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English

1960~70년대 농촌생활과 새마을운동 사진 아카이브

부녀회

정부는 새마을 운동과 함께 여성들을 효과적으로 동원하기 위하여 마을마다 부녀회를 조직하도록 지시하였다. 새마을 운동 교재를 만들어 부녀회에 배포하고 부녀 지도자들을 교육시켰으며, 우수 사례를 선정하여 포상하였다. 부녀회는 금주 운동, 절미 저축, 폐품 수집, 공동 구판장, 탁아소, 공동 취사, 공동 경작 같은 사업들을 벌여 나갔다.

  • 공동 작업 후의 취사 공동 작업 후의 취사

    새마을 운동이 한창 추진되던 시기에 부녀회에서 공동 작업을 한 후 공동 식사를 하는 모습이다. 머릿수건과 복장으로 보아 조리와 위생 등 생활 개선 운동이 잘 추진된 마을이거나 촬영을 위해 특별히 복장에 신경 쓴 것으로 보인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이태백 씨 소장(1974년)

  • 고령군 쌍림면 매촌동의 절미 저축 고령군 쌍림면 매촌동의 절미 저축

    경북 고령군 쌍림면 매촌동 새마을 부녀회 여성들이 쌀을 모아 두었던 절미 항아리를 가지고 나와 저축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여성들은 매끼 밥을 할 때마다 조금씩 쌀을 아껴 이 항아리에 모아 두었다가 한 달에 한 번 저축을 했다. 부녀회에서는 각 여성들에게 통장을 만들어 주었는데, 그 통장에 모인 돈은 많은 여성들에게 남편이나 가족의 간섭을 받지 않고 소장할 수 있는 유일한 현금이었다. 이 절미 운동은 여성들에게 적게나마 현금을 만지게 해 주었기에 많은 호응을 얻었다. 고령군 쌍림 면사무소 소장(1969년)

  • 평지 새마을 금고와 부녀회 구판장 평지 새마을 금고와 부녀회 구판장

    구판장 사업은 대표적인 부녀회 사업이었다. 시장이 멀 수밖에 없는 농촌 현실에서 생필품을 구비한 구판장을 이용하면 교통비를 절감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부녀회 입장에서는 이 사업을 통하여 얻는 약간의 이익을 기금으로 축적할 수 있었다. 구판장에서 판매했던 상품은 성냥, 비누, 설탕, 라면 등 꼭 필요한 소비품이었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 개인 자료(1976년)

  • 새마을 부녀회 농악단 새마을 부녀회 농악단

    부녀회에서는 농악단을 구성하여 음력 정월 대보름에 새마을 사업 기금 50만 3천 원을 모금하였다. 경남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마을 회관 소장(1976년)

  • 부녀회 표창장 부녀회 표창장

    충북 괴산군 연풍면 내응리 부녀회의 활동을 치하하는 연풍 면장의 표창장이다. 가부장제에 포획되었던 여성들을 국가가 호명하고 격려해 주자 기꺼이 새마을 운동의 주체로 일어났다. 새마을 운동은 국가에 의한 여성 동원 체제이기는 했지만 상당 부분 여성들의 자발성에 기반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국가의 호명을 기회로 가부장제로부터 해방되고자 했던 것이다. 충북 괴산군 연풍면 개인 자료(1973년)

  • 매촌동의 농번기 탁아소 매촌동의 농번기 탁아소

    여성들의 노동을 위해서는 그들의 일손을 붙잡고 있는 아이들의 공동 양육이 필요 했고, 이 때문에 1960, 70년대 농촌에서는 많은 농번기 탁아소들이 운영되었다. 고령군 쌍림면 매촌동에 설치된 농번기 탁아소로, 벽보에는 농번기 탁아소가 ‘6. 16~7. 5’까지 운영되는 것으로 적혀 있다. 고령군 쌍림 면사무소 소장(1969년)

  • 매촌동의 어린이 탁아소(1) 매촌동의 어린이 탁아소(1)

    그네와 미끄럼틀까지 갖추어진 것으로 보아 마을 유치원이나 학교를 이용해서 탁아소가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령군 쌍림 면사무소 소장(1969년)

  • 매촌동의 어린이 탁아소(2) 매촌동의 어린이 탁아소(2)

    다소 몸집이 큰 아이들로 보아 탁아소라기보다는 방과후 학교라고 해야 걸맞을 듯하다. 고령군 쌍림 면사무소 소장(1969년)

  • 대촌동 농번기 탁아소 대촌동 농번기 탁아소

    광주 북구 대촌동에 설치된 농번기 탁아소의 놀이 장면으로, 연출된 사진으로 보이지만 아이들의 얼굴은 해맑기만 하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동 개인 소장(1981년)

  • 강원도 양구군 팔랑 1·2리 부녀회 단합 대회 강원도 양구군 팔랑 1·2리 부녀회 단합 대회

    부녀회 활동으로 기금이 마련되자 그 일부를 이용한 부녀회 관광이 활발히 추진되었는데, 평소 바깥 출입이 쉽지 않았던 농촌 여성들에게 부녀회 관광은 많은 호응을 얻었다. 선글라스를 낀 여성들의 모습이 이색적이다. 강원 양구군 동면 고순복 씨 소장(1970년대 초)

  •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1)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1)

    새마을 어머니회 체육 대회. 고령군 새마을 지회 소장(1970년대)

  •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2)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2)

    고령군 새마을 지회 소장(1970년대)

  •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3)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3)

    운동회 상장과 함께. 고령군 새마을 지회 소장(1970년대)

  •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4) 고령군 새마을 어머니 운동회(4)

    고령군 새마을 지회 소장(1970년대)