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사
제목 | 관찰사 |
---|---|
한자명 | 觀察使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
유의어 | 감사(監司), 도백(道伯), 방백(方伯), 외헌(外憲), 도선생(道先生), 영문선생(營門先生) |
별칭•이칭 |
[정의]
조선 시대의 지방 장관으로 각 도의 통치를 위해 파견했던 행정 책임자.
[내용]
관찰사 제도는 조선이 군현제(郡縣制)와 도제(道制)를 정비하면서 완비되었다. 처음 관찰사의 정식 명칭은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였는데 이를 줄여서 관찰사라 불렀다. 1466년(세조 12) 정식 명칭을 관찰사로 변경했다.
관찰사 제도는 고려의 안찰사(按察使) 및 안렴사(按廉使) 제도를 이어받은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담당하던 기능이나 지위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고려의 안렴사는 도에 상주하는 전임관이 아니었으며, 왕명이 내려지면 파견되어 단기간 순행하는 방식으로 업무를 보았다. 반면 조선의 관찰사는 중앙 조정에서 파견된 전임관으로서 일정 기간 동안 해당 지역에 상주하였다.
조선 건국 후 태종(太宗, 재위 1400~1418)의 재위기까지 관찰사라는 명칭이 정착되지 못했다. 당시에는 양계(兩界) 지역의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도순문사(都巡問使)가 파견되었다. 이후 1414년(태종 14)에 양계 지방이 동북면⋅서북면에서 영길도(永吉道)⋅평안도(平安道)로 개칭되었다. 이 조치를 통해 양계 지역 역시 전국적 도제(道制)에 편제되었다. 3년 후 양도에 도순문사의 명칭 대신 도관찰출척사로 고쳐 파견하면서 관찰사제가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관찰사의 임무는 크게 두 가지였다. 하나는 외관(外官)의 관리와 평가였다. 관찰사는 국왕의 특명을 받아 임명된 각 도의 행정 책임자로서 휘하에 있는 관리들의 근무 성적과 태도 등을 평가하고 보고했다. 아울러 소속되어 있는 관리들을 탄핵할 수 있는 권리도 가지고 있었다. 다른 하나는 도내의 군사와 민사를 지휘⋅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었다.
관찰사 제도의 정비는 조선의 중앙 집권 체제 구축에 큰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평가된다.
▶ 관련자료
- ㆍ감사(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정여립 모반 사건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지방군의 개편-속오군
- 주제로 보는 한국사: 2) 행정 전문가 아전
-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정치 기강의 문란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농본주의 경제 정책
- ㆍ강원 감사(江原監司)
- 주제로 보는 한국사: 2) 유학 사회의 불청객 승려
- ㆍ강원도 감사(江原道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공납제의 폐단
- ㆍ강원도 관찰사(江原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관장제 수공업
- ㆍ경기 감사(京畿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중앙군의 개편-5군영
- 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임오군란
- ㆍ경기좌우도 관찰사(京畿左右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한양 천도에 관한 논의
- ㆍ경상 감사(慶尙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서원의 남설
- 주제로 보는 한국사: 1) 공식적인 천민, 노비
- ㆍ경상도 관찰사(慶尙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왜란에 대한 총평 - 징비록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여씨 향약의 보급
- ㆍ경상우도 감사(慶尙右道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진주성 전투
- ㆍ경상좌도관찰사(慶尙左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김성일과 황윤길의 서로 다른 보고
- ㆍ관찰사(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지방관의 파견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양전 사업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신문고 설치
- 주제로 보는 한국사: 다. 제도의 개편과 의정부의 설립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중앙 정치 체제와 지방 행정 조직
- ㆍ도신(道臣)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균역청 사목
- ㆍ방백(方伯)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울릉도와 독도의 영유권 확보
- 주제로 보는 한국사: 가. 태장형
- ㆍ전라 감사(全羅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전례 논쟁-진산 사건
- ㆍ전라도 감사(全羅道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폐정 개혁 12개조
- ㆍ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전례 논쟁-진산 사건
- ㆍ충청도 도관찰사(忠淸道都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수양 대군의 왕위 찬탈-계유정난
- ㆍ평안도 관찰사(平安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삼전도의 항복
- ㆍ평안도 도관찰사(平安道都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수양 대군의 왕위 찬탈-계유정난
- ㆍ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방곡령-조병식의 방곡령에 대한 건의
-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방곡령
- ㆍ황해 감사(黃海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광업의 활성화
- ㆍ황해도 감사(黃海道監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해주 향약
- ㆍ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대동법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