인

유적 발굴 및 정비

침략전쟁의 기념물

유적 발굴 및 정비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식민지배를 정당화하는 역사상을 정리해 식민사관을 구축하는 데에도 박차를 가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사편찬위원회(1922)를 설치하여 한국의 역사를 편찬하게 하는 한편, 학무국에 고적조사과(1921)를 신설하여 보다 조직적으로 한국의 유적을 조사 발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고적조사에 참여했던 사람 중 상당수가 조선사 편찬에 참여하는 등, 한반도에서의 일본인들의 유적 발굴은 식민사관의 증거를 찾기 위한 활동에 다름 아니었다.
특히 1920년대 조선총독부는 긴축 재정 때문에 조사 목적에 맞는 지역으로 대상을 제한할 수밖에 없었다. 그 발굴 지역은 주로 평양의 한사군 및 고구려 지역, 경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 지역, 가야 지역 등이었다. 이 역시 일제가 발굴을 통해 한국사의 타율성을 뒷받침하고 한일관계를 강조하려 했음을 잘 보여준다.


평양 경주

평양

설명 보기

설명 보기

경주

설명 보기

설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