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용어 해설시대별 > 전체

병마절도사

제목 병마절도사
한자명 兵馬節度使
유형
시대 조선 시대
관련국가 조선
유의어 병사(兵使), 주장(主將), 주수(主帥), 곤수(閫帥), 수신(帥臣),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
별칭•이칭

[정의]

조선 시대 각 도의 군사 지휘와 관련 업무 등을 책임졌던 종2품 서반(西班) 관직.

[내용]

조선 건국 초기에는 병마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로 호칭했다. 함경도⋅평안도⋅충청도⋅전라도⋅경상좌도⋅경상우도에 각 1인씩 임명되었다. 황해도와 강원도에서는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 겸임 병마도절제사가 각 1인씩 임명되었다. 1457년(세조 3) 전국에 걸쳐 진관 체제(鎭管體制)를 실시해 군사 방어 체제를 개편한 뒤 병마도절제사의 직함을 병마절도사로 고쳤다.

병마도절제사에서 병마절도사로 직함이 변경된 이후에도 기본 임무는 동일했다. 우선 병마절도사는 주로 변경 지역에 설치되었던 병영과 군진(軍鎭)의 영진군(營鎭軍)을 지휘하면서 방어 임무에 주력했다. 동시에 군사의 진법과 무예 훈련 등을 통제했다. 또한 수령이 겸직했던 병마절제사⋅병마첨절제사나 전임직 병마첨절제사가 지휘하던 거진(巨鎭)을 통솔했다.

병마절도사에는 보통 무신이 임명되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문신을 임명하기도 했다. 임기는 2년이었다. 조선 초기의 병마절도사는 중앙 관직을 유지한 상황에서 부임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1477년(성종 8)부터 겸직하지 않게 되었다. 병마절도사 제도는 조선 시대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지만 1895년(고종 32) 도제(道制)가 폐지되면서 함께 폐지되었다.

▶ 관련자료

ㆍ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ㆍ병사(兵使)
ㆍ경상 우병사(慶尙右兵使)
ㆍ경상도 우병사(慶尙道右兵使)
ㆍ충청병사(忠淸兵使)
ㆍ평안병사(平安兵使)
ㆍ황해병사(黃海兵使)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