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자감
제목 | 국자감 |
---|---|
한자명 | 國子監 |
유형 | |
시대 | 고려 시대 |
관련국가 | 고려 |
유의어 | |
별칭•이칭 |
[정의]
고려 시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내용]
고려 초부터 신라의 국학(國學)을 계승한 교육 기관을 운영하였을 것으로 여겨지는데, 992년(성종 11)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체제를 갖추어 개편한 뒤 국자감(國子監)이라 하였다. 국자감은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 원(元)나라의 간섭을 받아 국학으로 개칭하였다가, 1298년(충선왕 1) 충선왕(忠宣王, 재위 1298, 1308∼1313)이 성균감(成均監)이라 고쳤고, 1308년에는 충선왕이 다시 즉위하면서 성균관(成均館)이라 하였다. 그 뒤 1356년(공민왕 5)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실시하면서 명칭을 원래대로 국자감이라 고쳤다가, 1362년(공민왕 11)에 성균관으로 다시 바꾸었다.
국자감은 크게 유학 학부와 기술 학부로 나뉘었다. 유학 학부는 다시 세 분야로 나뉘었는데, 국자학(國子學)은 대개 문무관 3품 이상, 대학(大學)은 5품 이상, 사문학(四門學)은 7품 이상의 자제가 입학하였다. 기술 학부는 율학(律學)⋅산학(算學)⋅서학(書學)으로 나뉘고, 8품 이하의 자제와 서인(庶人)이 입학할 수 있었다. 그런데 충선왕 대 이후 유학 학부가 강화되고 기술 학부가 분리되는 경향으로 가게 되었다.
국자감의 학생들은 과거에 응시할 때 예비 시험을 면제받고 바로 감시(監試)에 응시할 수 있었으며, 학업이 우수한 자는 감시나 과거의 일부도 면제받았다.
국자감에는 설치 당시부터 토지가 지급되었으나, 이후 재정난을 겪게 되자 예종(睿宗, 재위 1105∼1122) 대 양현고(養賢庫)를 설치하여 재정을 정상화시키려고 노력하였다. 몽골과의 전쟁과 토지 제도의 문란으로 다시 운영이 마비 상태에 빠지자, 안향(安珦)의 건의로 섬학전(贍學錢)을 마련하여 재정을 보충하기도 하였다.
[의의]
고려 시기 국가에서 설립한 최고 교육 기관으로, 학생들은 과거에 응시할 때 여러 가지 특전을 받았으므로 관료를 양성하는 기관 역할을 하였다. 유학과 함께 기술 교육까지 담당하였는데, 조선시대에는 유학 교육만 담당하는 기관으로 변모하였다.
▶ 관련자료
- ㆍ국자감(國子監)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최승로의 시무28조
- 한국의 역사: 나.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다(B. The Formulation of the Framework for the Ruling System)
-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사: 교육과 과거 제도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유교적 정치 질서의 강화
- 한국사 연대기: 국자감
- ㆍ국학(國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과거제의 실시
- 주제로 보는 한국사: 2) 정치 사상의 갈등이 고려 왕조를 뒤흔들다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교육 기관
- ㆍ대학(大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자유로웠던 여성의 재혼
- ㆍ성균감(成均監)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최고 교육 기관-성균관
- ㆍ태학(太學)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예종 대의 시 모임-죽림고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